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분교정

검색결과 233건 처리시간 0.024초

모델 불확실성을 가진 비동기 순차 머신의 모델 정합 포함을 위한 상태 피드백 제어 (State Feedback Control for Model Matching Inclusion of Asynchronous Sequential Machines with Model Uncertainty)

  • 양정민;박용국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7권4호
    • /
    • pp.7-14
    • /
    • 2010
  • 유한 상태 머신으로 표현되는 비동기 머신의 안정 상태 동작은 피드백 제어를 통해서 원하는 목적에 맞게 교정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불확실한 상태 천이를 가지는 입력/상태 비동기 머신을 위한 상태 피드백 제어기를 제안한다. 비동기 머신은 결정적인 동작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모델 불확실성, 내부 고장 등으로 인해서 일부 영역의 상태 천이 함수가 불확실하다. 교정 제어의 목적은 불확실한 상태 천이를 고려하면서 머신의 폐루프 동작이 주어진 정상적인 모델 동작의 부분 집합이 되도록하는 일이다. 또 제어기는 실제 교정 동작을 수행하면서 획득하는 머신의 정확한 상태 천이를 그 다음 제어 동작에 반영한다. 즉 학습을 통해서 폐루프 시스템이 이룰 수 있는 모델의 부분 동작의 범위가 더 확대된다. 사례 연구를 제안된 제어기의 설계 과정을 예시한다.

ELSA테크닉을 이용한 치간유두의 재생 (Reconstruction of Interdental papilla through ELSA technique : A Clinical Case Report)

  • 정성국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91-101
    • /
    • 2021
  • 치간유두의 Connective Tissue Graft (CTG)는 좁은 공간 때문에 아주 까다롭다. 그래서 치간유두의 재생은 아주 도전적인 과제라고 생각한다. 이렇게 인접치와의 좁은공간에서 잇몸이식은 아주어렵지만, 3mm의 공간을 만들 수 있다면 CTG는 그렇게 어렵지 않다. 그래서 교정력을 이용하여 임시적으로 3mm의 공간을 만들어 주고 잇몸이식을 진행하였다. CTG는 마이크로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치은박리를 시행하였고, 치아사이의 공간에 수직절개를 만들어 그곳을 이용해서 결합조직을 이식하였다. 유지기간후에 교정력을 이용해 다시 치아사이의 공간을 모아서 치아를 배열하였다. 이 방법을 통해 치아사이의 치간유두를 재생하였고 이 술식을 이름을 ELSA (Enlargement of space - Labial graft - Squeezing - for Augmentation of papilla)로 이름지었다. 치주질환 등으로 치간유두가 소실된 경우, ELSA technique을은 치간유두를 재생하는 아주 효과적인 방법이다.

선천성 승모판폐쇄부전증 교정수술의 단기성적 (Surgical Result of Congenital Mitral Regurgitation in Children)

  • 홍유선;박영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4호
    • /
    • pp.373-377
    • /
    • 1997
  • 소아에서의 선천성 승모판 폐쇄부전은 다른 기형의 동반과 함께 일찍 심부전을 일으키게 되나 기계 판막과 조직 판막 모두 소아에서는 한병증과 재수술을 요하는 바 자신의 조직을 최대한 이용하여 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991년 1월부터 1995년 5월까지 15세이하의 소아에서 선천성승모판폐쇄부전증으로 32예에서 교정수술을 시행하였다. 나이는 3개월에서 9년 7개월(평균 24.0 $\pm$26.1) 이었으며 남아가 16예, 여아가 16예 였다. 26예(81 %)에서 심장기형을 동반하였으며 이중 심실중격결손증이 18예를 차지하고 있었다. 수술시 승모판막의 병리적 소견을 보면 판막윤의 확장만을 보인 경우가 7예, 판막침의 탈출증이 18예, 판막에 열이 있는 경우가 5예 그리고 판막침의 운동장애를 보인 경우가 2예 있었다. 판막의 교정은 판막윤 성형술만을 시행한 경우가 14예, redundant leaflet을 교정한 경우가 6예, 판막열을 폐쇄한 경우가 5예, 판막삭의 축소를 시행한 경우가 4예, 판막의 부분절제가 2예, 유두상근의 분리를 1예에서 시행하였다. 수술사망은 없었으며 만기사망은 심부전과 패혈증으로 2예에서 발생되었다. 추적관찰시 8예 에서 교정된 판막의 부전이 濚森퓸\ulcorner이중 2예에서 재수술을 시행하여 판막을 인공판막으로 치환하였다. 모든 환아의 46개월의 생존율은 92.5%를 보였으며 재수술회피율은 12개월, 46개월시 95%와 92.5% 를 보였고 판막교정의 실패율은 12개월,46개월시 68.7%와 61 8%를 보였다. 그러므로 소아에서 승모판의 교정수술은 비록 판막교정의 실패율은 높지만 낮은 사망과 낮은 재의 위험성을 보이기 때문에 소아에서 승모판폐쇄부전증은 가능곤판막의 재건으로 치료해야 할것으로 생각된다.

