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인사

Search Result 73,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Archaeomagnetic Dating of a Layer of Baked Earth on Daegu Buinsa Site (대구 부인사 유적 소토층의 고고지자기 연대)

  • Sung, Hyong Mi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 /
    • v.28 no.3
    • /
    • pp.185-192
    • /
    • 2012
  • Issues of chronology on archaeological remains or relics have been a storm-center of controversy when various archaeological researches have been done. Sometimes there is a limit for figuring out issues of chronology by archaeological research. In that case, the field of natural science is often needed to work out issues of chronology. Among various subjects in natural science, archaeomagnetism plays an important role in dating archaeological remains for baked earth bearing relics. In particular, archaeomagnetism is of use for sites where directly excavated dating proxy is unavailable. Terrestrial magnetism changes along with the passage of time and leaves trace by many kinds of residual magnetization which could be called fossil of terrestrial magnetism. Archaeomagnetic dating method is used to assign a date to the archaeological remains in which baked earth is found by measuring the changes of terrestrial magnetism through the thermal remanent magnetization retained in baked earth. This study aims to constrain the age of fire at Buinsa, Daege, Korea using 27 samples that were collected from a layer of baked earth. Buinsa is famous for the place where kept the first edition of Tripitaka Koreana, which was lost in fire at the second invasion of mongolia. In addition, there is a record that there was revolt around this region in A.D.1203. According to archaeomagnetic dating, ages of A.D.1150~1200 and A.D.1130~1210 were assigned for the two building sites in Buinsa, respectively. To this end,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layer of baked earth on the two building sites in Buinsa recorded the vestige of fire caused by revolt.

건국 50년, 책의 사회사(3)-휴전 직후

  • Gang, Cheol-Ju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254
    • /
    • pp.16-17
    • /
    • 1999
  • 1954년 5월 정음사에서 간행된 정비석의 "자유부인"은 한국출판사상 '전전'과 '전후'의 분기점에 놓여 있는 책이라 할 수 있다. 베스트 셀러로서의 화제성이나 출간 서점에서도 그렇지만, '자유부인'이라는 말 자체가 50년대 초반 전후 한국사회의 실상을 상징하는 대명사쯤으로 치부돼 왔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 PDF

Determinants of Householdwork and child Care Time of Wives and Housbands (부인과 남편의 가사 및 육아시간 결정요인 연구)

  • 허경옥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2 no.2
    • /
    • pp.90-105
    • /
    • 1994
  • 본 연구의 기본적 취지는 부인과 남편의 가사와 자녀 양육노동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가사분담 및 육아시간 설명에 유용하게 쓰여온 다양한 관점의 이론을 도입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입된 이론은 경제적 효율가설(Economic Efficiency), 수요 및 실행가능가설 (Demand/Response Capability), 성 역할관념가설(Sex-Role Ideology), 그리고 상대적 자원가설(Relative Resources)이다. 이 가설들로부터 유출된 대용변수들의 부인과 남편의 가사와 육아시간에 미치는 효과가 검증되었는데 이 변수들은 임금률 부부간의 임금률 비율 노동시 장에서의 근로시간 어린자녀 수 성별에 따른 역할에 대한 사고관, 소득, 부부간의 상대적 소 득수준 교육수준 직업 연령 가족형태, 인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조사는 1988년 미국 위스콘신 대학 (메디슨)내의 인구 및 생태국(Center for Demography and Ecology)에서 실시한 전국 가족 및 가계조시(National Survey of Families and Households)이다. 부인과 남편의 가사 및 육아 시간량을 설명하는 이론의 효과검증에 대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역할 관념가설을 부인과 남편모두의 가사 및 육아노동 시간을 잘 설명하는 가설로 나타났고 수요 및 실행가능성가설은 남편보다는 부인의 가사와 육아시간에 더 설득력있는 가설임이 밝혀졌다. 대체적으로 경제적 효율가설과 상대적 자원가설의 효과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요 및실행가능가설이 남편의 총가사시간을 설명하는 효과는 크지 않았으나 남편의 여성중심형 과업시간에는 유의마한 변수로 나타난 것은 주목할 만하다.

