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착율

Search Result 870,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전복 유생 사육을 위한 부착성 규조류의 먹이 효율

  • 박세진;허성범
    • Proceedings of the Korean Aquacultur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86-87
    • /
    • 2003
  • 본 실험은 전복 종묘생산 시 먹이생물로 적합한 부착 규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부경대학교 한국해양 미세 조류 은행에서 보유한 부착 규조종 중, 해역, 크기, 부착력, 영양분석 결과를 고려하여, 11종의 부착 규조를 선택하였다. 각 부착 규조를 f/2 배지로 파판에 배양 한 후 평균 각장 7mm의 까막전복 치패를 대상으로 26일 간 먹이 효율을 조사하였다. 또 이 실험의 결과를 토대로 먹이 효율이 좋은 4종의 부착 규조를 선택하여 참전복 유생의 부착율과 먹이 효율을 조사하였다. 참전복 유생은 수정 후 56 시간이 지난 veliger유생을 이용하여 각 규조에 따른 유생의 부착율, 사망률, 변태율, 성장률을 측정하였다. 까막전복 치패를 대상으로 규조종별 먹이 효율을 실험한 결과, 생존율은 Caloneis schroder가 37.1%, Nitzchia sp. 35.0%, Navicula sp.가 31.4%로 대체로 높은 생존율을 보인 반면에, Navicula elegans이 6.4%, Cylidrotheca closterium.은 11.7%로 낮은 생존율을 보였다. 실험 종료후, 까막전복 각장의 성장을 측정한 결과, Cocconeis californica가 9.33 mm, Achnanthes sp.은 9.27 mm으로 대체로 높은 성장을 보였다. 이에 반해 Navicula elegans은 8.60 mm으로 낮은 성장을 보였다. 전복 전중과 육중은 Amphora sp.에서 각각 87.7mg, 35.2mg 으로 가장 높았으며, Cocconeis californica와 Achnanthes sp.에서도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Navicula elegans는 각장의 성장에서와 같이 가장 낮은 증육을 보였다. 규조 4종을 대상으로 한 참전복 유생의 부착율 에서는 수정 후 152시간 후 Cocconies califonica에서 47.3%로 가장 높은 반면, Caloneis schroder 에서 23.8%로 가장 낮았다. 실험 9일째 사망률은 Cocconeis californica에서 63.6%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Nitzchia sp.에서 90.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생의 변태율은 Cocconeis californica에서 98.5%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유생의 일간 성장율 역시 Cocconeis californica에서 25.4 $\mu\textrm{m}$/day로 높았고, Nitzchia sp.에서 13.9 $\mu\textrm{m}$/day로 낮았다. 실험 24일째 참전복 유생의 최종 생존율은 변태율과 일간 성장률이 높았던, Cocconeis californica에서 7.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

Adherence Rates of Salmonella Typhimurium and Salmonella spp. in Pork Meat Contaminated during Processing (포장돈육 중 Salmonella Typhimurium과 Salmonella spp.에 오염된 돈육으로부터 식품과 식품접촉면으로의 오염 부착율)

  • Kim, Seong-Jo;Bahk, Gyung-Jin;Ding, Tian;Kim, Tae-Woong;Oh, Deog-Hwan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40 no.3
    • /
    • pp.349-353
    • /
    • 200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adherence rates of standard type Salmonella Typhimurium (ST) and wild type Salmonella spp.(WT) in pork after the following contact types and times at $10^{\circ}C$: pork meat (2, 6, 24 hr), conveyer belt (2, 6 hr), stainless steel (2, 6 hr), and cutting board (2, 6 hr). After 6 hr of pork meat to meat fat contact, the adherence rates for ST and WT were approximately 4.21 and 26.87%, respectively, and after 6 hrs of pork meat to red meat contact they were 16.40 and 27.48%, respectively. However, after 24 hr of both types of contact, ST and WT showed 100% adherence rates. The adherence rates for ST after 2 hr and 6 hr of pork meat to conveyer belt contact were 1.34 and 0.60%, respectively, while the adherence rate for WT was 5.14% after 6 hr of contact. After pork meat to stainless steel contact, ST showed adherence rates of zero and 1.59% after 6 and 24 hr of contact, respectively, while the adherence rates for WT ranged from 0.17% after 2 hr to 5.01% after 6 hr. On the other hand, neither ST nor WT offered adherence data following pork meat to cutting board conta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dherence rates of ST and WT after pork meat to pork meat contact or pork meat to processing surface contact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contact time and WT presented much higher adherence rates for both types of transmission than ST.

