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부만족도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26초

남녀노인의 성역할 태도 유형이 부부관계 만족도와 부부갈등 수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ender role attitude patterns on marital satisfaction and marital conflict among older adults)

  • 박하영;전혜정;주수산나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5-51
    • /
    • 2018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atterns of gender role attitude among older men and women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identified patterns on marital quality for each gender. Method: The Third National Survey of Korean Families was utilized and 981 men and 752 women aged 60 and above, who have been married for over 20 years and have at least one child, were analyzed. Using Mplus 7.3, a latent profile analysis (LPA) identified latent profiles of gender role attitude for each gender. Then, using SPSS 23.0,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alyzed the effects of the identified patterns on both marital satisfaction and marital conflict. Results: The latent profile analysis identified two patterns of traditional and partially egalitarian gender role attitudes each for the older men and women. Also, means on items relevant to the male breadwinner model and the male-oriented family culture were relatively low for both men and women regardless of the patterns. For the older men, the effects of the gender role attitude patterns on marital satisfaction and marital conflict were both significant; those individuals with the partially egalitarian gender role attitude pattern reported higher levels of marital satisfaction and lower levels of marital conflict than those individuals with the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 pattern. However, the effects of the gender role attitude patterns on marital satisfaction and marital conflict were both not significant for the older women. Conclusion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political interventions are required to promote an egalitarian family culture for older adults. Moreover, its findings may be useful in the field of marriage and family therapy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hat seek to improve marital quality in later life.

여성장애인의 결혼안정성 영향 요인 연구 (Factors Contributing to Marital Stability of Disabled Women)

  • 양정빈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08-216
    • /
    • 2020
  •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의 결혼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 관련 요인, 경제 관련 요인, 건강 관련 요인, 그리고 부부 관련 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았다. 연구 대상은 조사시점 결혼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여성장애인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총 124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살펴본 결과, 연령이 높을수록, 기초생활수급자가 아닐수록, 자가에 거주할수록, 그리고 건강하고 우울감이 덜한 여성장애인일수록 결혼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부관련 요인에서 부부친밀감과 결혼만족도가 높고, 부부 갈등과 배우자 음주가 적을수록 결혼안정성이 긍정적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여성장애인의 결혼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과 정책적 개입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피부미용사의 스트레스와 근무환경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Stress and Woking Environment on Occupation Satisfaction of Skin Care Experts)

  • 최외숙;민경진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집 2부
    • /
    • pp.663-666
    • /
    • 2011
  • 본 연구는 피부미용사들을 대상으로 근무환경에 대한 만족도와 스트레스가 직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근무환경 만족도, 스트레스, 직업 만족도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여 피부미용사들의 직업적 긍지를 높이고 그들의 삶의 질 증진에 기여하고자 시도 되었다. 전국의 여성 피부미용사 35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후 분석한 결과, 조사 대상자의 근무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40세 이상, 유배우자, 부부와 자녀가 같이 사는 경우, 대졸이상의 학력자, 고소득자, 질병이 없고 건강할수록 높았고, 직업특성별 근무환경 만족도는 복합 상가, 1~2명의 직원수, 10년 이상 근무기간, 경영자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스트레스는 30~39세, 무배우자, 혼자 사는 경우, 고졸이하 학력, 저소득자, 질병이 있고 건강하지 않는 경우가 가장 높았다. 또한 5명 이상의 직원수, 근무기간이 짧은 경우, 경영자직책이 가장 높았다. 직업만족도는 40세 이상 연령이 가장 높았고 배우자 유무와 동거형태에 따라서는 유배우자와 부부와 자녀가 같이 사는 경우, 학력에서는 대졸 이상, 월 소득은 소득이 많은 경우, 거주지역에서는 대도시, 건강상태와 질병 유무에 따라서는 질병이 없고 건강한 경우 직업만족도가 높았다. 직장위치는 복합상가가 가장 높고 근무기간과 직책에 따라서는 근무기간이 길고 경영자, 직원 수는 1~2명, 피부미용업 선택이유와 장래 근무계획에서는 적성에 맞아서와 계속근무가 직업만족도가 높았다. 근무환경, 스트레스, 직업만족도에 관하여 공분산 구조분석을 한 결과 근무환경이 좋을수록 스트레스가 적었고(p<0.001), 근무환경이 좋을수록, 스트레스가 적을수록 직업만족도가 높았다(p<0.001).

