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상자

Search Result 57,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Estimation of Accident Costs for Each Accident Severity (교통사고 등급별 사고비용 추정)

  • 이수범;심재익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6 no.1
    • /
    • pp.59-78
    • /
    • 1998
  • '90년대에 들어서면서 급속한 경제성장과 함께 자동차수가 급증하여 '97년에는 1.000만대를 돌파 하였다. 자동차수의 증가와 함께 교통사고도 나날이 늘어 '96년에는 사망자가 12,600여명에 이르렀다. 교 통사고는 막대한 인명피해와 함께 사회적으로 많은 비용을 소모한다. 교통사고로 인한 사회적 비용의 추정은 교통안전사업의 효과분석 및 기타 교통관련사업에서 꼭 필요한 자료이다. 이제까지 국내에서 수 행된 교통사고비용은 1년간의 전체 사고비용만을 추정하고 사고등급별 사고건당 사고비용은 도출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연구는 교통관련사업에서 꼭필요한 자료이다. 이제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교통사고 비 용은 1년간의 전체 사고비용만을 추정하고 사고등급별 사고건당 사고비용은 도출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교통관련사업에 필수적인 사고심각도에 따른 교통사고비용을 도출하려한다. 교통사고비용을 산출하는 대표적인 방법에는 총생산손실법과 개인선호성법이 있으나 본연구에서는 총생산손실법을 이용 하였다. 교통사고비용 항목은 사고로 인한 생산손실비용, 의료비용, 차량수리비용, 행정비용 및 PGS(Pain, Grief & Suffering) 비용으로 구분된다. 이중에서 PGS비용은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고려된 항 목으로 교통사고 피해자 및 가족의 물질적·정신적 피해비용을 의미한다. 본연구에서는 각 항목의 비용 추계를 가능한 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이며 구체적으로 산출하였으며 그결과 사고등급별 건당 교통사고비 용을 도출하였다. PGS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 사망사고 1건당 2억4천만원이고 중상사고 1건당 2천3백만 원 경상사고 1건당 7백 9십만원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사망자와 부상자 1인당 평균사고비용은 각각 2억 1천만원과 1천1백만원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isaster Relief Fund Ordinances in Metropolitan Governments (재해구호기금 적립 및 사용 규정 개선에 관한 연구 -광역지방자치단체 조례 분석을 중심으로-)

  • Jung, Jaehan;Lee, Teaho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2 no.4
    • /
    • pp.350-357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disaster relief fund Ordinances in metropolitan governmen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is found that ordinances of the large number of metropolitan governments are in violation of the statute. The ordinances are based on the local government activities. Therefore, the maintenance of the ordinance must be made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disaster relief funds appropriately.

A Study on the Statistical Analysis of Fire Patterns in Seoul Metropolitan Region (통계적 방법을 이용한 수도권지역의 화재유형분석에 관한 연구)

  • Sin, Jae-Wook;Kim, Hae-Rim;Park, Young-Ju;Lee, Hae-Pyeong;Moon, Kyong-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4a
    • /
    • pp.424-42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수도권지역(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의 화재발생 유형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소방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SPSS와 Clementin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소방방재청 국가화재정보시스템의 2007년과 2008년 화재발생 자료를 대상으로 기초통계분석(교차분석, 빈도분석)을 비롯하여 의사결정트리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로서, 수도권지역의 화재건수는 2007년 이후부터 감소하거나 유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화재유형은 50% 이상이 건축/구조물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명피해를 보면 서울시는 다른 수도권지역과 달리 2007년 대비 2008년 부상자와 사망자 수가 감소하였으며, 재산피해의 경우, 서울을 비롯한 대부분의 수도권지역에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Call Services Using V2N(Vehicle to Nomadic Device) Technology (V2N(Vehicle to Nomadic Device) 기술을 이용한 e-Call 서비스 개선에 관한 연구)

  • Choi, Su-min;Shin, Y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8.10a
    • /
    • pp.321-324
    • /
    • 2018
  • Recently, the evolution of V2X (Vehicle to Everything) technology is accelerating.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C-V2X (Cellular V2X) technology and services combined with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are developing rapidly. However, in Korea, e-Call and emergency communication services are inferior to the develope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the proportion of vehicles arriving at Golden Hour is considerably low. Therefore, this paper designed the communication architecture with C-V2X and Android operating systems, and presented ways to improve existing e-Call services using V2N (Vehicle to Nomadic Device) communication based on it.

