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모훈련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초

App-기반 청자 반응 대화훈련 프로그램이 고기능 자폐스펙트럼 아동의 대화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a Novel App-based Listener Responsiveness Conversation Training Program on Enhancing Conversational Skills in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

  • 조희정;김소연
    • 감성과학
    • /
    • 제26권3호
    • /
    • pp.115-128
    • /
    • 2023
  • 본 연구는 고기능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App-기반 청자 대화기술 훈련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6명의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스퍼거 증후군, 전반적 발달장애로 진단된 초등학생으로, 연령과 IQ, SCQ, ASSQ 점수를 사용하여 중재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짝지어 분배하였다. 중재 집단은 9주 동안 교사와의 비대면 학습을 주 1회 실시하고, 가정에서도 부모 또는 아동이 앱(App)을 활용하여 대화훈련을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은 다른 특별한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았다. 그리고 훈련 전과 후에 평가자와 아동 간의 1:1 대화를 수행하여 대화 자료를 수집하고, 대화차례 주고받기와 주제 운용능력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중재 집단에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청자 반응 대화훈련 프로그램의 긍정적 효과가 발견되었다. 구체적으로, 중재 집단은 청자 조건에서 적절한 청자 언어 반응이 유지되었고, 통제 집단은 적절한 청자 언어 반응이 감소하였다. 그리고 화자 조건의 대화 차례 주고받기에서는 개시율과 유지율이 증가하고, 주제 운용능력에서는 적절한 주제 개시율이 증가하고, 부적절한 주제 개시율은 감소하였다. 논의에서는 청자 반응 대화훈련 프로그램이 고기능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의 대화 양상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중점적으로 논의하였다.

아시아 농촌 청소년 교육과 훈련의 연결망 (Networks of Rural Youth Education and Training in Asia)

  • 김성수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9권1호
    • /
    • pp.131-145
    • /
    • 2002
  • 국제연합에서는 $15{\sim}24$세의 젊은이를 청소년이라고 정의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농촌청소년은 미래 농촌발전의 핵심주체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촌청소년은 그들 부모세대보다 더 높은 교육수준과 도전의식 그리고 더 높은 창의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그들은 미래가 자신의 장래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전망, 미래의 비전에 관심이 크다. 청소년에 대한 교육은 민주사회의 미래에서 한 사회가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투자 중의 하나라고 인식되며 현재 진행되고 있는 고도의 경쟁적인 시장경제로의 진입에서 청소년의 사회경제적 비전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육과 훈련의 질적 양적 향상이 최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세계무역기구 출범 이후 농산물 수출국가와 선진국에서의 소득균형은 일반적으로 향상되었으나 순식량 수입국가나 개발도상국가에서는 소득균형이 더 악화되고 농업영역의 쇠퇴를 초래하고 있는 부작용이 국제연합 식량농업기구 등의 분석이다. 더욱이 식량안전상황은 농산물의 급격한 수입으로 여전히 불안하고 농가 판매의 지속적인 악화, 농촌과 도시간의 소득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간의 건강과 환경에 유해한 유전자조작 농산물 (GMO)의 교역은 소비자의 식품안전과 잠재적 위해 때문에 합당한 조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농업교육, 연구 그리고 지도, 특히 아시아의 주요작물 영역에 대한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하며 많은 아시아국가들에서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농촌 청소년교육은 빈곤퇴치, 식량의 안정적 공급 및 식품의 안전 그리고 지속적이고 균형있는 농촌개발 등이다. 이를 위한 정부와 국민, 특히 농촌 청소년들의 연결망을 통해 함께 협력해야 빈곤퇴치와 식량의 안정적 공급 및 식품의 안전 등 농촌의 사회경제적 발전이 가능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아시아지역 농촌사회 및 식량농업의 발전을 위한 청소년 연결망을 예시적으로 검토하고 미래사회에서의 협력을 위한 접근을 탐색하였다.국제연합에서는 $15{\sim}24$세의 젊은이를 청소년이라고 정의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농촌청소년은 미래 농촌발전의 핵심주체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촌청소년은 그들 부모세대보다 더 높은 교육수준과 도전의식 그리고 더 높은 창의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그들은 미래가 자신의 장래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전망, 미래의 비전에 관심이 크다. 청소년에 대한 교육은 민주사회의 미래에서 한 사회가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투자 중의 하나라고 인식되며 현재 진행되고 있는 고도의 경쟁적인 시장경제로의 진입에서 청소년의 사회경제적 비전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육과 훈련의 질적 양적 향상이 최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세계무역기구 출범 이후 농산물 수출국가와 선진국에서의 소득균형은 일반적으로 향상되었으나 순식량 수입국가나 개발도상국가에서는 소득균형이 더 악화되고 농업영역의 쇠퇴를 초래하고 있는 부작용이 국제연합 식량농업기구 등의 분석이다. 더욱이 식량안전상황은 농산물의 급격한 수입으로 여전히 불안하고 농가 판매의 지속적인 악화, 농촌과 도시간의 소득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간의 건강과 환경에 유해한 유전자조작 농산물 (GMO)의 교역은 소비자의 식품안전과 잠재적 위해 때문에 합당한 조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농업교육, 연구 그리고 지도, 특히 아시아의 주요작물 영역에 대한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하며 많은 아시아국가들에서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농촌 청소년교육은 빈곤퇴치, 식량의 안정적 공급 및 식품의 안전 그리고 지속적이고 균형있는 농촌개발 등이다. 이를 위한 정부와 국민, 특히 농촌 청소년들의 연결망을 통해 함께 협력해야 빈곤퇴치와 식량의 안정적 공급 및 식품의 안전 등 농촌의 사회경제적 발전이 가능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아시아지역 농촌사회 및 식량농업의 발전을 위한 청소년 연결망을 예시적으로 검토하고 미래사회에서의 협력을 위한 접근을 탐색하였다.