Effects of Milling Conditions on the Adherence of Rice Germs (도정조건이 쌀의 배아부착에 미치는 영향)

  • 정종훈;엄천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289-296
    • /
    • 2002
  • 배아부착률이 높은 배아미를 생산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현미의 함수율과 입형정미기 축회전속도가 쌀 배아부착률, 싸래기율, 백도, 동할율 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축회전속도에 관계없이 현미의 함수율이 배아부착률에 큰 영향을 줌을 알 수 있었다. 쌀의 배아부착률은 함수율 13.2%에서는 약 70%∼76%이었고, 함수율 13.4∼14.5%에서 약 66∼67%, 함수율 15.2%에서 약 38∼46%, 함수율 15.4%에서는 약 9∼10%로서, 함수율이 증가함에 따라 배아부착률은 함수율 15.4%에서 급격히 감소하였다. 또한, 축회전속도 900rpm일 때의 배아부착률이 1100rpm일 때의 배아부착률보다 함수율 13.2%∼15.2% 범위에서 약 2∼8%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식미를 고려하고 높은 배아부착률을 갖기 위해서는 약 함수율 15.2% 이하에서 도정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정미기 축회전속도의 감소로 함수율 15.2% 이하에서는 쌀의 배아부착률을 약 8%까지 높일 수 있었다. 2. 축회전속도에 관계없이 현미의 함수율 증가에 쌀의 백도는 약 23에서 40가지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함수율 약 15.2% 이상에서는 약 40까지 급격히 증가하였다. 함수율 13.2%∼15.4%에서 축회전속도 1100rpm에서의 백도가 900rpm일 때 보다 약 1.3∼4.0정도 약간 놀게 나타났으나, 함수율 약 16.7% 이상에서는 그 차이는 거의 없었다. 즉 쌀의 백도는 함수율에 따라 결정적인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3. 함수율이 정백공정중 싸래기율에 커다란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현미의 함수율 13.4%에서 16.7% 범위에서는 두 축회전속도에서 같은 경향으로 싸래기율이 약 3.5%에서 약 1%까지 점차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함수율이 16.7% 이상일 때부터 싸래기율이 증가하였다. 또한, 함수율 약 15.2%가지는 축회전속도 1100rpm에서의 싸래기율이 900rpm일 때 보다 약 0.6%∼1.0% 높게 나타났다. 4. 함수율 13.2%부터 16.2%까지는 함수율에 따라 배아미의 동할율은 거의 약 9% 이하로 일정하였다. 또한, 함수율 13.2%∼14.5% 사이와 17%이상에서는 1100rpm에서의 동할율이 900rpm일 때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축회전속도에 관계없이 함수율 16.7%에서는 동할율이 약 10%, 함수율 약 17%에서는 동할율이 약 20%까지 급격히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함수율이 쌀의 배아부착률, 백도, 싸래기율, 동할율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며, 다음으로 입형정미기 축회전속도 역시 배아부착률, 백도, 싸래기율, 동할율 등의 물성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 PDF

Adherence Rate of Listeria monocytogenes Contaminated from Pork Meat During Pork Meat Processing (포장돈육 가공공정 중 Listeria monocytogenes에 오염된 돈육으로부터 오염 부착율)

  • Kim, Seong-Jo;Bahk, Gyung-Jin;Oh, Deog-Hwan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22 no.4
    • /
    • pp.332-337
    • /
    • 2007
  • This study was done to determine the adherence rate of Listeria monocytogenes(LM) from pork meat to pork meat, conveyer belt and stainless steel, and cutting board at $10^{\circ}C$ for given times (2, 4, 24 hours). The adherence rates of ATCC and wild type LM from pork meat to red meat or fat meat after 2 hour contact time were approximately 65-79%, but 100% adherence rates of both LM after 6 hours were observed. The adherence rate of ATCC LM from pork meat to conveyer belt and stainless steel after 24 hours was 0.15%, while the adherence rate of wild type LM was rapidly increased from 4.34 after 2 hours to 28.6% after 24 hours. Also, The adherence rate of ATCC LM from pork meat to stainless steel after 24 hours ranged from 2.63% after 2 hours to 0.39% after 24 hours, while the adherence rate of wild type LM ranged from 0% after 2 hours to 24.4% after 24 hours. In the meantime, no adherence rate of both LM from pork meat to cutting board was observed. This results suggest that the adherence rate of LM from pork meat to pork meat or food contact surfaces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contact time and wild type LM showed much higher adherence rate to pork meat or food contact surfaces than ATCC LM.

