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유백

Search Result 30,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제주도 서남부 연안역의 부유성 섬모충류의 종조성과 월별변화

  • 이준백;김요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145-145
    • /
    • 2000
  • 원생동물에 속하는 부유성 섬모충류는 해양 생태계 내에서 저차와 고차생산단계를 잇는 먹이 사슬의 중간역할을 하며 그 분포가 수온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 수괴 지표 종으로써 수괴분석과 해류분석에 이용되고 있는 생물이다. 이 부유성 섬모충류는 피갑을 갖는 유종섬모충류(tintinnids)와 피갑을 갖고 있지 않는 무갑섬모충류(naked ciliates)로 구분된다. (중략)

  • PDF

Kerogen Facies of the Cretaceous Black Shales from the Angola Basin (DSDP Site 530), South Atlantic (앙골라분지 백악기 흑색셰일의 유기물상)

  • 박영수
    • 한국해양학회지
    • /
    • v.22 no.2
    • /
    • pp.87-104
    • /
    • 1987
  • The middle Cretaceous stratigraphec section of Deep Sea Drilling Project (DSDP) Site 530 in the Angola Basin is characterized by cyclic interbeds of organic-carbon-rich black shales and organic-carbon-poor red and green claystones, namely the black shale sequence. A number of samples from the black shale sequence were analyzed for the typesand distribution of insoluble sedimentary organic matter(kerogen) in order to give more information on the depositional conditions of the black shales in the Angola Basin. The dominant type of kerogen in the black shale sequence at Site 530 is amorphous organic matter mainly of marine planktonic algal origin. It probably consists of remains of some unfossiliqed dinoflagellates. The cyclic preservation of organic-carbon-rich black shales in the Angola Basin during the mid-Cretaceous could be explained by the low dissolved-oxygen concentration in the warm, saline deep and bottom waters combined with the sluggish circulation within the highly restricted basin, and the periodic high productivity in the surface waters.

  • PDF

Development of Flotation System for Utilization of Low Grade Lithium Ore (저품위 리튬운모광의 활용을 위한 부유선별 시스템 개발)

  • Lee, Kwang-Hoon;Jeon, Ho-Seok;Baek, Sang-Ho;Kim, Su-Gang
    • Mineral and Industry
    • /
    • v.25
    • /
    • pp.1-10
    • /
    • 2012
  • In this present work, the froth flotation of lithium ore from Boam mine located in Wooljin, Kyungbuk has been carried out to produce high-grade lithium concentrate. The sample ore-Lepidolite mainly contained silicate mineral (quartz, muscovite) and calcite. In consequences of the experiment, it has been possible to obtain relatively high-grade lithium while using anionic acid (oleic acid) to remove calcite before the froth flotation for lithium concentrate. Among the amines collectors (Armac-T, Armac-C, Armafloat-18, Armafloat-1597), Armac-T has been relatively effective than another ones. Under the optimum condition (collector : Armac-T 100g/t, frother : AF65 50g/t, depressants : $Na_2SiO_3$ 600g/t and Lactic acid 100g/t, pulp density : 20%, pH 5.5, number of cleaning : 2), it has been obtained relatively high-grade lithium concentrate ($Li_2O$) with recovery of 80.3% and with grade of 4.33%.