  • PDF

장애아동의 학교준비도 프로그램(School Readiness Program)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School Readiness Program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 김은지;곽보경;박혜연
    • 재활치료과학
    • /
    • 제12권3호
    • /
    • pp.7-18
    • /
    • 2023
  • 목적 : 본 연구는 장애아동의 학교준비도 프로그램을 다룬 문헌을 분석함으로써 연구의 대상자, 프로그램의 제공자, 기간, 요소 및 결과 등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PubMed, Embase, Web of Science,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를 사용하여 문헌을 수집하였다. 주요 검색어는 "School readiness" AND ("Occupational Therapy" OR "Rehabilitation"), "학교준비도" AND ("작업치료" OR "재활")을 사용하였다. 선정기준과 배제기준을 통하여 최종 8편의 연구가 선정되었다. 결과 : 학교준비도 프로그램 유형에는 복합적 기능 훈련, 운동 기술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프로그램들이 있었고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유형은 복합적 기능 훈련이었다. 프로그램의 제공자는 작업치료사, 심리학자, 물리치료사, 언어치료사, 사회복지사, 교육자가 있었고 심리학자가 가장 많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는 학업 기능, 운동 기능, 사회적 기능, 부모교육, 기타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학업 기능과 사회적 기능이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결과 다기능적 기술, 문해력, 양육 기술, 대동작·소동작 기능의 향상을 나타냈다. 결론 : 본 연구는 장애아동의 학교준비도 프로그램 유형, 제공자, 중재 요소, 결과 등을 분석하여 학교 기반 작업치료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최근 학교준비도 프로그램에 관한 관심과 연구는 증가하고 있으며 작업치료사들도 학교 관련 재활 분야에서 역할을 정립하여 다양한 학교 기반 작업치료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목표달성이론에 근거한 적극적 부모역할훈련이 학령기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 부모역할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ctive Parenting Today based on Goal Attainment Theory on Parenting Stress, Parenting Behavior, and Parenting Satisfaction in Mothers of School-Age Children)

  • 박경임;오상은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659-670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effects of the Active Parenting Today (APT) program based on King's Goal Attainment Theory on parenting stress, parenting behavior, and parenting satisfaction in mothers of school-age children. Methods: This was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Participants were 39 mothers of school-age children (19 in the experiment group and 20 in the control group) who were registered at two community children centers in G city.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APT program (2 hours/session/week) and telephone counseling (2 times/week) for 8 weeks. Data were analyzed using ${\chi}^2$-test, t-test, Fisher exact probability test, and ANCOVA with the SPSS/Win15.0 program. Results: Parenting stres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Positive parenting behavior and parenting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However, negative parenting behavior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APT program based on King's Goal Attainment Theory is useful in reducing parenting stress, creating positive parenting behavior change, and promoting parenting satisfaction in mothers of school-age children.

