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하할당

Search Result 277, Processing Time 0.059 seconds

Waste Load Allocation Method for Total Maximum Daily Load Program of a Polluted River (수질오염총량관리제 대상 오염심화 하천에 대한 오염부하량 할당방법)

  • Cho, Jae-Heo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2 no.2
    • /
    • pp.157-170
    • /
    • 2013
  • 수질오염총량관리제 시행 하천에 대해서는 객관적이고 과학적 방법으로 유역내 각 지역의 오염부하량을 할당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도시에서 배출되는 오염부하의 영향을 크게 받는 영산강수계의 중상류부를 대상으로 오염부하량 할당 방법에 대해 검토하였다. 오염부하량 할당을 위한 수질모델링은, 수질관리에 흔히 적용되어온 QUAL2E의 최근 판인, QUAL2Kw를 이용해서 수행하였다. 모델 적용 대상 지역의 각 reach의 수질매개변수는 QUAL2Kw의 자동보정 기능을 이용해서 추정하였다. 오염부하량 할당의 최적화는 유전알고리즘(genetic algorithm)을 이용하였고, 최소부하량 삭감법(least waste load removal allocation), 일정 부하량 이상 최소부하량 삭감법(least waste load removal over a certain value), 동일삭감률 할당법(equal removal rate)의 세가지 방법을 적용하고 비교 검토하였다. 동일삭감률 할당법은 다른 방법보다 유역 전체 부하량 삭감량이 훨씬 크기 때문에 효과적이지 않았고, 이 방법을 쓰기 위해서는 부하량 삭감대상인 각 소유역과 하수처리장을 그 규모와 특성에 따라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 동일삭감률 할당법의 적용시 세가지 범주로 나누어서 삭감률을 적용하였다. 오염부하량 삭감의 효율성을 감안할 때 최소 부하량 삭감법보다 일정 부하량 이상 최소부하량 삭감법이 더 적절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Adaptive Load Balancing Method for CORBA System (CORBA시스템을 위한 적응적 부화균등화 기법)

  • 백승민;김성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c
    • /
    • pp.358-360
    • /
    • 2002
  • 기존의 정적 부하균등화 기법들은 동적 객체의 내재된 부하와 서버득의 다양한 상태 변화에 따른 능동적 부하분배가 불가능하다. 이를 위해 각 서버에서 프로세스가 자원을 전유하는 비율에 따라 해당 서버의 부하량을 판단하는 새로운 부하할당 기법을 제안하였다. 각 서버의 더미 프로세스는 자신이 프로세서를 점유하는 시점마다 해당 서버의 ID만을 전달함으로써 부하에 따른 차등하게 비동기된 서버보고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 라 서버는 자신의 부하량에 비례하여 부하균등화 참여율을 조정하여 성능저하를 최소화하고 부하량 판단 정보로 활용한다. 결국 제안기법은 웹 서비스의 부하의 성향에 무관하게 지능적인 부하할당을 가능케 한다.

  • PDF

Data Allocation and Load Balancing for Different Distributed Video Server (서로 다른 분산 비디오 저장 서버를 위한 데이터 할당과 부하 조정)

  • 송상우;정병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92-94
    • /
    • 2000
  • 비디오 저장 서버를 설계하는데 가장 주안을 두어야 할 점은 서버의 이용률을 증가시키고 그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 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를 위한 서버로 분산 비디오 저장 서버가 주로 이용되고 있고, 그 목적으로는 균등한 비디오 할당과 부하조정(load balancing)이 제안되어 왔다. 이에 대한 방안의 하나로 디스크 기반의 비디오 저장 서버 클러스터에서 부하 시프팅(load shifting)이 그 목적을 이루기 위한 한가지 방법으로 연구되었다. 이것은 동일한 용량의 서버로 구성된 비디오 서버 클러스터에서 비디오를 다른 서버에 복사해 놓고 사용되고 있는 비디오 요구시 그 비디오에 대한 요구를 다른 서버의 복사본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서버들에 대해 균등한 비디오 할당을 하고 서버나 비디오의 추가와 같은 동적인 변화에 대해 데이터 활당 및 부하 조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기존의 동일한 서버만을 사용한 것과는 달리 용량이 서로 다른 서버나 비디오를 추가할 경우에 요구되는 최적의 비디오 데이터 할당과 부하 조정에 관한 전략에 관하여 설명한다.