  • PDF

Prediction of maximum tsunami heights using neural network (인공신경망기반의 최대 지진해일고 예측)

  • Min-Jong Song;Yong-Sik C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84-484
    • /
    • 2023
  • 지진해일은 해저지진, 화산활동, 해저 산사태 등에 의해 발생되는 장주기 파랑이다. 지진해일은 발생빈도가 낮지만, 한번 발생하면 많은 에너지가 연안으로 유입되어 인명 및 재산피해를 야기 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과거 수십년동안 지진해일에 대한 연구는 지진해일의 역학관계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수치모델 개발에 초점을 두어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더욱이, 지진해일 실험적 연구는 많은 경제적 비용을 지불해야 하기에 수치모델개발 연구가 더욱 중점적으로 수행되어 왔다. 지리학적으로 우리나라는 지진해일에 안전하지 못하다. 하나의 예로, 1983년 5월 26일, 일본 서해안에서 발생한 지진해일은 동해로 전파되어 동해안 지역에 커다란 피해를 야기시켰다. 이 당시, 강원도삼척시 원덕읍에 위치한 임원항에서는 2명의 사상자와 2명의 부상자가 발생하였고, 당시 금액으로 약3억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하였다. 이 연구는 인공지능 기법 중 하나인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인명과 재산피해가 발생한 임원항에서 최대지진해일고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지진해일 수치모델은 뛰어난 정확도를 나타내는 반면, 결과를 산출하는데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에 반해, 인공신경망은 수치모델과 유사한 정확도 및 결과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지진해일 인공신경망 모델 개발은 지진의 단층파라미터를 바탕으로 작성된 지진해일의 시나리오를 토대로 연구가 진행되었고, 우리나라 동해에 위치한 외해 관측 지점의 지진해일고 자료를 통해, 임원항에서의 최대 지진해일고가 예측되도록 개발되었다. 이를 위하여, 인공신경망의 학습 및 검증 과정을 수행하였고, 향후 발생 가능한 다양한 지진해일에 대해 평가함으로써, 인공신경망 모델의 예측성능을 확인하였다.

  • PDF

어선원 공제보험데이터 기반 조업 중 재해사고 특성 분석

  • 노유나;정회민;강동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1.11a
    • /
    • pp.5-7
    • /
    • 2021
  • 최근 해양사고 발생 건수의 급격한 증가와 더불어 어선의 조업 중 안전사고로 인한 인명피해 또한 크게 증가하였다. 중앙해양안전심판원의 공식 통계에 따르면, 2017년 46명이었던 안전사고의 사망실종자는 2019년 38명으로 소폭 감소하였으나, 2020년 60명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사망자가 감소하였던 2019년 안전사고로 인한 부상자는 164명으로 전년도 76명 대비 2배 이상 증가하며 어선원에 대한 안전재해 예방은 실효성을 갖지 못하는 실정이다. 국내 업종별 산업재해율을 비교해볼 때, 어업 재해율은 농업, 광업, 제조업, 건설업, 임업 등을 포괄한 전체 산업 평균 재해율의 약 10배에 이르며 어업인들의 안전이 큰 위협에 놓여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2017년부터 2019년의 수협중앙회의 어선원 공제보험데이터를 활용하여 선박별, 재해자별 사고 현황과 발생 형태를 분석하였다. 특히, 교차분석과 연관규칙분석기법을 통해 승선 직책별 부상 부위와 사고발생 형태를 식별하였으며, 이에 따라 직책에 따른 부상 부위를 비교하여 맞춤형 예방대책 수립을 위한 지원과, 사고발생형태의 군집 분석을 통해 발생형태간의 연결고리를 도출하여, 스위스 치즈 모델에서 제안하는 취약점(Weakness)를 식별하고, 이러한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어 장벽(Protective barriers)을 제언한다.

