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분문법그래프

Search Result 9, Processing Time 0.166 seconds

Language-generating-Power of HRNCE Grammars (HRNCE 문법의 언어 생성력)

  • Jeong, Tae-Ui;Park, Dong-Seon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3 no.7
    • /
    • pp.1659-1668
    • /
    • 1996
  • Graph grammars generate graph languages while string grammars generate string languages which are the subset of graph languages. One of the most successful graph grammars models is the NLC grammars, which gen-erate graphs by replacing a node by a node by a graph through node labels. For grammars generating hypergraphs which are the superset of graphs, there are CFHG grammars, which replace a hyperedge by a hypergraph through their preidentified gluing points, an extension of CFHG grammars called HH grammars, which replace a handle by a hypergraph through the rewriting mechanism that can also duplicate or delete the hyperedges surrounding the replaced handle, and finally HRNCE grammars, which replace a handle by a hypergraph through an eNCE way of rewriting, In this paper, we compare the language-generating power of HRNCE grammars with that a graph grammars mentioned above by comparing graph langrages generated by them, respecti vely.

  • PDF

Modelling Grammatical Pattern Acquisition using Video Scripts (비디오 스크립트를 이용한 문법적 패턴 습득 모델링)

  • Seok, Ho-Sik;Zhang, Byoung-Ta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0.10a
    • /
    • pp.127-129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코퍼스를 통해 언어를 학습하는 과정을 모델링하여 무감독학습(Unsupervised learning)으로 문법적 패턴을 습득하는 방법론을 소개한다. 제안 방법에서는 적은 수의 특성 조합으로 잠재적 패턴의 부분만을 표현한 후 표현된 규칙을 조합하여 유의미한 문법적 패턴을 탐색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베이지만 추론(Bayesian Inference)과 MCMC (Markov Chain Mote Carlo) 샘플링에 기반하여 특성 조합을 유의미한 문법적 패턴으로 정제하는 방법으로, 랜덤하이퍼그래프(Random Hypergraph) 모델을 이용하여 많은 수의 하이퍼에지를 생성한 후 생성된 하이퍼에지의 가중치를 조정하여 유의미한 문법적 패턴을 탈색하는 방법론이다. 우리는 본 논문에서 유아용 비디오의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다양한 유아용 비디오 스크립트에서 문법적 패턴을 습득하는 방법론을 소개한다.

  • PDF

Building Korean Multi-word Expression Lexicons and Grammars Represented by Finite-State Graphs for FbSA of Cosmetic Reviews (화장품 후기글의 자질기반 감성분석을 위한 다단어 표현의 유한그래프 사전 및 문법 구축)

  • Hwang, Chang-Hoe;Yoo, Gwang-Hoon;Choi, Seong-Yong;Shin, Dong-Heouk;Nam, Jee-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400-405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어 화장품 리뷰 코퍼스의 자질기반 감성 분석을 위하여, 이 도메인에서 실현되는 중요한 다단어 표현(MWE)의 유한상태 그래프 사전과 문법을 구축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실제 구축된 사전과 문법의 성능을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어처리(NLP)에서 중요한 화두로 논의되어 온 MWE의 어휘-통사적 특징을 부분문법 그래프(LGG)로 형식화하였다. 화장품 리뷰 코퍼스에 DECO 한국어 전자사전을 적용하여 어휘 빈도 통계를 획득하고 이에 대한 언어학적 분석을 통해 극성 MWE(Polarity-MWE)와 화제 MWE(Topic MWE)의 전체 네 가지 하위 범주를 분류하였다. 또한 각 모듈간의 상호관계에 대한 어휘-통사적 속성을 반복적으로 적용하는 이중 증식(double-propagation)을 통해 자원을 확장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구축된 대용량 MWE 유한그래프 사전 DECO-MWE의 성능을 테스트한 결과 각각 0.844(Pol-MWE), 0.742(Top-MWE)의 조화평균을 보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MWE 언어자원 구축 방법론이 다양한 도메인에서 활용될 수 있고 향후 자질기반 감성 분석에 중요한 자원이 될 것임을 확인하였다.

