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적응적 정서조절 방식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정서표현양가성과 심리적 부적응,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집단주의 문화성향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s of Collectivism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 박원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80-8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들의 정서표현양가성이 심리적 부적응과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이러한 관계에서 집단주의적 문화성향이 조절 효과를 보이는지를 탐색적으로 알아보는 것이다. 정서표현양가성의 문화차에 대해서 많은 연구들에서 가능성만을 제시할 뿐 실증적 연구는 없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국의 성인남녀 138명을 대상으로 정서표현양가성, 문화성향, 심리적 부적응증상, 주관적 안녕감을 측정하는 설문을 온라인 방식으로 실시했다. 조절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정서표현양가성, 집단주의 문화성향, 이들 간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정서표현양가성은 심리적 부적응증상과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집단주의 문화성향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정서표현양가성은 심리적 부적응증상을 증가시키고, 주관적 안녕감을 저하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이러한 관계에서 집단주의 문화성향은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결과에 대해 정서억제와 정서표현양가성이 집단주의 문화와의 관계에서 보이는 차이, 그리고 이들의 임상적 함의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아동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 반응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아동의 공감과 정서조절 방식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on Children's Peer Relations : The Mediating Role of Children's Empathy and Emotional Regulation Types)

  • 오지현
    • 아동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7-37
    • /
    • 2015
  • The study examined the pathways from maternal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to children's peer relations through children's empathy and emotional regulat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mprised 463 elementary school 4th-6th graders. They completed questionnaires on maternal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levels of children's empathy,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types and skill levels of children's peer relations.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t was found that in the case of maternal emotion coaching reactions, when done indirectly, as well as directly, had an influence on their levels of peer relation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over-sensitive maternal reactions, when done indirectly, but not directly, had an influence on their levels of peer relations.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hildren's empathy mediated the effects of maternal emotion coaching and over-sensitive reactions on peer relations. It also found that there are distinct pathways from maternal reaction type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to peer relations through empathy and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typ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