  • PDF

부부역할과 여성의 결혼만족도 : 연령범주별 분석 (Conjugal Role Sharing on Women's Marital Satisfaction)

  • 이여봉
    • 한국인구학
    • /
    • 제33권1호
    • /
    • pp.103-131
    • /
    • 2010
  • 본 연구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 의해 수집된 2008년도 여성가족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여성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분석하였다. 유배우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임금노동분담과 가사노동분담 및 여가공유활동 등의 다차원적 부부역할에 주목하고, 여성의 성역할 태도 및 성장기 부모 간 친밀도와 여타 인구학적 변인을 고려하였다. 연령에 따른 생애발달단계의 특성과 출생집단별 경험의 차이를 고려하고자 각 연령대별로 표본을 나누어 분석하였는데, 이는 변수간의 연관성이 연령대에 따라 상이하게 혹은 유사하게 나타나는지를 관찰하고자 함이다. 관계만족도와 결혼행복도로 측정된 두 변수로써 결혼만족도를 개념화하고 관련변수들을 분석한 결과, 성장기 부모의 친밀도가 자녀의 결혼만족도와 정적인 연관성을 보이면서 세대 간 전이 가능성을 예시하였다. 임금노동차원에서 결혼행복도와의 관련성에서는 30-50대에서 남편홑벌이 가정의 아내가 가장 행복한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이 맞벌이 여성이지만, 관계만족도와의 연관성에서는 40대에서 맞벌이 여성이 남편과의 관계에 가장 만족하고 다음이 남편홑벌이 가정의 아내로 나타나면서 50대 여성과 차별화된다. 가사분담 차원에서는 30-50대 여성들에서 자신의 부담이 줄어들수록, 결혼행복도 및 관계만족도가 높다. 그런데 가사분담의 평등성 자체의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은, 30대 연령층의 경우 관계만족도와의 연관성에 관해서뿐이다. 부부가 함께 공유하는 여가활동이 많을수록 결혼행복도 및 관계만족도가 높아서, 여가활동을 함께 해야 할 필요성이 강력히 제시된다. 나이든 연령대일수록 건강 및 가족경제상황을 좋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고 여가공유활동의 빈도가 낮으며 결혼만족도가 낮다. 이는 연령이나 결혼기간의 경과에도 불구하고 만족스러운 결혼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 건강과 경제상황 및 여가공유활동 등의 여타 여건들을 유지하고 개선하기 위한 행동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개인적 노력과 더불어 친가족적 기업문화와 사회정책 등을 통한 지원이 함께 할 때, 가족과 사회 간의 선순환으로 이어질 것이다.

부부관계증진 집단 프로그램이 부부의 결혼만족도, 긍정적 감정, 갈등조정방식, 의사소통 악화요인에 미치는 효과 (A Marital-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for Couples: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공성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991-1003
    • /
    • 2005
  • Purpose: This paper repor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Marital-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MREP) for marital couples. Methods: Volunteer couples from several well-being centers in Seoul were randomly assigned either to a treatment group (n=36), participating in a MREP based on Gottman's 'sound marital house' theory, or to a control group (n=35) receiving no treatment. The content of the MREP was provided to the control group after the research was completed. Data was collected from December 2003 to May 2004 using modified versions of the inventories developed by Gottman on marital satisfaction, positive affect, conflict regulation, and communication barriers. Results: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marital satisfaction, positive affects, conflict regulation, and communication-barrier scor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present program for marital-relationship enhancement is helpful in enhancing marital relationships and regulating conflict between marital couples and, ultimately, may be useful to prevent divorce.

임부 부부의 성태도와 부부친밀도가 성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Impact of Sexual Attitude and Marital Intimacy on Sexual Satisfaction in Pregnant Couples: An Application of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 김희은;여정희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01-209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sexual attitude and marital intimacy on sexual satisfaction in pregnant coupl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76 pairs of the pregnant couples visiting for prenatal care at hospitals from June 18 to September 24, 2016.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using SPSS 18.0 and interdependent effect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nalysis) through AMOS 18.0. Results: The sexual attitude and marital intimacy of the pregnant woman did not have a partner effect on the sexual satisfaction of her husband, respectively (${\beta}=.12$, p=.141), (${\beta}=.01$, p=.938). The sexual attitude of the husband had a partner effect on the sexual satisfaction of the pregnant woman (${\beta}=.13$, p=.021), but the marital intimacy of the husband did not show a partner effect (${\beta}=.07$, p=.202). Conclusion: Study suggests that the sexual attitude and marital intimacy of pregnant couples should be considered as factors when developing an intervention to improve sexual satisfaction in couples. Moreover, pregnant couples should participate in intervention together because the sexual satisfaction has conceptual view of interdependence in two-person relationships.