  • PDF

MCC의 부유부상 효율에 미치는 MCC의 표면에너지와 액상의 표면장력의 영향에 대한 기초연구

  • Lee, Hak-Rae;Lee, Jin-Hui;Park, Il;Lee, Yong-Min;Han, Sin-Ho;Jo, Jung-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ical Association of the Pulp and Paper Industry Conference
    • /
    • 2001.11a
    • /
    • pp.20-20
    • /
    • 2001
  • 우리나라 제지산업은 화학펼프의 80%를 수입에 의존하고 었으나 고지회수율 및 이용율이 세계적으로 볼 때 매우 높은 환경친화적 산업이다. 고지 재활용 공정 중에 서 가장 핵심적인 공정인 부유부상 공정은 고상계의 표면특성 차이를 이용하여 소수성 의 잉크업자를 기포에 부착시켜 부상을 통하여 제거하는 공정이다. 고지 사용의 고도화 를 위해서는 부유부상 공정의 효율 증대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또한 부유부상 공정 의 핵심적인 인자로 부유부상을 통하여 제거되는 고형물질의 표면 특성 특히 소수화도 가 중요하다는 것은 보고된 바 있으나 부유부상에 필요한 표면 특성의 존재 여부와 표 면 에너지와 부유부상 효율의 관계 등에 관한 기본적인 연구가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유부상 공정을 기초과학적 측면에서 규명하기 위해 마 이 크로 크리 스탈린 셀룰로오스(Microcrystalline cellulose: MCC)를 모델 물질로 사용하 고 이들의 표면특성을 접촉각 측정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친수성의 표면 특성을 지닌 M MCC의 표면 특성을 소수성으로 바꾸기 위하여 AKD(alkyl ketene dimer)의 함량별로 사이징 처리하여 소수성을 지닌 잉크를 모벨링 하고 친수성 MCC를 염색시약을 이용 하여 흑색으로 염색함으로써 소수화 된 MCC와의 색차를 두어 섬유를 모델링 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MCC의 소수화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분말상태인 MCC를 pellet으로 제조하여 각기 다른 표면장력과 표변특성을 지난 용액을 이용하여 Advancing Contact A Angle을 측정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이를 분석하여 시료의 표면에너지를 평가하였다 그 리고 부유부상 셀내의 액상의 이온강도와 표면장력 등 화학적인 인자에 의한 부유부상 분리효과를 평가하였다.있었다 (그림 2). 칼렌다는 종이를 높은 전단력과 압축력으로 변형시키는데 비해 도침은 단순히 압축 압력만을 종이에 가하는 것이 다르다고 볼 수 있는데, 라 이너지와 백상지가 같은 조건하에서 왜 이러한 큰 차이를 보이는 이유를 아직 알수 없다.해 동일한 공정 데이터들올 이용하여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통계기법 중의 하나인 주성분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성분 분석은 여러 개의 반응변수에 대하여 얻어진 다변량 자료의 다차원적인 변 수들을 축소, 요약하는 차원의 단순화와 더불어 서로 상관되어있는 반응변수들 상호간 의 복잡한 구조를 분석하는 기법이다. 본 발표에서는 공정 자료를 활용하여 인공신경망 과 주성분분석을 통해 공정 트러블의 발생에 영향 하는 인자들을 보다 현실적으로 추 정하고, 그 대책을 모색함으로써 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소개하고자 한다.금 빛 용사 둥과 같은 표면처리를 할 경우임의 소재 표면에 도금 및 용 사에 용이한 재료를 오버레이용접시킨 후 표면처리를 함으로써 보다 고품질의 표면층을 얻기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국내, 외의 오버레이 용접기술의 적용현황 및 대표적인 적용사례, 오버레이 용접기술 및 용접재료의 개발현황 둥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서 아직 국내에서는 널리 알려지지 않은 본 기 술의 활용을 넓이고자 한다. within minimum time from beginning of the shutdown.및 12.36%, $101{\sim}200$일의 경우 12.78% 및 12.44%, 201일 이상의 경우 13.17% 및 11.30%로 201일 이상의 유기의 경우에만 대조구와 삭제 구간에 유의적인(p<0.05) 차이를 나타내었다.는 담수(淡水)에서 10%o의 해수(海水)로 이주된지 14일(日) 이후에 신장(腎臟)에서 수축된

  • PDF

Controller design for depth control of vehicle under seawater (수중운동체의 심도제어를 위한 제어기 설계)

  • ;;Yoon, Kang Sup;Lee, Man Hyun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20 no.1
    • /
    • pp.24-34
    • /
    • 1996
  • In ordaer to hold an underwater vehicle at a certain depth, buoyancy that acts on the underwater vehicle can be modulated. In this research, buoyancy that could control depth of underwater vehicle is generated by a buoyancy bag. Solenoid valves are operated by pulse with modulation(PWM) method. State equ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volume of buoyancy bag, pressure inside bag, and dynamic of the underwater vehicle, is derived. This system is very unstable, inculdes modelling error and nonlinearity. In depth control system, maintanance of performance is required., anainst vatiation of systerm parameter and operating depth, and designed. Through the computer simulation, performance is comparerd for each controllers.