지적장애 부모를 둔 비장애 청소년의 삶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Qualitative Case Study on Life of non-disabled Adolescent of Par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강승원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8권3호
    • /
    • pp.73-103
    • /
    • 2016
  • 본 연구는 지적장애 부모를 둔 비장애 청소년들의 삶의 모습과 그들의 삶 속에서 드러난 어려움은 무엇인지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이에 대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4년 1월부터 5월까지 청소년 5명을 중심으로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하였으며, 연구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매 단계마다 엄격성을 확보하였다. 분석결과는 크게 '비장애 청소년의 성장이야기', '비장애 청소년의 세상살이 이야기'로 분석하였으며, '공부를 하라는 가족이 전혀 없음', '학업 성취감을 알아가며 앞으로 나아감', '나만의 공간으로 숨어버림', '일찍 어른이 되어버림', '다른 부모, 같은 사랑', '가족의 가족이 나를 키움', '나를 그대로 받아들여주는 친구가 있음', '가난한 생활에 짓눌려 살아옴', '힘듦과 힘냄의 양날에 서있음'으로 범주화 하였다. 분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지평을 넓히고, 가족의 장애이해, 부모역할훈련프로그램과 사례관리 등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실태조사와 경제적 지원을 위한 수당제도 등 정책적 방안을 함께 제시하였다.

  • PDF

발달적 독서치료를 활용한 부모 대상의 유아 성학대 자기보호 교육자 훈련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The Effects of a Parental Developmental Bibliotherapy Program for Their Young Children's Sexual Abuse Self-Protection)

  • 천희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9호
    • /
    • pp.37-53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a children sexual abuse (CSA) parental training program with applied developmental bibliotherapy on parents. Subjects were 54 mothers, 24 of whom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hich included 8 sessions for 4 weeks. Four dependent variables were subjected to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mothers’ knowledge, myths and stereotypes related to CSA, and their children’s levels of prevention concepts comprehension and self-protection skills of CS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gram increased mothers’ knowledge of CSA and decreaesd their beliefs on myths and stereotypes, and also increased their comprehension level of CSA prevention concepts and their level of children self-protection skills. These positive effects of the program show that the program can be incorporated into early childhood education practices. We are also pursuing the development of other research programs on this subject.

가정과 수업에의 적용 가능성 탐색을 위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Training Program for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pplied to Home Economics Classes, and the Possibility to Implement the Program)

  • 박인순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09-120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troduce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for positive parent-adolescent relation into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The research applied the program named "Making the desirable world 2" which was revised by K.E.T.I(Korea Effectiveness Training Institute). This program was given two hours a week during 8 week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24 students,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This research supposed that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self-esteem in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significantly increase by group training progra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the group training program. Second, self-esteem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the group training program.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as a practical subject matter, promoting qualitative maturity of students' family life, this study aimed both at enhancing communication for positive relation of parent-adolescent by group training and implementing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practically.

