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정교합

검색결과 795건 처리시간 0.02초

증례보고 : 양측 하악지 시상골 절단술 후 발생한 안면신경 마비 (Case report: Treatment of Facial Nerve Palsy Following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 유지원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8권3호
    • /
    • pp.255-260
    • /
    • 2013
  • 양측 하악지 시상 골절단술은 악안면 기형 및 부정교합을 치료하기 위해 흔히 사용되는 필수불가결한 술식이라고 할 수 있다. 하악지 시상 골절단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으로는 하치조 신경 손상, 출혈, 측두하악장애, 부적절한 골면의 유합 및 골절, 재발 등이 있다. 악교정 수술 후 안면신경 마비의 발생 유병율은 최근 0.1 퍼센트로 보고되고 있다. 증상 발생의 원인으로는 안면신경의 압박, 신경의 불완전 또는 완전 손상, 신경의 견인, 마취제에 의한 신경의 허혈 등이 있다. 술 후 발생된 안면 신경의 마비는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해하고 사회활동을 기피하게 함으로써 가장 심각한 합병증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양측 하악지 시상 골전달술을 시행 후 발생한 안면신경 마비에 대하여 보고하고 있다.

역위 매복된 상악 중절치의 자발적 맹출유도 (CASE REPORT : FOR SPONTANEOUS ERUPTION GUIDANCE OF INVERTED MAXILLARY CENTRAL INCISOR TEETH)

  • 최선아;이난영;이상호;이창섭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06-411
    • /
    • 2004
  • 영구 상악 절치의 매복은 매복이 흔한 제3대구치와 상악 견치에 비해서 드물지만 상악 중절치 미맹출을 주소로 내원한 학동기 아동에서 종종 관찰된다. 매복을 유발시키는 원인에 대해서는 많은 논란이 있으나 주 요인으로는 유치의 외상과 유치의 치근단 감염이 보고되고 있다. 특히 유치의 치근단 감염에 의한 매복설이 유력한데 병소의 압력에 의한 계승영구치의 회전, 변위등의 위치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매복치는 무엇보다도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이 이로 인해 발생되는 부정교합이나 그 밖의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다. 일단 매복이 진단되면 방사선 검사를 통하여 위치 확인을 정확히 하는 것이 중요하며 치료에 앞서 전반적인 공간분석과 치료계획을 세워야 한다. 치료로는 교정적 견인, 또는 자가이식등이 있으며, 역위 매복된 경우가 아니라면 공간 확보만으로도 50%의 자발적 맹출을 보고하고 있다. 본 증례는 유치의 치근단 감염에 의해 역위 매복된 것으로 보이는 상악 중절치를 교정력을 이용해 정상적인 맹출로 바로 잡아준 결과 4-5개월만에 자발적으로 맹출하였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Pendulum 장치를 이용한 상악 대구치의 원심이동 증례 (MAXILLARY MOLAR DISTALIZATION WITH A PENDULUM APPLIANCE)

  • 이현정;김영재;김정욱;장기택;이상훈;김종철;한세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523-531
    • /
    • 2008
  • 상악골과 치조골 전돌을 가진 II급 부정교합 증례 중 상악 치아 발치의 적응증이 아닌 경우와 하악 구치의 전방 이동을 허용할 수 없는 경우 상악 대구치의 원심이동 기법을 사용하게 된다. Pendulum 장치는 환자의 협조도 없이 상악 대구치를 원심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장치로 소구치를 안정화시키며, 구개측 고정원을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구치부 정출로 하안면 고경이 증가할 수 있고, 전치부 전방 이동이 동반되며, 추벽부 조직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장치의 사용과 환자 선택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이에 pendulum 장치를 사용하여 상악 대구치를 원심 이동시킴으로써 공간 문제를 해결하고, 대구치 관계를 개선한 증례들을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군집분석을 통한 한국인 성인 골격성 제 II급 부정교합의 아분류 (Subclassification of Skeletal Class II Malocclusion of Korean Adults Using Cluster Analysis)