부착성 규조류의 종류에 따른 참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Ino 유생의 부착율과 치패의 성장 및 생존율

  • 백재민;김철원;황은경;임상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Aquacultur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98-98
    • /
    • 2003
  • 최근 고부가가치의 산업으로 자리매김한 참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Ino 인공종묘생산시 생산성 향상을 위해, 참전복 사육수조의 파판에 부착 생육하는 Cocconeis sp., Nitzschia sp., Navicula sp., Bacillaria sp., Licmophora sp. 5종을 순수분리한 후 대량배양하여 각 종별 규조류와 자연발생된 혼합규조류에 대한 전복유생의 부착율, 초기치패의 성장 및 생존등을 비교분석 하였다. 5종의 부착규조류의 20$\ell$ 배양은 약 2주간 실시되었는데 초기접종농도는 각각 20만세포/$m\ell$ 였으며 가장 빠른 성장을 보인 종은 Cocconeis sp.와 Navicula sp.로 접종 12일후에 각각 128만세포/$m\ell$와 110만세포/$m\ell$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Licmophora sp.는 69 만세포/$m\ell$로 가장 저조한 성장을 보였다. 유생의 부착율은 Cocconeis sp. 배양 시험구에서 43.1%로 가장 높았으며, Licmophora sp.는 16.3%로 대조구에 비해 현저히 낮은 값을 나타냈다(P<0.05). 치패의 일간성장율은 Navicula sp.에서 64.1 $\mu$m로 가장 높았으며, Licmophora sp.는 22.4 $\mu$m로 대조구에 비해 월등히 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패의 생존율은 Navicula sp.에서 62.0%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P<0.05), Cocconeis sp. 와 Nitzschia sp.는 각각 60.5%, 59.2%로 대조구의 48.8% 보다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P<0.05). 본 시험의 결과는 먹이효율이 뛰어난 특정 부착성 규조를 전복 종묘생산에 이용하므로써 전복 유생의 부착율, 치패의 생존 및 생장율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 PDF

Attachment of Hard Shelled Mussel, Mytilus coruscus and Blue Mussel, Mytilus edulis (홍합 Mytilus coruscus과 지중해담치 Mytilus edulis의 부착 비교)

  • Wi, Chong-Hwan;Kim, Hyeung-Sin;Kim, Jong-Hyun;Chang, Young-Jin;Jung, Min-Min
    • Journal of Aquaculture
    • /
    • v.18 no.3
    • /
    • pp.142-146
    • /
    • 2005
  • In this study, the reattachment processes of small and medium size of spot of Mytilus coruscus and M. edulis were observed. The small spats (Shell length, SH, $3{\sim}7mm$) of hard shelled mussel, M. coruscus showed 100% reattachment rate within 7 minutes after the detachment of byssus thread and 100% survival rate. While large spats (SH 25 mm) showed 85% reattachment rate within 5 hours and 100% survival rate for 24 hours. The reattachment rate of M. edulis (SH 30 mm) was higher than that of M. coruscus (SH, 28 mm). The thread consisted of three identifiable structures; adhesive disc, adhesive thread and adhesive root. The adhesive disk and adhesive thread of M. coruscus were larger and thicker than those of M. edulis, whereas the thickness of adhesive root was the other way round.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ucture of byssus thread and attachment abilit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izes of spats could be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timing of removing and reattaching mussel seedling for aquaculture or releasing to the sea.

The Effects of Preservation of Ovaries, Incubation Time and Oocytes with and without Cumulus Cells on Zona Penetration by Canine Sperm (개 난소의 보존, 난자의 배양시간 및 난구세포 부착 유무가 난자내 정자의 침입율에 미치는 영향)

  • Quan, J.-H.;Wang, A.-G.;Han, Y.-H.;Lee, K.-S.;Kim, S.-K.
    • Journal of Embryo Transfer
    • /
    • v.19 no.2
    • /
    • pp.121-126
    • /
    • 2004
  • 본 연구는 개의 불임해결과 체외수정란을 생산할 목적으로 난소의 보존 및 난구세포의 부착 여부가 신선 및 동결 개 정자를 이용한 투명대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 적출한 난소를 4$^{\circ}C$ 와 salt에 각각 48시간 보존 후 회수한 난구세포 부착 난자와 나화난자의 정자침입율은 각각 62.5%, 37.5% 및 42.5% 및 22.4%로서 난소를 적출 후 곧 바로 회수한 난구세포 부착 및 나화난자 내 정자침입율인 93.3%와 56.7%에 비해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2. 적출한 난소를 4$^{\circ}C$ 에 각각 4시간, 14시간 및 48시간 보존 후 회수한 난구세포부착 난자의 정자침입율은 각각 92.5%, 90.0%, 85.0%로서 신선 난소 난자의 정자침입율 93.3%에 비해 유사하거나 약간 낮게 나타났다. 3. 적출한 난소를 salt에 각각 4시간, 14시간 및 48시간 보존 후 회수한 난구세포부착 난자의 정자침입율은 각각 85.0%, 77.5%, 72.5%로서 신선난소로부터 회수한 난자의 정자침입율 93.3%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4. 적출한 난소를 4$^{\circ}C$ 와 salt에 각각 24시간 보존 후 회수한 난구세포부착 난자의 체외수정율과 체외발생율은 각각 50.0%, 22.5% 및 40.0%, 15.0%로서 신선난소로부터 회수한 난구세포부착 난자의 체외수정율과 체외발생율 72.5%와 32.5%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Studies on the IVM/IVF Rate of In Vitro Cultured Canine Oocytes (개 난자의 체외성숙과 체외수정에 관한 연구)

