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호화 결함 감소

Search Result 242,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Reduced Inter-view PSNR variance Rate-control Algorithm for Multi-View Video coding (다시점 비디오 영상 부호화기를 위한 시점 간 PSNR 분산 감소 비트율 제어 알고리즘)

  • Ryu, Seung-Chul;Seo, Jung-Dong;Liu, Xingang;Yan, Zheng;Sohn, Kw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0.07a
    • /
    • pp.134-137
    • /
    • 2010
  • 다시점 영상 비디오를 부호화하기 위해 다시점 영상 부호화기(MVC)가 제안되었다. MVC가 다시점 영상 비디오를 효율적으로 압축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제한된 대역폭의 채널을 통해 다시점 영상을 전송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제한된 대역폭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비트율 제어 알고리즘이 요구된다. 2D 영상 부호화를 위한 비트율 제어 알고리즘은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다시점 영상 부호화를 위한 비트율 제어 알고리즘은 아직 충분히 연구되어지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시점 간 화질 분산과 계층적 B 픽처 구조를 고려한, 다시점 영상 부호화를 위한 비트율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부호화 전 단계, 시점 레벨 비트율 제어, GOP 레벨 비트율 제어, 픽처 레벨 비트율 제어의 네 단계로 이루어진다. 부호화 전 단계에서 시점 간 비트율의 비중과 계층 레벨 간의 비중을 계산한다. 그리고 시점의 목표 비트율, GOP의 목표 비트율, 픽처의 목표 비트율이 각각 시점 레벨 비트율 제어단계, GOP 레벨 비트율 제어단계, 픽처 레벨 비트율 제어 단계에서 계산된다. 실험 결과는 제안된 방식이 시점 간 화질(PSNR)의 분산을 줄이면서 비트율을 제어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 PDF

A Preprocessing Technique of Gray Scale Image for Efficient Entropy Coding (효율적인 엔트로피부호화를 위한 명암도 등급 이미지의 전처리 기법)

  • Kim, Sun-Ja;Han, Deuk-Su;Park, Jung-Man;You, Kang-Soo;Lee, Jong-Ha;Kwak, Hoon-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805-808
    • /
    • 2005
  • 엔트로피부호화(entropy coding)는 텍스트와 같은 일반적인 데이터들을 효율적으로 압축하는 반면에, 이미지 데이터들에 대해서는 그 성능이 다소 저하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개선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전처리기법(preprocessing technique)을 소개한다. 제안한 전처리기법은 입력된 명암도 등급 이미지를 무손실 압축하기 이전에, 이미지 내에서 인접한 명암도 값들의 발생빈도(occurrence frequency)를 조사한다. 다음으로 각 픽셀 쌍들의 명암도 값들을 발생빈도에 기반한 순서화된 값(ordered number)들로 대체시킨 후, 최종적으로 엔트로피부호화에 의한 압축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단계들을 거치면서 이미지 데이터의 통계적인 특성(statistical feature)이 보다 강화되기 때문에, 엔트로피부호화에서의 무손실 압축 성능을 효율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실험을 통하여 256 명암도 등급 이미지들을 산술부호화와 허프만부호화를 사용하여 압축한 결과, 제안한 전처리기법이 압축 후 비트율(bit rate)을 최대 37.49%까지 감소시켰음을 확인하였다.

  • PDF

VLSI Circuit Implementation of A Blocking Effect Reduction Algorithm (블록 효과 감소 알고리듬의 VLSI 회로 구현)

  • 김희정;박성모;최진호;김지홍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545-548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유리 B 스플라인 곡선을 이용한 블록 효과 감소 알고리듬을 VHDL을 이용하여 설계하고, 모의 실험을 통하여 동작을 확인한다. 블록 효과는 매우 낮은 비트율로 블록 기반 부호화 방식을 수행할 때 복원 영상에서 나타나는 블록 형태의 왜곡을 의미한다. 설계된 회로는 유리 B 스플라인 곡선을 적용한 블록 효과 감소 알고리듬으로서, 이 기법은 컴퓨터 그래픽스 분야에서 제어점을 근사하는 부드러운 곡선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플라인 곡선을 적용하여 블록 현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설계된 회로는 주파수 100MHz에서 동작을 시켰으며, 모의 실험 결과 매우 우수한 블록 효과 감소 기능을 가진 것을 알 수 있다.