  • PDF

지적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에 관한 포토보이스 연구 (A Photovoice Study of Social Relationships among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김민아;허일권;정상미;서정아
    • 사회복지연구
    • /
    • 제48권2호
    • /
    • pp.5-33
    • /
    • 2017
  • 본 연구는 포토보이스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지적장애 청소년이 사회적 관계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바람을 탐색하였다. 일반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청소년 6명(평균연령=18.33세)은 7회기로 구성된 포토보이스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이들은 집단토의를 통해 사람들과의 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주제를 선정하였고, 선정된 주제와 관련한 사진을 직접 촬영하여 참여자들과 공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 청소년들의 5가지 사회적 관계(친구, 학교 선생님, 이성친구, 부모님, 필요한 사람)와 관련하여 총 15가지 하위주제-(1)친구들과의 관계(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해 외롭고 고독함, 친구들로부터 놀림과 괴롭힘을 당함, 친구들과의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노력함), (2)학교 선생님과의 관계(나의 마음을 이해해 주는 선생님께 감사함, 선생님과 교류가 많지 않아 속상함, 선생님이 나의 학교생활에 관심을 가져주기를 바람), (3)이성친구와의 관계(이성친구와 교제하고 싶음, 이성친구를 사귀는 것이 두렵고 걱정됨, 이성친구를 사귀기 위해 노력함), (4)부모님과의 관계(부모님의 한결같은 사랑에 감사함, 부모님과 함께 하는 시간이 즐거움, 아버지와 관계가 소원하여 아쉬움), (5)나에게 필요한 사람(나와 함께 해 주는 사람, 나의 어려움을 도와주는 사람, 나를 포기하지 않는 사람)-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를 증진시키기 위해 또래관계 향상 프로그램 및 또래갈등 대처방식 훈련, 이성관계 교육, 사회적 기술 강화, 비장애 청소년 및 교사,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하는 장애학생의 사회적 욕구에 대한 교육 등 사회복지실천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영아의 건강증진을 위한 부모역할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생후 6개월의 결과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Parent Role Education Program I -Focusing on the six-months results-)

  • 한경자;권미경;방경숙;김정수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7권1호
    • /
    • pp.96-107
    • /
    • 2001
  • Recent research indicates that the new mothers want to learn about childrearing, and have burden in care of infants. Also it indicates that the new mothers say the lack of confidence and knowledge about infant care. This study was a prospective longitudinal reseach developing parent role education program and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for mother-infant interaction, childrearing environment and infant development. Longitudinal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The subjects were the healthy infants weighing over 2,500gm at birth, whose gestational age was more than 37weeks, and their mothers. The sample consisted of 19 mother-infant dyads for intervention group and 18 dyads for control group.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5th to December 14th in 1999. For the intervention group received programmed education that was consisted of discharge education, telephone counselling, and home visiting for maternal educa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 and t-test to test the equivalence of two groups, and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program.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results of six months time poi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score of mother-infant interaction(NCAST) between two groups. Intervention group showed higher scores in the subscales of sensitivity to cues, cognitive growth fostering, and caregiver total.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score of child rearing environment (HOME) between two groups of six-month-infants. But when each subscale of HOME was examined, intervention group showed higher scores in the dimensions of opportunities for variety in daily stimulation, maternal involvement with child, and emotional, verbal response. 3. Six-month-infants of the intervention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GQ in the Griffiths mental development scale. In conclusion, the maternal educ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promoting the mother-infant interaction, organizing the childrearing environment, and fostering the infant development. These results were very meaningful that we found parent role education necessary for normal infants' mothers, and nurses can make a great contribution in promoting health of infants and mothers.

  • PDF

뇌성마비아동을 위한 작업치료에 대한 체계적 고찰 (Systematic Review on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홍은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318-330
    • /
    • 2013
  • 본 연구는 체계적 고찰을 통하여 뇌성마비 아동에게 적용한 작업치료의 세부적인 치료 방법과 치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논문은 2003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출판된 논문이었고, 전자데이터 베이스인 PubMed를 이용하여 검색하였으며, 사용한 검색어는 'occupational therapy' OR 'exercise therapy' 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OR 'splints' OR 'self-help devices' OR 'early intervention(education)' OR 'parents/education' OR 'parents/psychology' OR 'professional family relations' OR 'play and playthings' OR 'upper extremity' AND 'cerebral palsy'이었다. 분석대상논문은 총 18개이었다. 뇌성마비 아동에게 적용한 작업치료 방법은 보조기 26.2%, 부모교육 26.2%, 환경조정 9.6%, 감각운동기능 훈련 19.0%, 일상생활활동 19.0%로 나타났다. 뇌성마비 아동에게 적용한 작업치료의 효과는 보조기 40.0%, 부모교육 42.9%, 환경조정 40.0%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뇌성마비 아동의 작업치료에 있어서 근거를 마련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