  • PDF

LGG-based Phrase-Pattern Dictionaries of Non-Standard Tokens that contain Bound Nouns in Social Media Texts (SNS 텍스트의 비정규토큰 분석 성능 향상을 위한 의존명사 내포 어형의 LGG 기반 패턴문법 사전)

  • Choi, Seong-Yong;Shin, Dong-Hyok;Hwang, Chang-Hoe;Yoo, Gwang-Hoon;Nam, Jee-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394-399
    • /
    • 2018
  • 본 연구는 SNS 텍스트에서 형태소 분석기로 분석되지 않는 비정규토큰 유형 중 고빈도로 나타나는 의존명사 내포 어형의 형태소를 인식할 수 있는 LGG 기반 패턴문법 사전 구축과 그 성능을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SNS 텍스트에서는 기존의 정형화된 텍스트와 달리, 띄어쓰기 오류로 인한 미분석어가 매우 높은 빈도로 나타나는데, 특히 의존명사를 포함한 유형이 20% 이상을 차지하며 가장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존명사를 내포한 비정규토큰의 띄어쓰기 오류 문제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부분 문법 그래프(Local Grammar Graph: LGG) 프레임에 기반한 패턴문법 사전을 구축하였다. 이를 SNS 코퍼스에 적용하여 성능을 평가한 결과, 정확률 91.28%, 재현율 89%, 조화 평균 90.13%의 성능을 통해 본 연구의 접근 방법론의 유용성과 구축 자원의 실효성을 입증하였다.

  • PDF

Employee's Discontent Text Analysis on Anonymous Company Review Web and Suggestions for Discontent Resolve (기업 리뷰 웹 사이트 텍스트 분석을 통한 직원 불만 표현 추출과 불만 원인 도출 및 해소 방안)

  • Baek, HyeYeon;Park, Yongsu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3 no.4
    • /
    • pp.357-364
    • /
    • 2019
  • As industrial information disclosure by insider's rate is around 80%, most of relevant researches explain briefly its causes are discontent of salary or human resources system. This paper scrapes texts on Jobplanet, an anonymous company review website and analyzes discontent keyword by 7 related area and their contexts to find out more details on brief causes referred above. After drawing LGG (Local Grammar Graph) by each areas with related dictionary list, this paper shows an example of concordance as a proof and several ways for human resources leakage prevention. Finally, text analysis results are compared with previous researches based on survey with limited questions and answers. This study is meaningful to expand the scope of employee discontent analysis with company review text and provide more specific, granular and honest discontent vocabularies.

Study on Domain-dependent Keywords Co-occurring with the Adjectives of Non-deterministic Opinion (휴먼 오피니언 자동 분류 시스템 구현을 위한 비결정 오피니언 형용사 구문에 대한 연구)

  • Ahn, Ae-Lim;Han, Yong-Jin;Park, Se-Young;Nam, Jee-S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c
    • /
    • pp.248-25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웹 문서로부터 특정 상품에 대한 의견 문장을 분석하는 오피니언 마이닝(Opinion Mining) 연구의 일환으로, 특히 함께 공기하는 자질 명사에 따라 그 극성 값이 달라지는 '비결정 오피니언어휘'의 처리를 위해서 도메인을 '맛집'으로 한정하여 공기하는 도메인 키워드의 목록을 결정하고, 이를 부분문법그래프(Local Grammar Graphs) 방법론을 통해서 이들 간의 어휘 통사적 관계를 결정해 주었다.

Building Sentiment-Annotated Datasets for Training a FbSA model based on the SSP methodology (반자동 언어데이터 증강 방식에 기반한 FbSA 모델 학습을 위한 감성주석 데이터셋 FeSAD 구축)