  • PDF

Fast Intra Mode Selection Algorithm for H.264/AVC Using Constraints of Frequency Characteristics (주파수 특성의 제약 조건들을 이용한 H.264/AVC를 위한 고속 화면 내 모드 선택 방법)

  • Jin, Soon-Jong;Park, Sang-Jun;Jeong, Je-Chang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3 no.4C
    • /
    • pp.321-329
    • /
    • 2008
  • H.264/AVC video coding standard enables a considerably higher improvement in coding efficiency compared with previous standards such as MPEG-2, H.263 and MPEG-4. To achieve this, for each macro-block in H.264/AVC, Rate-Distortion Optimization (RDO) technique is employed to select the best motion vector, reference frame, and macro-block mode. As a result, computational complexity is increased significantly whereas RDO achieve higher improvement. This paper presents fast intra mode selection algorithm based on constraints of frequency characteristics which are derived from intra coding modes of H.264/AVC. First of all, we observe the features of each intra mode through the frequency analysis of image. And then proposed Frequency Error Costs (FECs) are calculated to select the best mode which has minimum cost. Computational complexity is considerably reduced because rate-distortion costs only calculate the candidate modes which are set of best mode and its neighbouring two mode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proposed algorithm reduces the complexity dramatically maintaining the rate-distortion performance compared with H.264/AVC reference software.

Performance Analysis of Screen Contents Coding Tools to Reduce Inter-Color Component Correlation (색 공간 내 중복 정보 감소를 위한 HEVC 스크린 콘텐츠 부호화 기법 성능 분석)

  • Kang, Je-Won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0 no.5
    • /
    • pp.687-696
    • /
    • 2015
  • JCT-VC (Joint Collaborative Team on Video Coding) continues developing HEVC/Screen Content Coding (HEVC/SCC) as an extension for efficiently coding screen content videos, including computer animations, graphics, and electrical documents, based on HEVC/Range extension (HEVC/RExt.). Color space conversion from RGB space being captured from CCD sensors is popular in natural video coding. However, the conversion is often undesired for screen contents because of a significant loss in perceptual quality. Therefore, several coding tools including cross-component prediction (CCP) and in-loop adaptive color space transform (ACST) have been developed for an efficient screen content video coding in order to reduce the redundancies between color spaces while maintaining the original color space. In this paper, we review the two coding tools, i.e., CCP and ACST exploiting the correlation in the RGB color space and conduct the performance analysis of the coding tools. In our simulation results, CCP and ACST provide 11.7% BD-rate saving and 16.4% BD-rate saving, respectively, while the two coding tools provide 18.2% BD-rate saving in total. Following this idea, if the two coding tools are exclusively selected, we provide 93% encoding measurement time with a 0.3% coding loss.

Fast Disparity Motion Vector Searching Method for the MV-HEVC (MV-HEVC에서 빠른 변위 움직임 벡터 탐색 방법)

  • Lee, Jae-Yung;Han, Jong-Ki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2 no.2
    • /
    • pp.240-252
    • /
    • 2017
  • Multi-view video codec based on the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MV-HEVC) has high encoding complexity because it exploits an additional reference picture for disparity compensation prediction (DCP) when the picture of dependent view is encoded.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method to reduce the complexity of disparity motion vector search for the MV-HEVC. The proposed method includes the initial search point decision method using affine transform and the adaptive search range decision method.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reduces the complexity of disparity motion vector search up to 90.78% with negligible coding efficiency degradation. Also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outperforms other conventional techniques reducing complexity.