주말부부의 결혼만족도와 가족건강성 - 주말부부 남편과 아내의 비교 - (A Study on Marital Satisfaction ana Family Strengths in Commuting Couples - Comparison of Husband and Wife in Commuting Couples -)

  • 최정혜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1-26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arital satisfaction and family strengths among 134 commuting couples (268 individuals) living in Korea, who have been commuting for at least six months. The major finding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degree of marital satisfaction of the husband and wife in commuting couples was 5.12 and 4.96, respectively, on a scale of 0-7.0. The important factors of marital satisfaction in the husband were the number of children, self-esteem and the degree of coping strategy, whereas for the wife they were the educational degree, kind of job, self-esteem and degree of coping strategy. 2) The degree of family strengths of husband and wife in commuting couples was 3.75 and 3.77, respectively, on a scale 0-5.0. The significant factors of the family strengths in the husband were relied on the person who moved, meeting cycle of conjugal, conjugal periods, self-esteem and the degree of coping strategy, whereas for the wife they were the educational degree, religion, kind of job, commuting periods, the person who moved, meeting cycle of conjugal, self-esteem and the degree of coping strategy. 3) There was a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 marital satisfaction and family strengths in the husband and wife of commuting couples.

부부싸움에서 사용하는 의사소통 행동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부부를 분석단위로 하여 - (The Influence of Married Couples' Argument-Communication Behaviors on Marital Satisfaction - Analyses at the Dyadic Level -)

  • 권윤아;김득성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10호
    • /
    • pp.83-96
    • /
    • 2008
  • Using a sample of 107 married coupl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self-reported argument-communication behaviors on marital satisfa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 Wives used more criticism, contempt, and self-assertion during marital arguments than husbands. There were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defensiveness, stonewalling, and active listening. (b) Multilevel analyses indicated that marital satisfaction was predicted by the person's own level of self-assertion and stonewalling(i.e., actor effects) and by his or her spouse's level of stonewalling(i.e., partner effect). No other significant actor and partner effects were found. Also, there were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the sizes of effects. (c) A cluster analysis of both spouses' communication behaviors during marital arguments identified four distinct groups of married couples. : mutual constructive, husband constructive-wife destructive, husband destructive-wife constructive, and mutual destructive. Mutual constructive couples reported the best marital satisfaction.

노년기 부부의 갈등과 생활만족도 (Marital Conflict and Life Satisfaction in Aged Couples)

  • 김경신;이선미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39-153
    • /
    • 2003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the general trends of aged couples' marital conflict, life satisfaction, and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husbands' marital conflict, life satisfaction and those of wives, and to investigate effective variables influencing on their life satisfaction. The subjects were the 218 couples over 60 years old living in Gwangju. Trained researchers interviewed the subjects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with mean, sd, Cronbach' α, paired-t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using SAS program.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marital conflict scores of husbands and wives were lower than median and wives' marital conflict scores were higher than those of husbands. The average scores of life satisfaction were higher than median and Husbands achieved higher scores in life satisfaction than wives. 2. Husbands' marital conflict and life satisfaction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ose of wives. 3. Husbands' life satisfaction was influenced by health, self-esteem, filial support, acquaintances' support, marital conflict. Wives' life satisfaction was influenced by income, health, marital intimacy, filial support, acquaintances' support, marital conflict. Spouses marital conflict was significantly effective variable to wives' life satisfaction, but no significant to husbands'.

국제결혼 부부의 연령 및 교육수준 격차와 결혼안정성: 국제결혼개방성 가설의 검증 (Spousal Dissimilarity in Age and Education and Marital Stability among Transnational Couples in Korea: A Test of the Transnational Openness Hypothesis)

  • 김두섭
    • 한국인구학
    • /
    • 제35권1호
    • /
    • pp.1-30
    • /
    • 2012
  •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한국에 거주하는 국제결혼 부부의 사회인구학적 상이성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2009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국제결혼이 연령과 교육수준이 동질적인 선택혼(positive assortative matching)의 형태로 이루어지는가의 여부를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그리고 외국인 아내의 출신국가별로 부부의 연령상이성과 교육상이성 지수를 계산하고, 이 지수들과 평균 결혼지속기간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또한 미시수준에서 부부의 연령 및 교육수준 격차가 결혼만족도, 결혼지속기간과 이혼확률의 편차를 설명하는데 얼마나 도움이 되는가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 국제결혼 부부의 연령과 교육수준 격차가 내국인 부부들의 경우보다 현저하게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외국인 아내를 구하는 한국 남자들이 배우자와의 사회인구학적 격차에 대해 보다 개방적이고 융통적일 것이라고 가정한 국제결혼개방성 가설(the transnational openness hypothesis)이 지지되었다. 부부의 사회인구학적 격차가 커질수록 결혼의 해체가능성이 높아지고 결혼지속기간이 짧아질 것이라는 기존 연구의 가설은 한국에 거주하는 국제결혼 부부들에는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