  • PDF

Optimal Load Allocation Scheme for Cloud Service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최적 부하할당 기법)

  • Han, Young-Joo;Lee, Yo-Han;Youn, Chan-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216-219
    • /
    • 2011
  • 이 기종의 컴퓨팅 자원들로 구성된 데이터센터에서 사용자가 제출한 클라우드 작업의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작업할당 기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작업의 처리시간을 사용자의 QoS 로 정의하고 작업처리시간을 최소화하면서 동시에 모든 사용자에게 차별 없이 동일한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최적 작업할당 문제를 정의한다. 협력적 게임모형인 NBS(Nah Bargaining Solution)을 이용하여 정의한 문제를 해결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각 자원에 할당되는 작업부하를 효율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파레토 최적을 유지할 수 있는 협력적 부하분산 정책을 도출하였다. 또한, 성능 평가를 통해 제안한 기법이 작업처리시간을 최소화하면서도 모든 자원에서의 작업처리시간이 동일함을 보였다.

The Flow Control for MPLS Networks Bandwidth Assignment in Diffserv (DiffServ를 이용한 MPLS망 내에서 대역폭 할당을 위한 흐름 제어 방법)

  • 박종진;이병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e
    • /
    • pp.529-531
    • /
    • 2002
  • VoIP기술의 확산과 그에 따른 IP기반의 망을 포함한 packet, Multimedia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늘고있다. 그러나 실시한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이 서비스의 경우에는 그에 따르는 경로에 확실한 대역폭의 조건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best-effort방식을 사용하는 기존의 망에서는 대역폭의 확실한 보장이 이루지기 힘들다. 하지만 MPLS와 트래픽 엔지니어링 기술의 발전으로 다중경로 패킷 전달 및 동적인 부하 제어가 가능하게 되었다. 곧 차별화된 서비스에 따른 대역폭의 할당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동적인 부하 제어는 네트웍의 상태를 고려하여 경로간의 부하를 조절함으로써 네트웍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나, 상태 정보의 시간차이에 의해 불안정한 상태에 이르기 쉽다. 본 논문에서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하기 위해 부하의 할당을 안정적으로 변화시키면서도 효율적인 부하로 용량에 맞게 흐름을 받아들이고 패킷을 전송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 PDF

Performance Analysis of FA Allocation Schemes of CDMA Radio Networks (CDMA 무선망의 FA 할당 방식 성능 분석)

  • 김장욱;유병철;오창헌;조성준
    • Proceedings of the Korea Electromagnetic Engineer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59-62
    • /
    • 2000
  • 현재 CDMA 시스템에서 통화채널의 주파수 할당 방식에 Hashing 알고리즘이 사용되며, Hashing알고리즘에 의해 FA(frequency assignment)간 부하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 Hashing 알고리즘은 모든 가입자 번호를 각 FA에 균일하게 할당하지만, 개별 기지국의 가입자 분포는 각 FA별로 반드시 균일하게 분포되지는 않는다. 이런 FA간 가입자 분포의 불균형은 해당 기지국의 과부하로 인식되어 조기 FA 증설이 요구되며, 해당 과부하 FA의 통화품질 열화를 일으킨다. 따라서 부하 균형에 따라 통화채널의 FA할당을 조절하기 위한 Hashing 후 강제 할당 방식인 OFD(optional forced distributio)을 제안하고 이를 CDMA 시스템에 적용하여 부하 균형의 개선 효과를 얻었다.

  • PDF

A Load Control Scheme for Mobile Multimedia Networks (이동 멀티미디어 통신망을 위한 부하제어 방안)

  • Lee, Moo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1a
    • /
    • pp.275-277
    • /
    • 2016
  • 이동통신망에서 광대역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무선 자원 확보를 위해서는 매크로셀/마이크로/피코셀(macro/micro/pico cell) 구조를 통해 무선 자원을 효과적으로 재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런 구조에서는 작은 셀 반경으로 인하여 빈번히 핸드오버가 발생하게 되고 이동성 또한 시간과 장소에 따라서 다양하게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이동통신망의 핸드오버 상황에서, 다양한 고속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일정한 수준의 QoS (Quality of Services)를 보장하기 위한 자원할당 시의 부하 제어 방안을 제안한다.