An Improved Motion Compensated Temporal Filtering for Efficient Scalable Video Coding (효율적인 스케일러블 비디오 부호화를 위한 향상된 움직임 보상 시간적 필터링 방법)

  • Jeon, Ki-Cheol;Kim, Jong-Ho;Jeong, Je-Chang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2 no.5C
    • /
    • pp.520-529
    • /
    • 2007
  • In this paper, we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parameters which are related to performance of MCTF which is a key technique for wavelet-based scalable video coding, and propose an improved MCTF method. The proposed MCTF method adopts the motion estimation of which motion vector field is distributed more uniformly using variable block sizes. By using the proposed method, the decomposition performance of temporal filter is improved, and the energy in high-frequency frames is reduced. It can help the entropy coder to generate lower bitrate. From simulation results, we verify the decomposed energy on high-frequency frame using the proposed method is reduced by 25.86% at the most in terms of variance of the high-frequency frame.

Dynamic Universal Variable Length Coding with Fixed Re-Association Table (고정 재배정 테이블 기반 동적 UVLC 부호화 방법)

  • Choe, Ung-Il;Jeon, Byeong-U;Yu, Guk-Yeol;Cheon, Gang-Uk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39 no.2
    • /
    • pp.56-68
    • /
    • 2002
  • The Universal Variable Length Coding(UVLC) scheme in H.26L has nice features such as error resiliency and two-way decodability. However, it has lower coding efficiency than the conventional Huffman coding. To improve the coding efficiency of UVLC, we Propose to use a dynamic codeword mapping that changes association between symbols and codewords in order to utilize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symbols as much as possible but without losing any features of the UVLC. Both encoder and decoder use the same re-association table, and hence the encoder need not send additional overhead for the re-mapping relationship to the decoder.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without significant change of the current H.26L coding scheme, the proposed method additionally attains up to about 8% and about 5% bit reductions respectively in intra and inter frames over the current H.26L encoding method.

Fractal Coding Method using Bit - plane Image (비트 - 플레인 영상을 이용한 프랙탈 부호화 기법)

  • Kim, Jeong-Il;Lee, Kwang-Bae;Kim, Hyen-Ug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5 no.4
    • /
    • pp.1057-1065
    • /
    • 1998
  • This paper describes a new fractal image coding algorithm to shorten time to take on fractal image encoding by using limited search area method and scaling method. First, the original image is contracted respectively by half and by quarter with the scaling method. And then, the corresponding domain block of the quarter-sized image which is most similar with one range block of the half-sized image is searched within the limited area in order to reduce the encoding time extremely. This searched block is used in encoding. Also, we propose an algorithm provided much shorter encoding time and better compression ratio with a little degradation of the decoded image quality than Jacquin's method.

  • PDF

An Efficient Predictive-SBR Implementation (효율적인 예측 SBR 구현)

  • Heo, So-Young;Kim, Ri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8.02a
    • /
    • pp.109-112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MPEG-4 HE-AAC의 SBR 부호기의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예측 SBR(Predictive-SBR)을 제안한다. SBR 부호기는 주부호기(core encoder)와 결합하여 적은 비트량으로 고주파 성분을 복원할 수 있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SBR 데이터의 약 70%를 차지하는 포락선 정보를 부호화하는 방법을 개선하여 효율성을 높이고자 한다. 기존 SBR은 포락선 정보의 전송을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한다. 먼저 고주파 대역의 에너지를 스케일팩터 밴드 단위로 계산한다. 다음으로, 전송정보량의 감소를 위해 델타 코딩 방식을 이용하여 에너지 정보를 부호화한다. 본 논문에서는 SBR의 포락선 정보를 효과적으로 감축하기 위하여 고주파 대역의 에너지를 예측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SBR 부호기의 입력 데이터가 SBR 복호기의 입력데이터와 동일하다는 가정 하에 선형 회귀(linear-regression) 기법을 이용하여 고주파 대역의 에너지를 추정한다. 그 후에 추정된 에너지와 원래의 고주파 대역 에너지의 오차를 델타 코딩을 이용하여 부호화한다. 정보를 전송할 때는 고주파 대역 에너지의 델타 코드와 예측 SBR에서 계산한 오차의 델타 코드 중 부호화에 필요한 비트량이 적은 방식을 선택하여 부호화하도록 한다. 그 결과 약 10% 정도의 정보량 감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