  • 안광석;백형선;김경호;김백일;이기준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 /
    • 제14권1_2호
    • /
    • pp.1-18
    • /
    • 2011
  • Skeletal malocclusion is the result of abnormal dimension and alignment of each skeletal component. Understanding on these mechanisms may help to elucidate the etiology of skeletal malocclusion and to establish population-oriented treatment plans. Attempts to subdivide the Angle's classification have been performed for Class III malocclusion, while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for Class II malocclusion despite recent growing interests in Class II malocclusion. 200 adults (88 male, 112 female) with skeletal Class II malocclusion were collected and subdivided using cluster analysis, using the measurements representing the dimension and the alignment of each facial skeletal component. The properties of each cluster was grouped within the subjects and a comparison between the subjects and the control group (38 male, 35 female) with normal occlusion was performed. Six clusters were finally recognized in each male and female groups. The clusters in both genders were mainly characterized by the cranial base alignment, dimension of the posterior cranial base, dimension of the mandibular ramus and the degree of mandibular rotation. The results implicate that active treatment of mandible rather than the nasomaxillary complex may be primarily considered for the correction of Korean Class II skeletal pattern.

  • PDF

서울시내에 거주하는 13세-15세 청소년들의 부정교합에 관한 역학적 연구 (PREVALENCE AND SEVERITY OF MALOCCLUSION IN CHILDREN 13 TO 15 YEARS OF AGE LIVING IN SEOUL)

  • 송경원;김진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21-130
    • /
    • 1984
  • Childrens between the ages of 13 and 15 years, living in Seoul, were examined in order to determine the prevalence and severity of malocclusion in the permanent dentition. This survey encompassed 981 children and an individual chart was prepared for each subject recording an original HMAR score and classification of occlusion according to Angle. Also, subjective evaluation of "treatment needs" was carried out in 581 childre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Of the 981 children in this survey, 12,1 percent showed excellent occlusion. (0 point) 2. The 14 percent of the children who had a score of 24 and above all appeared to belong to the "treatment highly desirable" or "treatment mandatory" category. 3. The incorporation of SAR (Supplementary Assessment Record) into the HMAR can provide more sensitive method for evaluating severity of malocclusion. 4. According to Angle's classification 77.4 percent of all malocclusion belonged to Class I, 1.3 percent to Class II, Division 1, 0.9 percent to Class II, Division 2, and 11.3 percent to Class III. 5. The mean HMAR score for Class I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for either Class II, Division 1 or Class III. (P < 0.05) 6. A clos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degree of "treatment needs" and the value obtained by the HMAR scoring. (chi-square test, p < 0.05)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ean HMAR scores of the various subjectively defined categori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01)

  • PDF

금속 이식물을 이용한 악관절 강직증의 치험례 (RECONSTRUCTION OF UNILATERAL TMJ ANKYLOSIS WITH METALLIC CONDYLAR PROSTHESIS;REPORT OF A CASE)

  • 이동근;임창준;강문정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1권2호
    • /
    • pp.40-46
    • /
    • 1989
  • 출생 전${\cdot}$후 악관절의 외상 또는 감염은 과두 성장을 방해하며 편측으로 발생하는 경우 하악골의 비대칭 성장을 초래하여 심한 안모 변형과 부정교합을 유발하거나 악관절 유착의 주된 원인이 된다. 역사적으로 관절 유착은 과두절단술에서부터 연골이식, 진피이식, 금속과두 이식, 관절 성형술, 관절과 이식물 삽입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방법에 의해 치료되어 왔으며 하악운동이 보장되고 정상적인 기능을 회복하는데는 어떤 술식이라도 만족스런 결과를 가져다줄 수 있다. 이에 저자는 편측성 악관절 강직증 및 비대칭 안모를 가진 환자에서 과두절제술 후 금속 과두이식을 이용한 악관절 재건과 하악 골체부 절단술 및 C-sliding 절단술, 하악지 수직 골절단술, Medpor를 이용한 증식술로 개구기능과 비대칭 안모를 개선하여 비교적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그 치험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매복된 치아의 교정적 견인을 통한 치험예 (Orthodontic Traction of Impacted Tooth)