  • PDF

Hash-based Parallel Join Schemes Supporting Dynamic Load Balancing in Data Sharing Systems (데이터 공유 시스템에서 동적 부하분산을 지원하는 해쉬 기반 병렬 조인 처리 기법)

  • 문애경;조행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249-251
    • /
    • 1999
  • 해싱 함수를 이용하여 작업을 여러 노드에 분할해서 실행하는 해쉬 기반 병렬 조인 기법에서 Data Skew는 특정 노드에 부하를 집중시키므로 시스템의 성능을 떨어뜨린다. 본 논문에서는 기본적인 해쉬 기반 조인 기법을 데이터 공유시스템에 적용하고, Data Skew를 해결하기 위하여 동적 작업 할당과 부하가 집중된 노드의 작업을 다른 노드로 재할당하는 작업 재배치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들의 성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모의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모든 노드에서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된 디스크를 공유하는 데이터 공유 시스템의 겨우 동적 작업 할당과 작업 재배치 방법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A Dynamic Buffer Allocation Scheme in Video-on-Demand System (주문형 비디오 시스템에서의 동적 버퍼 할당 기법)

  • Lee, Sang-Ho;Moon, Yang-Sae;Whang, Kyu-Young;Cho, Wan-Sup
    • Journal of KIISE:Computer Systems and Theory
    • /
    • v.28 no.9
    • /
    • pp.442-460
    • /
    • 2001
  • In video-on-demand(VOD) systems it is important to minimize initial latency and memory requirements. The minimization of initial latency enables the system to provide services with short response time, and the minimization of memory requirements enables the system to service more concurrent user requests with the same amount of memory. In VOD systems, since initial latency and memory requirement increase according to the increment of buffer size allocated to user requests, the buffer size allocated to user requests must be minimized. The existing static buffer allocation scheme, however, determines the buffer size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y system is in fully loaded state. Thus, when the system is in partially loaded state, the scheme allocates user requests unnecessarily large buffers. This paper proposes a dynamics buffer allocation scheme that allocates user requests the minimum buffer size in fully loaded state as well as a partially loaded state. This scheme dynamically determines the buffer size based on the number of user requests in service and the number of user requests arriving while servicing current requests. In addition, through analyses and simulations, this paper validates that the dynamics buffer allocation outperforms the statics buffer allocation in initial latency and the number of concurrent user requests that can be supported. Our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in proportion to the static buffer allocation scheme, the dynamic buffer allocation scheme reduces the average initial latency by 29%~65%, and in a systems having several disks. increases the average number of concurrent user requests by 48%~68%. Our results show that the dynamic buffer allocation scheme significantly improves the performance and reduce the capacity requirements of VOD systems.

  • PDF

Calculation of Total Amount of Pollutant Load by Sub-Watersheds in the Anyangcheon Watershed (안양천 유역의 소유역별 오염총량 산정)

  • Lee, Kil-Seong;Kim, Kyung-Tae;Kim, Sang-Ug;Chung, Eun-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981-1984
    • /
    • 2008
  • 기존 하천에 실시되고 있던 농도 규제의 근본적인 한계를 극복하고자 우리나라 4대강에 오염 총량관리제도가 실시되었다. 그러나 1999년부터 약 8년 동안 실시된 오염총량관리제도에 기술적 제도적 문제들이 발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오염총량관리제도의 많은 문제점들 중에 기준유량에 대한 문제점과 오염부하량의 할당에 대한 문제점에 중점을 두었다. 총량관리단위유역은 대표적인 도시하천 중 하나이며 한강의 지류인 안양천 유역이며, 목표수질은 1991년 환경부 하천환경수 질기준인 5등급으로 결정하였으며, 관리물질은 1차관리물질인 BOD(Biochemical Oxygen Demand)이다. 기준유량은 평균저수량과 평균갈수량을 사용하여 비교하였고, 발생부하량을 계산하였으며, 발생부하량에 의한 배출부하량을 계산하고, HSPF(Hydrologic Simulation Program - FORTRAN) 모형을 사용하여 배출부하량으로 인한 유달부하량을 산정하여 허용부하량을 계산하였다. 마지막으로 목표수질을 만족시키기 위해 삭감부하량을 계산하였고, 삭감부하량을 안양천 유역의 각 소유역별로 할당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