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부 가구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1초

노년부부가구 남편과 부인의 부부관계 만족도 (Satisfaction on Marital Relationship of Husband and Wife in Old Age)

  • 김정석;최형주
    • 한국인구학
    • /
    • 제34권2호
    • /
    • pp.1-15
    • /
    • 2011
  • 노년기는 부부가 함께 지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다른 시기보다 부부관계의 중요성이 커진다. 따라서 생애주기상의 다른 단계에서와 마찬가지로, 노년기 부부관계에 대하여 많은 관심과 다차원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그런데 부부관계는 남편과 부인 두 사람간의 관계이기 때문에, 이들 개인이 가지고 있는 본인의 특성뿐만 아니라 배우자의 특성 또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이 연구는 개인과 배우자의 특성을 함께 고려하여, 남편과 부인이 서로에게 어느 정도 만족하는지 그리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인지를 비교하고 있다. 이를 위해 '2008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부부관계 만족도에 대한 순서형로짓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편의 만족도는 부인의 특성에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대체로 자신의 특성에만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한편, 부인의 부부관계 만족도는 본인의 특성뿐 아니라 남편의 특성에 따라서도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 같은 결과는 노년기 부부관계에서 부인들의 배우자에 대한 의존성을 의미하며, 여성들의 가족중심적 성향이 반영된 것으로 이해된다.

미국 노인전용 조합주택의 거주환경 평가 (Environmental Support of Independent Elderly Households in Senior Housing Cooperatives)

  • Lee, Hyunjeong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57-64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건설된 노인전용 조합주택으로 입주한 노인가구를 대상으로 거주자 측면에서의 주거환경 평가이며, 아울러 미국 조합주택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총 171가구가 본 조사에 참여하였다. 조사대상 가구주의 평균 연령은 76세였으며 교육 수준은 높았고, 가족형태는 부부나 독남가구가 대다수였다. 조사에 참여한 가구들은 저렴한 주택비용, 안전성, 주택유지 및 관리의 용이성, 주거 내의 접근용이성을 현 주거환경의 선택 동기로 손꼽았다. 현 주거환경의 평가를 물리적 환경, 사회적 환경, 그리고 거주자 참여방식의 관리에 대한 만족도로 크게 3가지로 나뒀으며, 물리적 환경 관련 요소가 주거환경 평가와 관련한 만족도에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장기적인 주택관련 비용의 저렴화와 노인의 독립성을 위한 지원성이 강화된 물리적인 환경의 구축이 무엇보다 주거환경 평가시 중요하므로, 향후 노인전용 대안주택 계획시 이점에 대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중노년기 거주형태에 따른 건강행동프로파일 유형화 (Living Arrangement and Health Behavior Profiles Among Midlife and Older Adults)

  • 김본;오승은;민주홍
    • 한국노년학
    • /
    • 제40권4호
    • /
    • pp.691-706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중노년기 한국 성인남녀의 건강행동프로파일을 살펴보고, 거주형태에 따라 건강행동프로파일이 유의하게 다른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고령화패널 6차(2016) 조사에 응답한 55세 이상 7,405명을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해 건강행동프로파일의 유형을 살펴보았으며, 거주형태 (독거, 부부가구, 그 외 가족동거가구)와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건강행동프로파일 유형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고수준 건강유해행동유형 (4%)" "중간수준 건강유해행동유형(28%)" "저수준 건강유해행동유형(65%)" "높은 신체활동유형(3%)"의 4가지 건강 행동프로파일로 유형화되었다. 거주형태와 건강행동유형간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홀로 사는 경우에 비해 부부가 함께 사는 경우 높은 신체활동유형에 비해 저수준 및 중간수준의 건강유해행동 유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가족원과 함께 사는 경우, 부부만 사는 경우에 비해, 높은 신체활동 유형에 비해 고수준 건강유해행동유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건강 증진 프로그램이나 지원 서비스 등을 개발하는데 있어 프로그램 참여자의 거주형태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다양한 사회인구학적 특성이나 수요에 따른 정책적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고령소비자의 맞춤형 식품개발을 위한 조리과학적 접근