  • PDF

Characteristic Analysis of Casualty Accidents in Chemical Accidents (화학사고에 의한 인명사고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Lee, Tae-Hyung;Lee, Deok-Jae;Shin, Chang-Hyu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1 no.1
    • /
    • pp.81-88
    • /
    • 2017
  • This study analyzed chemical accidents each year according to the status, type of accident, accident place, business size, and chemical substance. The results of the chemical accident investigation were 16 cases in 2013, 27 cases in 2014, 46 cases in 2015, and 23 cases in 2016. According to the type of chemical accident, number of accidents, and casualty accidents, leakage was found to be the major cause. As a result of accidents and casualties caused by chemical accidents, workplaces had the highest numbers in all survey items. An examination of the top 10 accident materials revealed 9 substances to be hazardous chemicals. These materials were accident preparedness substances, and toxic substances.

Lumped Track Modeling for Estimating Traction Force of Vecna BEAR Type Robot (Vecna BEAR 형 로봇의 견인력 추정을 위한 Lumped 궤도 모델링)

  • Kim, Tae Yun;Jung, Samuel;Yoo, Wan Suk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9 no.3
    • /
    • pp.275-282
    • /
    • 2015
  • Recently, Vecna BEAR type robot to save injured individuals from inaccessible areas has been developed to minimize the loss of life. Because this robot is driven on rough terrain, there is a risk of rollover and vibration, which could impact the injured. In order to guarantee its stability, an algorithm is required that can estimate the speed limits for various environments in real time. Therefore, a dynamic model for real-time analysis is needed for this algorithm. Because the tracks used as the driving component of Vecna BEAR type robot consist of many parts, it is impossible to analyze the multibody tracks in real time. Thus, a lumped track model that satisfies the requirements of a short computation time and adequate accuracy is required. This study performed lumped track modeling, and the traction force was verified using RecurDyn, which is a dynamic commercial program.

Development of the Disaster Medical Manual in Korea (국가재난의료매뉴얼의 개발)

  • Wang, Soon-J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9 no.1
    • /
    • pp.39-45
    • /
    • 2016
  • The disasters in Korea, such as the Sewol Ferry Ship sinking disaster has had problems related to the medical response system, with the problems of emergency medical support team in the site, the cooperation between medical staff and fire department officer at disaster site, field medical support and hospital acceptance of the wounded in trouble, the lack of specific systematic medical response manual. Therefore, from May 2014, when the disaster emergency information center in Central Emergency Medical Center starts, collection, modification and education of scattered preexisting disaster emergency medical manual had appeared as important issues. So, it was necessary to develop the early medical response system to disaster. The correction planning of disaster emergency medical response system by Central Emergency Medical Center included quick response system with the fast medical team operation, but the practical application was not enough. So the researcher and his team developed the first Korean disaster emergency medical response manual and the process of development was documented and arranged with the application by education and training.

Analysis Report of the Elapse for Costa Concordia's Disaster (코스타 콘코디아 재난 경과 분석 보고서)

  • Yoon, Dae-Gwun;Kim, Cheol-Se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8 no.4
    • /
    • pp.331-335
    • /
    • 2012
  • On January 13th 2012 Italian flag Costa Concordia was partly sunk. The ship was carrying 4,252 passengers and crew; in the next few days the bodies of 30 people were found. Two are still missing. Two South Korean passengers and an Italian crew member was rescued from the ship on January 15th, more than 24 hours after the accident. As of June 18th 2012 (The date of presentation) around 32 people had not been accounted for. In this paper, it is viewed and pointed out the cause, problem, and implication for the future. As a result, intelligent innovative evacuation system for the VLPS (Very Large Passenger Ship) should be set up in terms of international maritime saf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