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분공간

검색결과 2,116건 처리시간 0.024초

DS-CDMA DMB 하향링크에서의 블라인드 신호공간 채널추정 기법 (Blind Signal Subspace Channel Estimation technique for DS-CDMA DMB downlink)

  • 양완철;이병섭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9A호
    • /
    • pp.1039-1047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신호공간과 장음공간과의 직교성을 이용하는 종래의 부분공간 방식과는 달리 신호공간만을 이용하여 채널응답을 추정해낼 수 있는 긴 코드 DSCDMA DMB 하향링크 시스템에서의 새로운 채널추정기법을 제안한다. 신호공간만을 이용하므로 제안된 기법은 종래의 부분공간 방식에서의 공분산 행렬 사이즈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따라서 실제 구현 가능한 적정한 사이즈의 공분산 행렬로 부분공간 분석을 통한 채널추정기업에 사용될 수있다.

온라인 데이터 스트림에서의 동적 부분 공간 클러스터링 기법 (Dynamic Subspace Clustering for Online Data Streams)

  • 박남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217-223
    • /
    • 2022
  • 온라인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부분 공간 클러스터링은 데이터 공간 차원의 모든 부분 집합을 검사해야 하므로 많은 양의 메모리 자원을 필요로 한다. 유한한 메모리 공간에서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클러스터들의 지속적인 변화를 추적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메모리 자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격자기반 부분 공간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n차원 데이터 스트림이 주어지면 각 차원 데이터 공간에 있는 데이터 항목의 분포 정보를 격자셀 리스트에 의해 모니터링 된다. 첫번째 레벨의 격자셀 목록에서 데이터 항목의 빈도가 높아 단위 격자셀이 되면 해당 격자셀로부터 모든 가능한 부분 공간의 클러스터를 찾기 위해 다음 레벨의 격자셀 리스트를 자식 노드로 생성한다. 이와 같이 최대 다차원 n레벨의 격자셀 부분 공간 트리가 구성되고, k차원의 부분 공간 클러스터는 부분 공간 격자셀 트리의 k레벨에서 찾을 수 있다. 실험을 통해서 제안하는 방법이 기존 방법만큼 정확도를 유지하면서, 밀집 공간만 확장하여 컴퓨팅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Karhunen-Loeve 변환 기반의 부분공간 인식기와 결합된 다중 노벨티 인식기를 이용한 필기체 숫자 인식 (Handwritten Numeral Recognition Using Karhunen-Loeve Transform Based Subspace Classifier and Combined Multiple Novelty Classifiers)

  • 임길택;진성일
    • 전자공학회논문지C
    • /
    • 제35C권6호
    • /
    • pp.88-98
    • /
    • 1998
  • 부분공간 인식기는 Karhunen-Loeve (KL) 변환을 기반으로 하는 대표적인 패턴인식 방법이다. 이 부분 공간 인식기는 고차원의 패턴을 저차원의 부분공간에 나타내어 인식을 한다. 그러나 차원 감축으로 인한 정보의 손실로 principal components가 유사하게 나타나는 패턴간에는 분별이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부분공간 인식기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무시되는 minor components로 표현되는 패턴의 노벨티 성분을 이용하는 결합된 다중 노벨티 신경망 인식기를 제안하고 부분공간 인식기와 결합을 통해 인식률을 제고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필기체 숫자 데이터베이스에 대해서 제안한 인식기를 구성하고 특성을 분석한다. 제안한 방법은 다른 인식기들에 비해서 신경망에 사용된 가중치의 수는 증가하지만 가장 우수한 인식 성능을 나타내었다.

