• 제목/요약/키워드: 북송교류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2초

고려중기 혜조국사(慧照國師)의 대북송(對北宋) 교류(交流)와 전륜장(轉輪藏) 도입 (The Interchange with the Northern Song and the Introduction of Jeonryunjang by Haejokuksa in the Early Koryo Dynasty)

  • 이경미
    • 건축역사연구
    • /
    • 제16권6호
    • /
    • pp.101-120
    • /
    • 2007
  • This paper aims at studying on the medium of cultural interchange regarding who did and how to introduced the new trend of architecture during the period of Koryo Dynasty. Before the era of Koryo Dynasty, Kyungjang(Sutra Pitaka, 經藏) was mainly centered in Kyeongnu with a substantial function of storage. In the early Koryo Dynasty, however, Daejangjeon(大藏殿), which was spatialized for worship, began to appear. Normally, fixed walls were installed and the Sutras were enshrined inside Daejangjeon, while Jeonryunjang (revolving wheel sutras), a type of rational bookshelf, was introduced, and a new trend became developed in Kyungjang construction. Jeonryunjang(revolving wheel sutras, 轉輪藏) is a dharma instrument with a rotational function so that one revolution gives an effect of reading the enshrined Sutra one time, and began to be created actively in the period of the Northern Song. It is considered that the introduction of Jeonryunjang(revolving wheel sutras) to Daejangjeon was resulted from Haejokuksa(慧照國師) Damjin(曇眞) who visited the Kangnam areas in the Northern Song at that time. The Kangjeol areas in the Northern Song, where Damjin concentratively itinerated three times, were the place in which Jeonryunjang was created in many temples. Since Damjin, historical materials and excavated data regarding constructing Jeonryunjang have been discovered in the Buddhist temples, which are related to his pupils and dharma lineage. The only existing Jeonryunjang of Yongmusa Temple in Korea is the one that Joeung Daesunsa, who succeeded to the dharma lineage of Haesokuksa, promoted, and supports strongly such introduction of Jeonryunjang by Haesokuksa.

  • PDF

성리학(性理學)과 산수화(山水畵)의 발전에 관한 연구 - 송대를 중심으로 - (Research of the Neo-Confucianism and the development of Landscape painting in Song Dynasty)

  • 장완석
    • 한국철학논집
    • /
    • 제32호
    • /
    • pp.309-336
    • /
    • 2011
  • 본 연구는 성리학과 문화예술이 밀접한 관계에 있다는 데에서 출발하며, 특히 송대에 흥성한 산수화의 발전에 이론적 근거가 되었음을 연구하였다. 성리학은 고대 동양사회의 정치, 경제, 사상, 문화 예술 심지어 생활에 전반에 걸쳐 근간을 이루어 왔던 유학의 새로운 경향이다. 성리학은 중국의 북송(北宋)대 다섯 학자인 주돈이, 소옹, 장재, 정호, 정이가 그 기틀을 새우고 남송(南宋)의 주희가 집대성한 학문이다. 중국의 원(元)나라를 통해 고려후기에 우리나라에 전래되어 조선의 건국의 기틀이 되었고, 퇴계 이황, 율곡 이이를 거쳐 '문화 전반'에 미치지 않은 곳이 없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성리학과 예술론과 관계하여 격물치지, '리', 우주의식, '생의', '기상', '예'와 '도'의 관계 등이 산수화와 산수화론을 통해 어떻게 표현되었는지를 연구하였다. 산수화나 화조화에서도 신유학에서 말하는 천지의 '생의'의 미와 '어진 사람은 만물과 더불어 하나'라는 사상을 화폭에 표현하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시와 회화의 통일을 주장하였다. 동양에서는 송대 이전부터도 시와 회화의 관계를 중시했지만, 송에 이르러 시와 회화의 통일을 이루게 된다. 예를 들어, 명나라 때 조성된 졸정원(拙政園)과 같은 강남 정원 문화는 송대 산수화로부터 기인했다. 산수에서 등장하는 산속의 작은 정자나 가옥들이 정원에 옮겨진 것이다. 이는 곽희가 "임천고치"에서 말한 "가볼 수 있고, 바라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닐 수 있고, 살 수 있는 곳"을 화폭 속에 그려야 한다는 것이 명 청대에 이르러서는 현실로 옮겨진 것이다. 또한 현대에 있어서는 환경디자인에 이르기까지 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지속적인 연구는 앞으로 가상현실, 증강현실 등 디자인 발전 연구, 더 나아가 문화산업의 기초자료로서 복합학문, 학제간 교류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