  • 김경호;최광철;이지연;강창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991-999
    • /
    • 1998
  • 매복된 치아는 부정교합과 인접치아의 치근 흡수, 낭종 등의 병적 변화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임상적 검사와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해 정확한 위치를 화인하도록 하고, 적절한 치료계획을 통해 제 위치를 찾아주어야 한다. 외과적 수술시 치주적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연조직과 골조직의 보존을 최대화할수 있어야 하며 한자의 구강 위생상태에 대한 철저한 교육을 통해 좋은 구강 위생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교정적 견인시에는 매복치를 배열할 공간의 확보와 고정원에 대한 고려가 선행되어야 하며, 교정적 견인시 적절한 힘과 mechanics의 구사로 치근의 흡수 등의 부작용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하고 상태에 따라 다양한 방법을 이용한 교정적 견인을 시도할 수 있다. 매복된 치아는 병적 변화를 일으킨 경우나 반드시 발치를 해야 하는 경우만 아니라면 교정적 견인을 통해 기능과 심미성을 회복시켜 줄 수 있으므로 조기 발견과 발견시의 올바른 진단과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 PDF

골격성 제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상하악 동시이동술시 LeFort I 상악골절단술의 술후 안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TOPERATIVE STABILITY OF LEFORT I OSTEOTOMY IN THE TWO-JAW SURGERY OF THE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 임양희;고승오;신효근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7권5호
    • /
    • pp.397-403
    • /
    • 200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stoperative stability of LeFort I osteotomy in two-jaw surgery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and to help the establishment of treatment planning in patients with a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in the future. Materials and Methods: The lateral cephalograms of 14 patients who had been underwent two-jaw surgery via one-piece LeFort I osteotomy were traced and the landmarks were identified. Repeated tracings and construction of reference planes were done. Comparisons were made from the immediate postoperative to late postoperative results of each landmarks o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Conclusions: 1. The horizontal changes of landmark ANS, point A, PNS and Mx6Rt between immediate postoperative to late postoperative data were statistically insignificant(p>0.05). 2. The vertical changes of landmark ANS, point A, PNS, Mx6Cr and Mx6Rt between immediate postoperative to late postoperative data were statistically insignificant(p>0.05). 3. The horizontal change of landmark Mx6Cr between immediate postoperative to late postoperative data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4. Results showed that it was stable that one-piece LeFort I osteotomy in two-jaw surgery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PDF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한국어 모음 발음에 관한 음향학적 분석 (AN ACOUSTIC ANALYSIS ON THE PRONUNCIATION OF KOREAN VOWELS IN PATIENT WITH CLASS III MALOCCLUSION)

  • 김영호;유현지;김휘영;홍종락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5권4호
    • /
    • pp.221-228
    • /
    • 2009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nunciation of Korean vowels in patients with class III malocclusion. 11 adult male patients with class III malocclusion(mean ages 22.3 years) and four adult males with normal occlusion(mean ages 26.5 years)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of eight Korean monophthongs /ㅣ, ㅔ, ㅐ, ㅏ, ㅓ, ㅗ, ㅡ, ㅜ/. The values and relationships of F1, F2 and F3 were derived from the stable section of target vowel in each sentence, and the analysis using formant plots and vowel triangles' distance and area was conducted to find the features of two groups' vowel distributions. Consequently, it was identified that the pronunciation of males patients with class III malocclusion showed high values of F1 in the low vowels, high values of F2 in the back vowels, and remarkably low position of /ㅏ/. The vowel triangle suggested that the triangle areas of male patients with class III malocclusion were shown wider vertically and narrower horizontally than those of males with normal occlusion. These characteristics could reflect the structural features of class III malocclusion such as the prognathic mandible, low tongue position, and advancement of back position of the tong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