  • PDF

포말분리기에 의한 해수 중의 단백질 및 부유 고형물 제거

  • 김병진;서근학;김성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235-236
    • /
    • 2000
  • 최근 경제 성장과 더불어 고단백, 저지방 식품인 어류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으며, 특히 횟감용 활어의 소비량이 급증하고 있다. 반면 해수의 수급이 용이하지 않은 내륙지방의 경우 활어수조 내 해수의 오염도가 높아 어류의 폐사가 발생하며, 이로 인해 국민건강에 영향을 미친다. 활어 수조 내에서 발생되는 어류의 배설물 중 단백질 성분은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암모니아를 발생시키고 용존산소를 감소시키는 물질로서 신속한 제거가 필요하다(서 등, 1999). (중략)

  • PDF

Fundamental Study about Bottom-Clinging Rate in Free Floating Larva by Infiltration Flow in Tidal (조석의 침투류에 의한 패류 유생의 착저 (着底) 효과에 관한 기초적 연구)

  • Back, Sang-Ho;Park, Kwang-Jae;Park, Young-Je;Cheon, Jun-Je;Cho, Kee-Chae;Kim, Yi-Un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25 no.2
    • /
    • pp.97-103
    • /
    • 2009
  • It is a research that free floating larva of Ruditapes philippinarum in compliance with infiltration flow of tidal accumulation and bottom-clinging system in high density also, It is a precondition this for the continuous augmentation of Ruditapes philippinarum resources. So in flow field of tidal the free floating larva produced the infiltration water tank that can possibly bottom-clinging and experiment the water tank which uses free floating larva, It evaluates that the acceleration effect of free floating larva by infiltration in objective. As a result, 1) The experiment on free floating larva's bottom sediment grain diameter came to be high recording as bottom-clinging rate at the static water field and even biologically it selects bottom-clinging substrate it will be able to confirm. 2) About occurrence of infiltration flow field is in case of that: the drift of a current 10cm/s, bottom sediment grain 1.21mm infiltration flow 0.3cm/s increase of 3~5 times was confirmed. 3) From free floating larva of Ruditapes philippinarum the choice of bottom sediment grain diameter depends in the biological factor and form the flow field the bottom-clinging acceleration effect was controled over physical stable condition. 4) In case of density of Ruditapes philippinarum free floating larva of sea area, bottom sediment grain diameter, flow condition which are very cleanly in the research that possibly could conjecture the free floating larva's bottom-clinging rate.

  • PDF

Froth Flotation of Copper Ore from Jambi Deposit, Indonesia (인도네시아 잠비산 동광석의 부유선별 특성 연구)

  • Kim, Hak-Soon;Jeon, Ho-Seok;Kim, Byoung-Gon;Baek, Sang-Ho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3 no.3
    • /
    • pp.243-250
    • /
    • 2010
  • Froth flotation of complex copper ore from Indonesia Jambi mine has been carried out to produce high-grade Cu concentrate. Since the ore contained minor Cu sulfides in addition to major Cu carbonate (malachite), copper concentrate was recovered by two-stage process of flotation, which consisted of copper sulfide flotation using xanthate followed by copper oxide flotation using oleic acid. The copper sulfide concentrate of 57.5% Cu grade with 9.5% recovery was obtained by copper sulfide flotation under conditions of 300 g/t collector (1 : 1 mixture of xanthate series Aero Promoter 211 and Aero Promoter 242) and pH 6.0 pulp. In subsequent copper oxide flotation on sink products, the concentrate of 30.8% Cu grade with 92.1% recovery was obtained under the conditions of oleic acid 300 g/t, AF65 50 g/t, pH 8.0 and 2 times cleaning. The flotation techniques which can achieve a Cu grade of 36.1% and a recovery of 92.1% have been developed from the two-stage process of flo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