  • Yoon, Jeong-Woo;Hwang, Chang-Hoe;Choi, Su-Won;Nam, Jee-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66-71
    • /
    • 2021
  • 본 연구는 한국어 자질 기반 감성분석(Feature-based Sentiment Analysis: FbSA)을 위한 대규모의 학습데이터 구축에 있어 반자동 언어데이터 증강 기법(SSP: Semi-automatic Symbolic Propagation)에 입각한 자질-감성 주석 데이터셋 FeSAD(Feature-Sentiment-Annotated Dataset)의 개발 과정과 성능 평가를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FeSAD는 언어자원을 활용한 SSP 1단계 주석 이후, 작업자의 주석이 2단계에서 이루어지는 2-STEP 주석 과정을 통해 구축된다. SSP 주석을 위한 언어자원에는 부분 문법 그래프(Local Grammar Graph: LGG) 스키마와 한국어 기계가독형 전자사전 DECO(Dictionnaire Electronique du COréen)가 활용되며, 본 연구에서는 7개의 도메인(코스메틱, IT제품, 패션/의류, 푸드/배달음식, 가구/인테리어, 핀테크앱, KPOP)에 대해, 오피니언 트리플이 주석된 FeSAD 데이터셋을 구축하는 프로세싱을 소개하였다. 코스메틱(COS)과 푸드/배달음식(FOO) 두 도메인에 대해, 언어자원을 활용한 1단계 SSP 주석 성능을 평가한 결과, 각각 F1-score 0.93과 0.90의 성능을 보였으며, 이를 통해 FbSA용 학습데이터 주석을 위한 작업자의 작업이 기존 작업의 10% 이하의 비중으로 감소함으로써, 학습데이터 구축을 위한 프로세싱의 소요시간과 품질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A Named Entity Recognition Platform Based on Semi-Automatically Built NE-annotated Corpora and KoBERT (반자동구축된 개체명 주석코퍼스 DecoNAC과 KoBERT를 이용한 개체명인식 플랫폼 DecoNERO)

  • Kim, Shin-Woo;Hwang, Chang-Hoe;Yoon, Jeong-Woo;Lee, Seong-Hyeon;Choi, Soo-Won;Nam, Jee-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0.10a
    • /
    • pp.304-30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전자사전 DECO(Dictionnaire Electronique du COreen)와 다단어(Multi-Word Expressions: MWE) 개체명을 부분 패턴으로 기술하는 부분문법그래프(Local-Grammar Graph: LGG) 프레임에 기반하여 반자동으로 개체명주석 코퍼스 DecoNAC을 구축한 후, 이를 개체명 분석에 활용하고 또한 기계학습에 필요한 도메인별 학습 데이터로 활용하는 DecoNERO 개체명인식 플랫폼을 소개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최근 들어 좋은 성과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기계학습 방법론들은 다양한 도메인을 기반으로한 대규모의 학습데이터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정교하게 설계된 개체명 사전과 다단어 개체명 시퀀스에 대한 언어자원을 바탕으로 하는 반자동으로 학습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개체명주석 코퍼스 DecoNAC 기반 접근법의 성능을 실험하기 위해 온라인 뉴스 기사 텍스트를 바탕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 실험에서 DecoNAC을 적용한 경우, KoBERT 모델만으로 개체명을 인식한 결과에 비해 약 7.49%의 성능향상을 기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Studies on the linguistic properties of the IT-People documents for an efficient Information Retrieval (IT 인물 관련 텍스트 정보의 효율적인 검색을 위한 Sub-language의 속성 연구)

  • Koh, Seung-Hui;Kim, So-Yeon;Cheon, Seung-Mi;Nam, Jee-Sun;Kim, Kweon-Yang;Park, Se-Young;Berlocher, Iva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7.10a
    • /
    • pp.241-249
    • /
    • 2007
  • 본 연구는 IT 인물 관련 텍스트 정보의 효율적인 검색을 위하여 문서 내에서 인물과 관련된 정보를 담고 있는 문장들이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실현되는가를 살펴보고 언어적 속성을 어떻게 구조화하고 형식화할 것인가를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언어적 속성 분석을 위해서 전자신문 내에서 인물 관련 코퍼스를 수집하고 이들의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이 문제가 되는 특징들을 확인하였다. 즉 외래어 음차 표기문제, 복합명사 및 명사구 그리고 서술 명사적 표현의 문제 등으로 요약된다. IT라는 특정 영역에 대해 텍스트 내에서의 어휘-통사적 패턴을 분석하고 언어적 특징에 대한 효율적 기술을 위해서는 LGG 부분 문법 그래프 모델을 활용하도록 한다. 본 연구는 특정 영역인 IT 관련 문서에서 자연언어 텍스트를 대상으로 정보 검색할 때 문제가 되는 다양한 언어학적 현상들을 다루며, 향후보다 확장된 영역에서의 효율적 언어 처리에 대한 방법론적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