  • PDF

Corydalis Tuber Induces Apoptosis in MCF-7 Cells, Via Inhibition of Bcl-2 and $Bcl-_{XL}$ Expression (현호색 메탄올 추출물이 Bcl-2와 $Bcl-_{XL}$ 발현 억제를 통해 유방암 세포의 자멸사에 미치는 영향)

  • Park, Young-Ae;Kim, Dong-Chul
    •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and Gynecology
    • /
    • v.21 no.4
    • /
    • pp.90-103
    • /
    • 2008
  • 목적 : 본 연구는 현호색의 메탄올 추출물(Corydalis Tuber Extract:CTE)이 인간 유방암 세포인 MCF-7 세포의 자멸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현호색 메탄올 추출물로 인간유방암에서 유래된 MCF-7 세포를 처리하였다. CTE의 세포자멸사 유도 효과는 MTT, FACS, TUNEL, DNA laddering and immunoblot assay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현호색 메탄올 추출물은 MCF-7 세포의 활성을 감소시켰다. CTE로 처리한 MCF-7 세포는 용량에 따라 세포 자멸사 과정이 증가했다. CTE에 노출하였을 때 Bcl-2와 $Bcl-_{XL}$의 발현을 억제하고, 미토콘드리아로부터 세포질로 cytochrome-c를 방출하며, caspase와 PARP의 절단을 유발하여 세포자멸사가 증가했다. 현호색 메탄올 추출물에 존재하는 성분중에서 coptisine이 세포 활성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킨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 실험결과 현호색 메탄올 추출물이 유방암의 임상 치료에 있어 가능성 있는 치료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한국의 전통 - 묵은 세월로 만나는 우리의 장(醬)

  • Park, Jong-Suk
    • 식품문화 한맛한얼
    • /
    • v.3 no.1
    • /
    • pp.36-39
    • /
    • 2010
  • 입춘이 지나면 살림을 사는 가정부인들은 한해의 시작으로 장 담그기를 준비한다. 우리 음식의 근간이 되어 온 전통장은 우리 밥상에서 조미료의 역할과 기본 반찬으로써의 역할을 충실히 해왔다. 간장과 된자을 따로따로 담그는 일본 장과는 달리 우리의 전통장은 대부분 한 번의 수고로 얻을 수 있다.

  • PDF

Anti-proliferative effect of Guichulpajing-Tang extract on MCF-7 cells (귀출파징탕(歸朮破癥湯) 추출물의 인간 유방암세포에 대한 성장억제 효과)

  • Cho, Seong-Hee;Pak, Keung-Mi;Ban, Hye-Ran
    •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and Gynecology
    • /
    • v.19 no.1
    • /
    • pp.155-165
    • /
    • 2006
  • 이 연구는 MCF-7 인간 유방암 세포주에 대한 귀출파징탕(歸朮破癥湯) 추출물의 증식억제효과 세포독성효과 세포사 유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MCF-7 인간 유방암 세포주는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F12 (DMEM/F12)에 10% fetal bovine serum(FBS;Gibco) 와 항생제를 가하여 만든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하였고, MCPF-7 세포를 96- well plate에 접종한 후 다양한 농도(0~2000g/ml)의 귀출파징탕(歸朮破癥湯)이 든 배지로 처리하고 다양한 시간(48, 96, 192)동안 배양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각각 MTS assay kit를 이용하여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세포독성은 Sulforhodamine B assay 방법을 이용해 측정하였고 세포사 과정에서 MCF-7세포에서의 caspase 활성화를 측정하기 위해 Western blotting을 수행하여 poly ADP ribose polymerase(PARP)의 절단을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귀출파징탕(歸朮破癥湯) 추출물에 의한 세포성장 및 독성효과는 시간 및 농도에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세포고사과정에서 작용하는 caspase의 전 기질인 PARP 절단량이 귀출파징탕(歸朮破癥湯) 처리 농도와 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이것은 caspase-3가 MCF-7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귀출파징탕(歸朮破癥湯)은 다양한 기전에 의해서 유방암 세포에 대한 억제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 PDF