  • 구성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8-47
    • /
    • 2003
  • 노인 인구의 비율이 높아지면서 양적인 수명연장 뿐만 아니라 노후생활의 질적향상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삶의 질을 결정하는 데는 건강이 매우 중요하며, 특히 식생활은 노인건강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인자로 작용하고 있다. 노인의 건강 생활에는 적절한 영양섭취가 필수적이며 이에는 여러 가지 환경요인이 작용하고 있다. 핵가족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노인 부부가구 및 독신가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중략)

  • PDF

섹스의 양념 ,성적 환상

  • 정정만
    • 과학과기술
    • /
    • 제31권3호통권346호
    • /
    • pp.88-89
    • /
    • 1998
  • 환상이란 현실생활의 단조로움이나 좌절을 극복하고 실생활의 한계를 뛰어넘어 인간이 꿈구는 무한대의 미지세계로 안내해주는 역할을 한다. 우리가 성적 환상을 통해 고품질의 성적교류를 나누고 이것을 통해 부부간의 인연을 굳게 다질 수만 있다면 오히려 1가구 1주택의 계율을 강요하는 하느님의 의도에 합치되는 일 아닌가?

  • PDF

기초연금의 노인가구 유형별 빈곤감소 효과 분석 (Poverty Reduction in Elderly Household Types: The Impact of Basic Pension)

  • 김안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267-274
    • /
    • 2021
  • 본 연구는 기초연금제도의 도입과 확대가 노인가구의 빈곤감소와 소득분배개선에 얼마나 영향을 주었는가를 노인가구유형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기초연금 도입 이전인 2013년과 도입 이후인 2016년 및 2019년도의 가계 동향조사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가구주 가구의 소득은 비교년도 동안 증가세를 보였으며 공적이전소득 또한 증가하였다. 둘째, 노인가구유형별 빈곤율 비교에서는 노인단독가구의 높은 빈곤율을 볼 수 있다. 정부의 빈곤완화 정책 효과분석은 모든 노인가구에서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노인부부가구의 경우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셋째, 소득분배개선은 모든 노인가구유형에서 개선 추이를 보였으며 특히 노인 단독가구의 경우 개선의 폭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넷째, 기초연금도입의 효과를 분석한 이중차이 다중로짓분석은 기초연금의 도입이 중위소득의 40%를 기준으로 하는 빈곤 위험을 감소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래농촌주택의 계승 및 개선의 측면에서 본 농촌 고령 1인${\cdot}$부부가구 주거에 관한 연구 - 안동 시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Housing for the Aged Living Alone and Living with Spouse Only in Rural Areas with Reference to the Succession and Improvement of the Traditional Rural Housing - Cases of the Rural Housing in Andong City)

  • 배정인;편야전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73-82
    • /
    • 2005
  • This study attempts to find out more efficient way of improving the housing conditions, by reviewing the existing improvement programs for the traditional rural housing and by aiming at finding advantages to inherit and correcting the inconvenience of the traditional forms of housing, through a survey on the housing conditions of the aged living alone and living with spouse only in the traditional rural housing. Research result shows that the openness and buffering zone of the traditional rural housing are relevant housing elements which provide the aged appropriate living space and therefore should be actively inherited and that the existing improvement programs have been largely inappropriate. But as the aged can hardly practice the appropriate way of improvement on their own, government policy consideration is urgently needed as part of the welfare policy for the aged.