  • PDF

상악 가철식 보정장치인 circumferential comfortable retainer (CCR)에 대한 불편감 평가 (Discomfort caused by the circumferential comfortable retainer (CCR) as a removable maxillary retainer)

  • 최진휴;문철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325-333
    • /
    • 2010
  • 발음장애, 구토감 및 착용 불편감과 같은 보정장치에 대해 환자가 느끼는 불편감을 평가해보기 위해 고정식 교정장치로 교정치료를 받고 교정장치가 제거된 66명(남자 23명, 여자 43명; 평균연령 $23.42{\pm}10.19$)의 교정환자를 대상으로 무작위로 두 군으로 배정한 후 고정식 교정장치를 제거한 다음 날 CWR 장착군에게는 구개를 완전히 덮는 구개 완전 피개형 보정장치인 conventional wraparound retainer (CWR)를 장착시키고 CCR 장착군에게는 구개를 말 발굽 모양으로 부분 피개하는 보정장치인 circumferential comfortable retainer (CCR)를 4주 동안 장착시킨 후 발음장애, 구토감 및 착용 불편감의 정도에 대해 100-mm visual analog scale (VAS)로 표시할 수 있도록 제작된 설문지를 통해 얻은 점수에 대해 통계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발음장애와 착용 불편감의 비교에서 CCR 장착군이 CWR 장착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p$ < 0.05). 구토감의 비교에서는 CCR 장착군이 CWR 장착군에 비해 낮은 점수를 보였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 0.146). 이상의 연구 결과로 circumferential comfortable retainer (CCR)는 발음장애를 감소시키고, 착용 불편감을 완화시킴으로써 환자의 협조도를 증진시켜줄 수 있는바 고정식 교정장치를 이용한 교정치료 후 치료결과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한국인의 두개안면골 성장변화에 관한 누년적 연구 (A Longitudinal Study on Craniofacial Skeleton Growth Change in Koreans with Normal Occlusion)

  • 박경덕;성재현;정동명;송재기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7권1호
    • /
    • pp.137-144
    • /
    • 1996
  • 치과 교정학에서 두개안면골의 성장양상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두개안면골의 성장양상에 영향을 가장 많이 주는 안면골 요인들을 조사하여 성장양상을 조기에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각 요인들의 정상 기준치를 구함으로써, 치과 교정치료의 진단 및 치료계획의 수립, 치료진행과정의 평가, 치료결과의 분석 등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흰쥐의 실험적 치아이동시 치수의 반응에 관한 조직학적 연구 (A HISTOLOGIC STUDY ON THE RESPONSES OF PULP IN EXPERIMENTAL TOOTH MOVEMENT OF WHITE RATS)

  • 남동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5-20
    • /
    • 1970
  • 저자는 흰쥐 27수의 하악제일대구치를 교정용 고무선으로 이동시킨후, 이동의 초기에 나타나는 치수의 반응을 조직학적 방법으로 관찰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30 Gm부터 120 Gm까지의 힘을, 12수는 3일간, 15수는 7일간, 각 실험치아에 부여하였다. 관찰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치수조직의 주변화는 치수혈관의 순환장애와 조상아세포의 공포형상으로 나타났다. 2. 적용시킨 힘의 증가에 따라서 상기 조직변화의 범위가 확대되었다. 3. 기외에 치근의 상아질과 백악질의 부분적 흡수도 볼 수 있었다.

