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후

검색결과 177건 처리시간 0.025초

단풍나무의 성 형태, 결실특성 및 종자활력 (Sex Morph, Fruiting Habit, and Seed Viability of Acer palmatum)

  • 김갑태;김회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1호
    • /
    • pp.91-95
    • /
    • 2012
  • 단풍나무의 이형자웅이숙, 성형태의 다양성 및 결실특성을 파악하고자, 원주지역에 생육 중인 단풍나무(Acer palmatum) 63주를 대상으로 화기구조, 수분시스템, 결실특성 시과활력을 2010년 4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조사하였다. 단풍나무는 주로 꿀벌과 꽃등에 등의 화분매개충에 의해 수분되나, 소수(3.57%)는 바람에 의해 수분되었다고 추정된다. 조사대상목 중에서 2010년 24개체(42.9%), 2011년 20개체(31.7%)는 웅예선숙개체(Protandrous, PA)였으며, 2010년 32개체(50.8%), 2011년 30개체(47.6%)는 자예선숙개체(Protogynous, PG)로 단풍나무는 이형자웅이숙(異型雌雄異熟: heterodichogamy)하는 것이 밝혀졌다. 5개체(7.9%)에서 성전환-4개체는 PA에서 PG로, 1개체는 PG에서 PA로-이 확인되었다. 건전종자와 부후종자의 비율에서는 성 형태 간의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건전종자의 비율은 PA에서 2010년 25.8/50, 2011년 32.0/50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PG에서는 2010년 15.2/50, 2011년 20.2/50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부후종자의 비율은 PA에서 2010년 20.0/50, 2011년 15.6/50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고, PG에서는 2010년 32.8/50, 2011년 28.4/50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성형태간의 부후종자율의 차이는 단풍나무 종실가해 해충들의 활동시기와 관련이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목조문화재 열화 및 보존기술에 관한 연구(제1보) -장경각 구조부재중 큰기둥의 생물적 열화 특성 - (Deterioration and Preservation Technique of Wooden Cultural Properties (Part I) -Biodeterioration of Wooden Round Columns, Janggeongpanjeon, Built in 15 century-)

  • 김영숙;윤정희;강호양;박상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1호
    • /
    • pp.51-63
    • /
    • 2007
  • 국보 제32호인 팔만대장경을 보관하고 있으며 UNESCO가 정한 세계문화유산이기도 한 장경판전의 목재 구조부재중 큰기둥에 대한 생물인자에 의한 열화 특성을 조사 연구하였다. 장경판전의 법보전과 수다라장의 목재부재를 대상으로 연구 검토한 결과, 목재 부재 및 부위 그리고 주변 환경에 따라 다양한 열화 현상이 있음이 밝혀졌다. 부재의 주요 열화는 미생물에 의한 부후현상으로 밝혀졌으나, 부후가 나타난 부분들은 하나의 부재에서 매우 국부적으로 발생하고 있었으며 이들을 잘 조치하면 대부분의 부재는 건전한 상태로 더 유지 할 수 있는 상황으로 고찰되었다. 수다라장 큰기둥의 부후지수가 더 심했다. 큰기둥의 소재로 사용된 수종의 내구성은 소나무, 전나무 및 상수리나무보다는 느티나무가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느티나무의 경우 일부 기둥에서 해충의 피해가 발견되었다. 기둥 위치에 따른 생물적 열화는 동북, 서북, 북향에 위치한 기둥이 다른 방향에 위치한 기둥에 비해 심한 경향을 보였다.

황벽나무의 물리·역학적 특성 (Physical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Phellodendron amure Ruprecht)

  • 김현우;변희섭;김병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5호
    • /
    • pp.519-524
    • /
    • 2017
  • 본 연구는 황벽나무의 물리, 역학적 성질의 특성과 부후성을 조사하였다. 기건밀도는 실내, 외 방치한 목재에서 각각 0.41, $0.43g/cm^3$로 나타났다. 전수축율 시 T/R비는 실내, 외에서 각각 1.40, 1.32로 나타났다. 흡습성은 온도 $40^{\circ}C$ 상대습도 90% 경우 실내, 외에서 각각 16.30, 15.80%로 나타났다. 압축강도는 실내, 외에서 각각 43.81, 40.33 MPa 휨강도는 84.63, 68.80 MPa, 충격강도는 3.43, $4.00J/cm^2$, 경도는 횡단면에서 각각 47.92, 49.20 MPa로 나타났다. 경도는 횡단면에서 각각 47.92, 49.20 MPa로 나타났다. 1년간 실내에 방치한 목재와 실외에 방치한 목재는 부후에 강하고, 또한 T/R비도 낮은 편으로 치수가 안정한 나무로 판단된다.

