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존 특성

Search Result 179,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이천지역의 지하수 부존특성

  • 김연기;최순학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Conference
    • /
    • 1995.03a
    • /
    • pp.135-148
    • /
    • 1995
  • 지하수의 부존특성을 결정해주는 주 요인으로는 강수량, 증발량, 유출량, 지형, 수계, 토양, 식생 그리고 토지이용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무엇보다도 중요한 요인은 지하수를 저류시킬 수 있는 분포암석의 종류와 그 암석의 수문지질학적 특성이다. 우리나라는 퇴적암으로부터 화산암에 이르기까지 퍽 다양한 종류의 암석이 전국토를 형성하고 있어 지하수의 부존특성도 이러한 분포암석에 따라 특징지어진다. (중략)

  • PDF

Numerical approach of groundwater level change by reserver types (부존 형태에 따른 지하수위 변동 수치해석)

  • Hyun Jung Lee;Hyung Jun Park;Chanjin Jeon;Seung Oh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31-131
    • /
    • 2023
  • 지하수는 담수-염수 경계면의 형성 및 변동 특성, 지하수위 분포 및 변동특성에 따라 기저지하수, 준기저지하수, 상위지하수 등으로 구분된다. 이 중, 기저지하수는 담수(1,000g/cm3)와 염수(1,025g/cm3)의 비중 차이에 의해 담수가 염수 상부에 Ghyben-Herzberg 원리에 의해 부존한다. 본 연구에서는 부존 형태에 따른 지하수위 변동을 보고자 하였다. 먼저 이상화된 지형에서 부존형태에 따른 지하수위 변동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OpenGeoSys 모형을 이용하여 3차원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상위지하수의 지하수위보다 기저지하수 조건에서의 지하수위가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부존 형태의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담수-염수 비중 차이가 지하수위 변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실제 지형에 적용하여 지하수위의 변동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제주 남부 중서귀 유역을 대상으로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모형 검증은 범위 내 4개의 관측지점에서의 2022년 지하수위 자료를 이용하였다. 검증된 모델에 염분 농도 조건을 추가하여 기저지하수를 형성하여 모의를 수행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존 형태의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담수-염수 비중 차이가 지하수위에 끼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향후, 상위지하수에서 염수가 침입했을 때, 수위 저하에 따라 감소되는 지하수위량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PDF

Performance Analysis of Small Hydropower for Water Treatment Facilities (물관련 시설물을 이용한 소수력발전 성능특성 분석)

  • Park, Wan-Soon;Lee, Chul-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987-1991
    • /
    • 2007
  • 부존자원이 부족하여 해외에너지 의존도가 97% 이상을 상회하고, 유가의 불안정, 지구 온난화에 대한 범세계적인 규제 등 우리나라의 현실을 감안하면 재생에너지의 적극적인 개발을 통해 부존자원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 강구해야 할 것이다. 소수력자원은 순수 부존자원이며, 무공해 청정에너지로서 잠재량의 약 3.0% 정도 밖에 개발되지 않은 개발가능성이 큰 에너지원으로써, 소수력자원면에서 유럽의 여러 나라에 뒤지지 않는 우리 나라에서는 일반하천 개발의 경우 댐 건설에 따른 환경피해를 염려한 환경단체와 지역주민의 인식 부족 등으로 활성화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수력개발에 관한 민원 등의 사유가 없고, 미활용되는 소수력자원을 가지고 있는 농업용 저수지, 농업용 보, 하수처리장 및 정수장 등의 물 관련 설비를 이용한 소수력발전의 초기설계 및 성능특성 분석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농업용 저수지는 경상북도 경주시 덕동리에 위치한 덕동저수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림 1과 그림 2는 덕동저수지의 유량지속곡선과 성능특성 분석결과를 보여준다.

  • PDF

Estimating attenuation in methane hydrate bearing sediments from surface seismic data (메탄하이드레이트 부존층에서의 지진파 감쇠치 산출)

  • Lee, Kwang-Ho;Matsushima, Jun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0a
    • /
    • pp.28-33
    • /
    • 2009
  • Methane hydrates are considered important in terms of their effect on global warming and as potential energy resources. Now, mainly the presence of a BSR and seismic velocity are used for estimation of methane hydrate concentration in the seismic reflection survey. But recent studies on seismic attenuation show that it can be used also to estimate methane hydrates concentration. In this study, we tried to estimate attenuation from 2D seismic reflection data acquired at Nankai Trough in Japan and analyzed attenuation properties in methane hydrate bearing sediments. Seismic attenuation estimated by QVO method in an offset range $125{\sim}1,575m$. We observed high attenuation in methane hydrate bearing sediments over BSR in a frequency range of 30-70Hz. Thus, this result demonstrates that seismic reflection wave within this frequency range are affected significantly by the existence of methane hydrate concentration zone.

  • PDF

Chemical compositions of inorganics in industrial complex waste (산업단지폐기물의 무기물질 구성 특성)

  • Jeong, Moon-Heon;Lee, Ju-Ho;Kwon, Young-Hyun;Lee, Gang-Woo;Lee, Jae-Jeong;Shon, Byung-Hyu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1030-1033
    • /
    • 2009
  • 고형연료(RDF)는 가연성 폐기물을 성형된 형태로 만드는 것으로 화석연료의 대체 에너지로 이용되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 소각설비에 비해 수송성, 저장성이 뛰어나며 발열량이 거의 일정하여 연소 안정성이 우수하고 액체연료나 기체연료의 비해 경제성과 안정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고형연료의 미량 포함되어 있는 중금속 물질에 의해 연소장치의 부식이나 시설 노후 촉진화와 같은 원인을 제공하며, 심각한 환경오염원의 전구물질이 생성될 수 있어 실용화에는 큰 장해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는 고형연료의 재료가 되는 폐기물을 분석하여, 중금속성분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부존자원의 최적 이용 방안을 도출하며, 이를 바탕으로 부존자원 액상/고상 연료화 기술, 부존자원 복합이용시스템, 폐열활용 시스템과 같은 기술에 적용하여 부존자원 재활용 및 에너지를 최적 활용할 수 있는 D/B 구축을 하는 것이 최종 목표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