  • PDF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 부분 색인 전송을 이용한 효율적인 색인 재구성 기법 (An Efficient Method of the Index Reorganization using Partial Index Transfer in Spatial Data Warehouses)

  • 정영철;유병섭;박순영;이재동;배해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9-42
    • /
    • 2005
  •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 구축기는 소스 데이터의 변경 사항을 일괄처리의 형태로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에 적재한다. 또한,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 서버는 사용자의 질의에 빠른 응답을 하기위해 적재된 데이터로 색인을 구축한다. 색인을 구성하는 기존 기법으로는 벌크 삽입 기법 및 색인 전송 기법이 있다. 벌크 삽입 기법은 색인을 구성하기 위한 클러스터링 비용이 필요하며 검색 성능도 떨어진다. 또한, 색인 전송 기법은 주기적인 소스 데이터의 변경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 부분 색인 전송을 이용한 효율적인 색인 재구성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구축기에서 색인의 구조에 맞게 클러스터링된 클러스터들을 부분 색인으로 구성하여 페이지 단위로 전송한다.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 서버에서는 전송된 부분 색인의 물리적 사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연속된 공간을 예약하고 예약된 공간에 부분 색인을 기록한다. 기록된 부분 색인은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 서버에 있던 기존 색인에 삽입된다. 부분 색인이 기존 색인에 직접 삽입됨으로써 색인 재구성을 위한 검색, 분할, 재조정 비용은 최소가 된다.

  • PDF

고차원 자료의 비지도 부분공간 이상치 탐지기법에 대한 요약 연구 (A survey on unsupervised subspace outlier detection methods for high dimensional data)

  • 안재형;권성훈
    • 응용통계연구
    • /
    • 제34권3호
    • /
    • pp.507-521
    • /
    • 2021
  • 고차원 자료에서 이상치를 탐지하기 위해서는 변수를 선별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상치 탐지에 적합한 정보가 종종 일부 변수에만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많은 수의 부적합한 변수가 자료에 포함될 경우 모든 관측치의 거리가 비슷해지는 집중효과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모든 관측치의 이상정도가 비슷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부분공간 이상치 탐지기법은 전체 변수 중 이상치 탐지에 적합한 변수들의 집합을 선별하여 관측치의 이상정도를 측정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극복한다. 본 논문은 대표적인 부분공간 이상치 탐지기법을 부분공간 선정 방식에 따라 세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에 속한 방법론을 부분공간 선정 기준과 이상 정도 측정 방식에 따라 요약한다. 더하여, 부분공간 이상치 탐지기법들을 적용할 수 있는 컴퓨팅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집중효과에 대한 간단한 가상 실험과 자료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데이터 표현 강조 기법을 활용한 부분 공간 군집화 (Deep Subspace clustering with attention mechanism)

  • 백상원;윤상민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721-723
    • /
    • 2020
  • 부분 공간 군집화는 고차원 데이터에서 의미 있는 특징들을 선별 및 추출하여 저차원의 부분 공간에서 군집화 하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 딥러닝 활용한 부분 공간 군집화 연구들은 AutoEncoder을 기반으로 의미있는 특징을 선별하는 것이 아닌 특징 맵의 크기를 증가시켜서 네트워크의 표현 능력에 중점을 둔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AutoEncdoer 네트워크에 Channel Attention 모델을 활용하여 Encoder와 Decoder에서 부분 공간 군집화를 위한 특징을 강조하는 네트워크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네트워크는 고차원의 이미지에서 부분 공간 군집화를 위해 강조된 특징 맵을 추출하고 이를 이용해서 보다 향상된 성능을 보여주었다.

  • PDF

DS/CDMA DMB 하향 링크에서의 신호 공간에 기초한 블라인드 채널 추정 (Blind Signal Subspace-Based Channel Identification for DS/CDMA DM Downlink)

  • 양완철;이병섭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848-855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긴 코드 DS/CDMA DMB 하향링크 시스템에서의 신호공간에 기초한 새로운 채널추정기법을 제안한다. 신호공간과 잡음공간과의 직교성을 이용하는 종래의 부분공간 방식과는 달리 신호공간만을 이용하여 채널응답을 추정할 수 있다. 신호공간만을 이용하므로 제안된 기법은 종래의 부분공간 방식에서의 연산복잡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따라서 실제 구현 가능한 적절한 사이즈의 공분산 행렬로 부분공간 분석을 통한 채널추정기법에 사용될 수 있다. 논문을 통하여 제안된 기법과 관련된 수식을 도출하고 시뮬레이션 및 수치결과를 통해 제안된 기법의 유효성을 보인다.