가구소득에 따른 부부관계와 자녀가치 및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영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 비교 연구 (Maternal Parenting Stress of Infants from Different Income Groups : The Relative Importance of Father Involvement, the Marital Relationship, and Meanings of Parenthood)

  • 옥경희;천희영
    • 아동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05-221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father involvement, marital happiness and conflicts, and meanings of parenthood on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compar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ose variables in three (low, middle, and upper) income group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54 nuclear families which consisted of 3 family members, couple and their infant children aged between 4 months and 10 months. Data was taken from the 2008 Panel Data of Korean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maternal parenting stress, father involvement,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confli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income levels. Second,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wa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in predicting father involvement, and mother's marital conflict was the most significant one in predicting maternal parenting stress. Third, the significance and numbers of variables which were impacted upon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father involvement varied according to income groups. Fourth, in all three income groups, the effects of father involvement on maternal parenting stress was not significant when marital relationship and meanings of parenthood underwent in regression analysis. However, father involvement was impacted upon maternal parenting stress by itself.

부부단독가구 노인의 부부간 의사소통${\cdot}$의사결정 참여가 가정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mmunication and Decision-Making Participation on Family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in Couple Households)

  • 박은아;이정우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3호
    • /
    • pp.197-21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marital communication decision making participation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in couple househol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26 to July 21, 2003. Total 394(male: 186, female: 208) sampl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Using SPSS/PC WIN program,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ies, percentages, mean, standard deviation, Cronbach'a, Pearson's correlation,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findings showed that there were high level of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elderly males and females. In the decision making participation the finding showed that both elderly males and females generally made joint decisions with no gender differences. The elderly males and females reported overall family life satisfaction; and the elderly males were more likely satisfied with their family lives than the elderly females. 2) The path analysis on family life satisfaction presented that several variables had direct/indirect effects on family life satisfaction through communication and decision making participation. Among the moderate variables, communication agreement and communication openness had significant effects on family life satisfaction. Specifically, the elderly men were more likely satisfied when they participated in decision making on leisure: the elderly women were more likely satisfied when they participated in decision making on family life.

조손가구 이전소득의 빈곤감소 효과: 조손가구, 독거노인가구, 노인부부가구, 자녀동거가구 비교 (The Effects of the transfer Income on Poverty Decrease of Grandparents-grandchildren Households: Comparing Grandparents-grandchildren with Living Alone, Couple, and Living with Adulthood Children)

  • 민기채
    • 한국노년학
    • /
    • 제31권2호
    • /
    • pp.321-34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른 노인가구 유형과의 비교를 통해 그간 노인빈곤 이슈로부터 배제되어 있던 '조손가구'의 소득구성원, 빈곤율, 빈곤동태, 빈곤가구주 특성 및 공·사적 이전소득의 빈곤감소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1차(2005년)와 제2차(2007) 『국민노후보장패널 학술대회용 자료(KReIS)』를 이용하여, LIS의 소득 정의 재구성에 따라 각각의 소득구성원이 추가되었을 때의 빈곤감소효과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2006년을 기준으로 조손가구는 다른 가구유형에 비해 총소득이 가장 적었고, 소득수준은 자녀동거가구의 약 1/4 수준이었다. 또한 다른 가구유형의 근로소득이 시계열적으로 모두 증가하고 있지만, 조손가구는 유일하게 감소하고 있었다. 그리고 중위소득의 1/2을 적용하여 빈곤율을 측정한 결과, 조손가구는 약 10가구 중 3가구가 빈곤상태에 있었고, 가장 빈곤한 가구유형이었다. 사적이전소득과 공적이전소득의 총 빈곤감소 효과를 본 결과, 이전소득이 추가된 후 10가구 중 약 4가구가 빈곤에서 탈출하는 효과를 보였다. 또한 조손가구는 독거노인가구에 비해 공적이전소득의 효과가 상대적으로 큰 반면, 독거노인가구는 조손가구에 비해 사적이전소득의 빈곤감소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공적이전소득의 빈곤감소효과가 2004년에 비해 2006년의 경우 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공적이전소득보장에 대한 기능을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그간 노인빈곤가구로 독거노인가구가 대표되어 왔으나, 조손가구도 독거노인가구만큼 빈곤한 상황이라는 것은 노인빈곤 이슈에서 조손가구가 배제되지 않아야 하며, 독거노인가구처럼 조손가구를 위한 맞춤형 소득보장 정책이 절실히 요청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