  • Lee B.K.;Kim S.K.
    • Journal of Embryo Transfer
    • /
    • v.21 no.1
    • /
    • pp.7-11
    • /
    • 2006
  • 개 난자의 체외성숙과 체외수정을 통해 수정란을 획득하기 위하여 개 난소를 채취하여 난자의 형태, 난소의 채취시기 등이 체외성숙과 체외수정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1. 난구세포 부착 및 미부착 난자를 48시간 배양했을 때 체외 성숙율은 $42.0{\pm}3.4%,\;24.4{\pm}4.1%$였다. 난구 세포 부착 난자의 체외 성숙율이 미부착 난자의 체외 성숙율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2. 난소를 휴지기, 난포기 및 황체기로 구분하여 난자를 회수하여 배양했을 때 체외 성숙율은 각각 35.6%, 50.0%, 31.1%였고 체외 발생율은 각각 2.2%, 20.0% 및 8.9%로서 난구 세포 부착 난자가 미부착 난자에 비해 유의한 체외 수정율을 나타냈다. 3. 난구세포 부착 및 미부착 난자를 이용하여 체외수정시켰을 때 체외 수정율과 체외 발생율은 각각 48.0%, 35.6% 및 22.5%, 13.3%로서 난구세포 부착 난자가 미부착 난자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Studies on Finshing of Silk Fabric with Urea Formaldehyde Resin. (견직물에 대한 요소수지가공에 관한 연구)

  • 유영철
    • Journal of Sericultural and Entomological Science
    • /
    • v.27 no.2
    • /
    • pp.47-53
    • /
    • 1985
  • The studies on the reaction of Urea-Formaldehyde(UF) resin with silk fabric were studied, and the final results summarized as below; 1. The pH and UF molar ratio for preparing liquid resin was found at pH 4-5 and UF molar ration 1:2 and above. 2. The weight gains were increased with respect to increase in concentration of UF resin solution, while moisture regains were decreased. 3. The weight gains were significant high in case of wet pick up 70%. 4. The weight gains were increased with respect to increase in curing temperature and the amount of catalyst((NH4)2SO4) found was 2.5% on the weight of Dimethylol urea and Hydrochloric acid was 1%, Tartaric acid was 10%. 5. The effect of different catalyst on wash fastness of UF resin was good where as in case of acidic catalyst was significantly high. 6. The weight gains with different catalyst was high where as in case of potential acid catalyst was significantly high. 7. The crease recovery are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e weight gain of silk fabric and also stiffness are increased.

  • PDF

Laboratory Tagging Experiment of Sea Urchin, Hemicentrotus pulcherrimus (A. Agassiz) (말똥성게, Hemicentrotus pulcherrimus(A. Agassiz)의 실내 표지방류 실험)

  • HUR Sung-Bum;YOO Sung-Kyoo;RHO Sum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18 no.4
    • /
    • pp.363-368
    • /
    • 1985
  • Tagged and untagged sea urchins, Hemicentrotus pulcherrimus (A. Agassiz) were reared for 84 days in the laboratory, Vinyl tape and trapall paper were used as tag materials. The natural mortality, mortality by predation and shedding rate of tags of the tagged groups were examine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untagged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Chi-square test of natural mortality between tagged and control groups were very significative, however, the comparison between the two tagged groups was insignificative. No effect of tag attachment seems to be present at the point of natural predation by starfish, and $x^2-test$ between two the tagged groups on the loss rate of tags showed also insignificance. The mortality shortly after tagging seems to be negligible, and the distinct decreasing effect on growth due to tag attachment was not revealed because of insufficient individuals and rearing period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