고분자 절연 재료에서 부분방전에 의한 열화가 공간전하 축적에 미치는 현상 (Effects of PD-induced Degradation on the accumulation of Space Charges in the Polymer Insulation)

  • 신두성;황보승;강지훈;한민구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7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1612-1614
    • /
    • 1997
  • 고분자 절연재료의 결함에 의하여 발생하는 부분방전은 고분자 재료의 화학적, 전기적 열화를 가져오며 때로는 전기 트리로 성장하여 재료의 절연파괴에 이르게 하기도 한다. 따라서 부분 방전 현상의 메카니즘 뿐만 아니라 측정법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있었으나 부분방전 열화가 고분자 재료에 미치는 열화과정에 대하여서는 명확한 메카니즘이 보고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부분방전에 의한 고분자 절연재료 내의 공간전하 축적 현상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고분자 재료로는 현재 전력용 케이블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가교 폴리에틸렌(XLPE)를 사용하였으며, 1kHz의 주파수로6kV, 8kV, 10kv 및 11kV로 수시간 부분방전을 발생시킨 후 펄스정전응력법(PEA)으로 공간전하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부분방전에 의하여 고분자 재료 내에 이종공간전하의 주입이 확인되었으며 따라서 부분방전에 의하여 고분자 재료가 열화되며 이러한 열화에 의한 전자의 방출율의 변화와 같은 고분자 표면의 상태 변화에 의하여 부분방전의 패턴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공간전하의 축적에 의하여 부분방전 현상에 미치는 영향은 추후 보고할 예정이다.

  • PDF

A NOTE ON CLOSENESS SPACES

  • SOHN, KYU-HYUN
    • 호남수학학술지
    • /
    • 제2권1호
    • /
    • pp.9-12
    • /
    • 1980
  • Kasahara는 임의(任意)의 집합(集合)에 Closeness Structure를 도입(導入)하여 Convergence Structure와의 관계(關係)를 밝혔는데 본(本) 논문(論文)에서는 Closeness 공간(空間) (X, ${\Gamma}$)의 부분집합(部分集合) Y가 X 상(上)의 Closeness Structure ${\Gamma}$에 대(對)한 상대(相對) Closeness Structure를 갖기 위(爲)한 조건(條件) 및 Closeness 부분공간(部分空間)과 Convergence 부분공간(部分空間)과의 관계(關係)를 고찰(考察)하였다.

  • PDF

조명영향 분리 얼굴 고유특성 텍스쳐 부분공간 기반 얼굴 이미지 조명 정규화 (Face Illumination Normalization based on Illumination-Separated Face Identity Texture Subspace)

  • 최종근;정선태;조성원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7권1호
    • /
    • pp.25-34
    • /
    • 2010
  • 다양한 조명 환경에서 강인한 얼굴 인식 성취는 어렵다. 조명에 강인한 얼굴 인식을 위해서 보통 전처리 단계로 얼굴 이미지 조명 정규화를 수행한다. 기존 조명 전처리 기법들은 투영 음영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조명 영향 분리 얼굴 고유특성 텍스쳐 부분공간에 기반한 새로운 얼굴 조명 정규화 기법을 제안한다. 조명분리 얼굴 고유특성 텍스쳐 부분 공간은 얼굴 텍스쳐 공간에서 조명 변화 영향이 분리된 부분공간으로 구축되기 때문에 얼굴 이미지를 이 부분공간으로 투영하여 얻은 얼굴 이미지는 조명 변화 영향이 최소화된 좋은 조명 정규화를 달성한다. 실험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얼굴 조명정규화 기법이 표면 음영뿐만 아니라 투영 음영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좋은 얼굴 조명 정규화를 달성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