A study of antiproliferative effect by Euonymus alatus (Thunb.) Sieb water-extract on SKBR3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 (귀전우(鬼箭羽) 물 추출물에 의한 유방암 세포주 증식억제에 관한 연구)

  • Kim, Jong-Seob;Lee, Tae-Kyun;Kim, Dong-Il
    •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and Gynecology
    • /
    • v.18 no.4
    • /
    • pp.1-9
    • /
    • 2005
  • Purpose : 이 연구는 SKBR3 인간 유방암 세포주에 대한 Euonymus alatus (Thunb.) Sieb 추출물 (CWE) 의 증식억제, 항산화 작용 및 세포사 유발 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이루어 졌다. Methods : SKBR3 세포주는 48시간 동안 다양한 농도 ($0-40\;{\mu}g/ml$)의 CWE를 첨가하면서 배양되었고, 세포의 생존 비율은 MTT 배양을 통해서 평가하였다. 또한 CWE의 증식억제 효과는 유방암 세포주의 세포사와 관련되어 있음을 형태학적인 변화와 올리고뉴클레오솜 DNA 분절을 통해 확인하였다. Results : CWE의 50%에서 효과를 나타내게 하는 약물농도인 $ED_{50}$ (effective dose 50%)은 $9.3+2.2{\mu}g/ml$이며, 약물의 농도에 의존하여 세포의 증식을 억제시켰다. 아울러, 다양한 농도와 배양시간에서 CWE가 ROS 생산을 억제하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작용과 항암예방효과는 농도와 노출 시간에 의존하였다. Conclusion : 이러한 관찰을 통해 Euonymus alatus (Thunb.) Sieb의 열수 추출물은 SKBR3 인간 유방암 세포주에 대해 강한 증식억제 효과와 강력한 항산화효과 및 세포사의 유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 PDF

한국의 건축가(9) - 김중업(1), 김중업의 일생

  • Jo, In-Cheol
    • Korean Architects
    • /
    • no.3 s.335
    • /
    • pp.82-87
    • /
    • 1997
  • 이번호부터 소개되는 건축가 김중업편에서는 출생후 평양과 일본동경에서의 생활(1922~1945)을 시작으로 해방후 남한에서의 생활(1946~1951), 유네스코주최 제1회 세계예술가회의에 한국대표의 한 사람으로 참석하면서부터 르꼬르뷔제의 문하에서의 생활, 귀국후의 활발한 건축활동 시기(1952~1971) 그리고 또다시 9년간의 외국생활이후 남은 건축인생기(1972~1988)등으로 구분하여 먼저 김중업의 일생(1회:부인 김병례여사와의 대담내용을 중심으로)에 대하여 소개한다. 그리고 다음 2회와 3회에서는 필자가 김중업 선생 생전에 대담한 내용을 정리ㆍ소개하고 그의 건축가로서의 역정과 작품에 대한 필자의 해석을 싣고자 한다.

  • PDF

건축가와 구조기술자

  • Seong, Seong-Gwon
    • Korean Architects
    • /
    • no.11 s.38
    • /
    • pp.33-35
    • /
    • 1971
  • 제외국도 그렇겠지만 우리나라에서도 건축작품 활동에 있어서 구조에 관한 부분을 전공하고 그것을 전업으로하는 직종이 분화되어가고 있다. 건축전체를 자기주도하에 꾸며나가는 건축가의 활동에 대하여 전문분야별로 협조하는 기술자에는 많은 종별이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구조기술자가 먼저 손꼽히는 것만은 부인할 수 없다. 건축물이 건축가의 뜻데로 지어지고 외력에 대하여 건전하고 경제적으로 지어져야 된다는 점에 대하여 건축가와 구조기술자가 각자 고찰 하여야 되겠다고 생각되는 소견들을 몇가지 내 나름데로 살펴볼까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