  • PDF

벽속관상동맥 기형과 대동맥궁 단절을 함께 동반한 Taussig-Bing심기형의 해부학적 완전교정 (Anatomical Repair of Taussig-Bing Anomaly with Interrupted Aortic Arch and Intramural Left Coronary Artery)

  • 성시찬;김시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10호
    • /
    • pp.775-780
    • /
    • 2001
  • 저자들은 벽속좌관상동맥 기형과 대동맥궁 단절을 함께 동반한 Taussig-Bing심기형을 가진 생후 39일된 환아의 해부학적 완전교정을 시행하였다. 자가심낭이나 기타 다른 보형물(Prosthesis)을 사용하지 않고 대동맥궁과 신생대동맥의 재건이 가능하였으며, 관상동맥전이 시에는, 대동맥 교련부를 부분적으로 대동맥벽으로부터 박리해 낸 후 벽속좌관상동맥을 우관상동맥으로부터 분리하여 주폐동맥의 원위부 즉 신생대동맥으로 전이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술후 3일째 지연흉골봉합을 시행하였으며 폐렴으로 인해 술후 1달여간 입원가료 후 퇴원하였다 환아는 현재 5개월이며 계속적인 경구투약은 없으며 특별한 이학적 소견이나 증상은보이지 않고 있다. 벽속좌관상동맥 기형과 대동맥궁 단절을 함께 동반한 Taussig-Bing심기형의 해부학적 완전교정을 성공적으로 시행하였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웹 기반 논술첨삭지도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 Implementation of a Web-Based Essay Correction System)

  • 김효원;한현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793-796
    • /
    • 2006
  • 우리사회가 정보와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사회로 변화함에 따라 문제해결능력을 기르고 측정하는 논술교육의 중요성이 나날이 증가되어가고 있다. 논술은 문제의식을 가지고 비판적인 사고를 통해 문제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정리해 나가는 것이다. 논술능력 향상을 위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미흡한 점을 보완하여 보다 나은 논술로의 지도를 위한 적절한 교정 및 평가이다. 현재 온라인 논술교육사이트에서 다방면으로 논술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첨삭부분에 있어서는 아직까지 미흡한 점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개념의 웹 기반 논술첨삭지도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본 시스템은 글의 내용, 구성, 형식 측면에서 마우스를 이용한 영역선택 방식과 교정기호의 아이콘 삽입방식을 통해 효과적이고 편리하게 첨삭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첨삭결과 확인은 논술 원문에서 글자형태가 바뀐 영역 표시를 클릭하였을 경우에만 첨삭결과를 확인하도록 구성하여 첨삭 전의 논술 원문을 논술작성자 스스로 퇴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학생과 교사사이에 원활한 피드백을 형성하도록 하여 주입식 논술교육을 지양하도록 하였다.

  • PDF

비분산 적외선 방식의 $CO_2$ 센서 모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_2$ Sensor Module Using NDIR Method)

  • 김규식;오준태;김조천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127-12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비분산 적외선 방식을 이용한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듀얼 센서 모듈을 실현한다. 비분산 적외건 방식은 가스분자가 특정 파장의 적외선을 흡수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가스의 적외선 흡수도를 측정하여 농도로 환산하는 방식이다. 비분산 적외선 방식은 수명이 길고 정밀도가 높아 기존의 접촉식(화학식) 센서에 비해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중요한 기술은 NDIR의 핵심부분인 광 공동의 설계 기술과 센서의 성능을 최종 결정짓는 농도-온도 교정 기술이다. 현재까지 개발된 광공동 기술은 $CO_2$ 센서의 단일 센서 방식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기술을 접목한 일산화탄소까지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광 공동기술과 교정기술을 연구개발하여 하나의 광 공동으로 이산화탄소와 일산화탄소를 동시에 측정 할 수 있는 고기능 센서를 실현하는 것이다.

  • PDF

선천성 심기형에 동반된 누두흉에서 동시에 시행안 심기형 교정 및 Nuss 수술 -1예 보고- (Nuss Operation with Simultaneous Intracardiac Repair -A case report-)

  • 허재학;장지민;김욱성;장우익;정철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6호
    • /
    • pp.536-538
    • /
    • 2004
  • 선천성 심기형과 흉벽기형이 동반되어 있는 경우 이 두 질환을 동시에 수술하는 경우에 변형된 늑연골의 광범위한 절제에 따른 합병증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원 흉부외과에서는 부분 방실중격 결손증과 오목가슴이 동반된 8세 환아에서 개심술 시에 Nuss 술식을 이용하여 오목가슴을 교정함으로써 광범위한 늑골절제에 따른 수술시간의 지연이나 출혈, 흉벽의 불안정성 등의 단점없이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