리그닌 분해균 Coriolus versicolor CV3에 의한 Laccase의 생산 (Production of Extracellular Laccase by Lignindegrading Basidiomycete Coriolus versicolor CV3)

  • 권순환;윤민호;최우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157-163
    • /
    • 1991
  • 백색 부후균 Coriolus versicolor CV3 균주를 공시하여 laccase 생성을 위한 배양 조건을 검토하였다. 감자, 양파 또는 맥아의 추출물을 주재로 한 각종 백색 부후균용의 배지를 비교한 결과, 공시 균주의 laccase 생성은 potato-malt extract 배지에서 가장 높아서 배양 11일 후 배양액당 $1.50unit/m{\ell}$, 균체 건물 중당 119.5 unit/g 수준의 laccase 활성도에 도달하였다. potato-malt extract 배지에 각종 유기 및 무기 질소원 중 yeast extract 또는 $KNO_3$를 0.2% 첨가하였을때 laccase의 생성 수준이 높았으며, inducer로서 2.5-xylidine을 $4{\times}10^{-4}M$ 첨가한 경우 대조구에 비하여 3.1배 수준으로 laccase 생성이 유도 되었다. Laccase 생성을 위한 배양 최적 pH는 4~4.5 이었다.

  • PDF

목재부후(木材腐朽)의 기초적(基礎的) 연구(硏究)(II) - 주요(主要) 백색부후균(白色腐朽菌)의 부후(腐朽) 생리(生理) 및 물리(物理)·화학적특성(化學的特性) - (Fundamental Studies on the Wood Decay(II) - Phys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White Rot Fungi in Korea -)

  • 이동흡;최돈하;윤승락;손승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0권4호
    • /
    • pp.49-56
    • /
    • 1992
  • Seven white rot fungi (Irpex lactenis, Coriolus hirsutus, Lopharia mirabilis, Schizopora paradoxa, Ganoderma lucidum, Pleurotus ostreatus and Pycnoporus coccineus) native to Korea and two famous exotic lignin degradable white rot fungi (Coriolus versicolor and Phanerochaete chrysosporium) were investigated to clarify their phys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n white-rotted wood blocks. G. lucidum degraded wood blocks more seriously than those by exotic lignin-degrading fungi, C. versicolor and P. chrysosporium, but only slightly decreasecl the strength of wood which was compared to the weight loss, persumably on the account of its small use of cellulose when attacking wood. It is quite interesting to note that the holocellulose degradation rate of G. lucidum was also higher than any of the other tested fungi. The order of fungi, according to the lignin-decomposing rates, was G. lucidum>P. coccineus>C. versicolor>S. paradoxa>P. chrysosporium>L. mirabilis>P. ostreatus>C. hirsutus>I. lactenis. The lignin degradation of G. lucidum and P. coccineus which were collected in Korea was greater than that of C. versicolor and P. chrysosporium. If holocellulose degradation is not considered. G. lcidum has the merit of actual application in biomass conversion due to linin removal.

  • PDF

백색부후균 Coriolus hirsutus LD-1의 리그닌분해효소 활성과 염료탈색에 관한 연구 (Production of Lignin Degrading Enzymes and Decolorization of Dye Compounds by White-rotting Fungi Coriolus hirsutus LD-1)

  • 남은숙;하상우;박신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11-216
    • /
    • 2006
  • Coriolus hirsutus LD-1 균주의 리그닌분해효소 활성과 몇몇 염료의 탈색능을 조사하였다. 백색부후균인 LD-1 균주는 laccase(16,388.9 U/L)와 manganese- dependent peroxidase (19.81 U/L)는 생산하였으나 lignin peroxidase를 생산하지 않았다. 균주를 염료와 함께 8일간 배양했을때 염료 RBBR과 염료 BB의 탈색율은 각각 70.2%와 98%로 나타났다. Manganese-dependent peroxidase는 8일간 배양 중 효소 활성은 매우 낮은 반면 laccase는 지속적으로 생산되어 대단히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백색부후균인 Coriolus hirsutus LD-1에 의한 염료의 탈색은 주로 laccase에 의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목재부후성 담자균류 배양균사체의 생물활성 연구 -항균활성, 식물생장조절활성, 항암활성, 효소활성탐색- (Biological Activities of Culture Broth of Some Wood Rotting Basidiomycetes -Antimicrobial, plant growth regulatory, antitumor, and enzymatic activities-)

  • 조수묵;유승헌;신관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24권1호통권76호
    • /
    • pp.17-24
    • /
    • 1996
  • 목재부후성 담자균류의 배양 균사체의 생물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항균활성, 식물생장조절활성, 항암활성 및 그들이 생산하는 효소활성을 검정한 결과 Coriozus versicolor 5129와 C. pubescens 5131 균주는 그람양성세균에, Lenzites betulina 8029 균주는 그람음성세균에 저지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L. betulina 8085 균주는 세균과 진균에 저지 효과를 나타내어 광범위한 항균 spectrum을 보였다. 대부분의 균주가 0.8ml/ml 농도 처리시 배추 및 무의 발아 및 생장을 억제하였으며, 특히 Fomitopsis pinicolor 8059와 Fomitella fraxinea 8084 균주의 경우 생육을 장하게 억제하였다. 그러나, Bjerkandera adusta 8054 균주는 0.4 및 0.2ml/ml농도에서 배추 및 무의 생육을 촉진하였다. 몇종의 목재부후균 다당체를 추출하여 암세포를 이식한 ICR mouse에 투여한 결과 거의 전 균주가 항종양 작용을 나타내었으나 버섯종류 간에 큰 차이를 보였고 그중 L. betulina 8029와 미분류된 8058 균주는 효과가 비교적 높았다. 목재부후균의 세룰로스와 리그닌 분해력은 거의 전 공시균주에서 나타났고 종류간에 역가가 다양하여 강력한 분해균의 선발 가능성을 보였다.

  • PDF

소나무 리지나뿌리썩음병(病)에 관(關)한 연구(硏究) : Rhizina undulata의 생리적(生理的) 특성(特性) 및 병원성(病原性) (Studies on Rhizina Root Rot Disease of Pinus densiflora :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athogenicity of Rhizina undulata)

  • 이상용;김완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9권3호
    • /
    • pp.322-329
    • /
    • 1990
  • 리지나뿌리썩음병(病)에 의한 소나무림(林)의 군상고사(群狀枯死) 현상(現象)이 강릉지방(江陵地方)에서 발견되었는데 흑갈색(黑褐色)의 부후반점(腐朽斑點), 방사상(放射狀) 부후(腐朽)흔적 및 모래덩이 형성등(等)이 이병목(罹病木)의 뿌리에서 관찰되었다. 년간(年間) 피해(被害) 확산거리(擴散距離)는 약(約)6m였으며, 포착목(捕捉木)에 의하여 이병목(罹病木) 토양중(土壤中) 병원균(病原菌)이 검출(檢出)되었다. Rhizina undulata의 자양포자(子襄胞子)는 $37^{\circ}C$ 24시간(時間) 또는 $40^{\circ}C$ 17시간(時間) 열처리(處理)에 의하여 발아(發芽)되었으며, PDA배지(培地)에서 균사(菌絲)의 생장이 양호하였고, 최적생장온도(最適生長溫度)는 $25-30^{\circ}C$ 배지(培地)의 최적(最適)pH는 5.6-6.3이었다. 試驗管내(試驗管內)에서의 접종실험결과(接種實驗結果), 침엽수가 활엽수보다 감수성(感受性)을 나타내었다.

  • PDF

화학(化學)펄프 제조(製造)에 미생물(微生物)의 응용(應用) 가능성(可能性) (On Possible Application of Microorganism for Chemical Pulping)

  • 이선호;윤병호;이원용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3권1호
    • /
    • pp.143-152
    • /
    • 1997
  • 백색부후균인 Fomes pini (Thore) Lloyd에 의해 처리된 chip을 anthraquinone(AQ)을 첨가하여 화학 펄프화를 실시하여 얻은 결과를 미처리재의 것과 비교하였다. 균처리함에 의해 카파값 20에서의 H factor는 소다와 크라프트 증해에서 각각 17%와 15%가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목재를 백색부후균으로 처리함으로 인해 탈리그닌이 용이해졌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비페놀성 ${\beta}$-O-4 화합물인 veratrylglycerol-${\beta}$-guaiacyl ether(I)와 페놀성 ${\beta}$-O-4 화합물인 syringylglycerol-${\beta}$-syringyl ether(III)에 백색부후균을 작용시키면 반응생성물로서 각각 ${\alpha}$-guaiacoxy-${\beta}$-hydroxypropioveratrone(II)과 ${\alpha}$-syringyloxy-${\beta}$-hydroxypropiosyringone(IV)이 생성됨이 밝혀졌다. 따라서 목재에 균처리를 함으로서 카르보닐기가 리그닌의 측쇄 ${\alpha}$ 위에 도입되어 그로 인해 탈리그닌이 용이하게 된 것으로 여겨진다.

  • PDF

Trametes versicolor에 의한 상수리나무의 분해형태 (Morphological aspects of white-rot degraded oak wood by Trametes versicolor)

  • 유태방;윤민호;최우영;이종신
    • 농업과학연구
    • /
    • 제28권2호
    • /
    • pp.125-131
    • /
    • 2001
  • 백색부후균 Trametes versicolor(CV5) 균주에 의한 wood lignin의 분해능을 조사하였다. CV5는 활엽수와 침엽수에 속하는 여러 수종의 프로토 리그닌 분해 시 활엽수에 한해서 분해되는 특성을 보였으며, 특히 상수리나무에서 33.5%의 가장 높은 리그닌이 분해되었다. 리그닌 분해에 관련된 phenoloxidase 분비능을 Bavendamm 시험을 통해 검토한 결과 CV5는 지금까지 연구된 우수 백색 부후균과 같은 유사 반응 형태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수리 목재 chip표면에 CV5의 균사가 생육하면서 목재조직이 부후된 상태를 주사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목섬유 및 도관에서 균사의 침투와 목재조직의 분해를 확인하고 리그닌에 대한 높은 선택적 분해력을 갖고 있음을 구명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