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모양육행동

검색결과 275건 처리시간 0.026초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 어머니의 대상관계와 부모양육행동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 Relations and Parenting Behavior of Mothers of ADHD Children)

  • 손아영;박은진;이대환;최영민;김봉석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2권4호
    • /
    • pp.228-235
    • /
    • 2011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object relations and parenting behavior of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with that of the mothers with normal children. Methods : In this study, we studied 64 mothers of children who were diagnosed with ADHD and 90 mothers of normal children. The mothers completed the Bell Object Relations Inventory (BORI), the Parenting Behavior Inventory (PBI), the Parenting Stress Index (PSI) and the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PSOC) scale. Results : As compared with the mothers of normal children,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ADHD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results for the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For parenting behavior,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ADHD perceived their mothering as being more neglectful. On the other hand, the mothers of the normal control group perceived their mothering as being more affectionate and the fathers as being more reasonable and monitoring.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object relation between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ADHD and the mothers with normal children. The object relation pathology of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ADHD might contribute to impaired parenting behavior.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inadequate grandparental rearing behavior affects the insecure object relation of their child (the mother), and a mother's insecure object relation affects their parental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한국 사회와 교육적 성취 (III): 성취의 그늘, 한국 청소년 일탈행동의 형성과 심리적 역동 (The cost of pressure to achieve in Korea (III): The psychological dynamics and factors influencing delinquent behavior)

  • 박영신;김의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4권1호_spc
    • /
    • pp.223-253
    • /
    • 2008
  • 이 글은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3(5), 특집호, 제 3권의 주제인 한국사회 성취의 그늘에 있는 청소년 일탈행동의 형성과 심리적인 역동에 대해 다루고 있다. 이를 위해 최근에 발표된 한국 일탈청소년과 관련된 경험과학적 연구결과들을 개관함으로써, 앞으로 한국 일탈청소년에 대한 연구 및 실제적 지도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 글은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이 글의 목적과 내용을 소개하였으며, 일탈행동에서 벗어나서 질적으로 다른 성취를 해 나갈 수 있는 가능성의 세계에 주목하였다. 둘째, 일탈청소년 주변의 인간관계 특징을 부모의 거부, 또래 따돌림, 교사와의 적대적인 관계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셋째, 일탈행동의 형성과정에 작용하는 변인들 중에 특히 부모양육태도의 문제, 친구 일탈행동의 영향, 청소년 도덕적이탈의 심리, 과거의 일탈경험을 중심으로 선행연구 결과들을 분석 종합하였다. 넷째, 한국 일탈청소년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토착심리적 접근의 중요성을 지적하였다.

  • PDF

유아의 기질과 부모의 양육 행동 관련 유아의 문제행동 변화 연구 추이 및 유형에 대한 종단적 탐색 연구 -1970~2015년까지의 연대별 문제행동 범주와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A Longitudinal Exploratory Study on Change Research Trends and Patterns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s for Their Temperament and Parenting Behaviors -Focured on the Category and Content Analysis of Chronological Problem Behaviors from 1970 to 2015-)

  • 김정겸;강영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6722-6742
    • /
    • 2015
  • 본 연구는 유아의 기질과 부모의 양육행동과 관련하여 유아의 문제행동변화를 종단적 탐색연구를 통해 그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연구하였는데 결과를 보면 1970~1990년도 전체 41개 요인에서 1990~2000년대 62개요인 2000~2010년에 93개 요인으로 나타내 초기 연구에 비해 관련 영향요인이 2000년대 이후 두 배 이상 증가된 것으로 나타내 그만큼 세분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관련요인의 비중에 있어서도 부모의 도덕적 사고관이 가장 높고 그리고 유아에 대한 부정적 사고나 정서가 더 높아 유아자신의 기질이나 태도보다 부모의 유아에 대한 양육 태도에 따른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의 문제행동 영향요인과 원인 규명에 있어 초기연구들은 유아 개인에 정신 건강적 측면에서 문제행동의 원인을 찾으려는 경향이 높았으나 2000년대 이후 들어 유아 개인뿐만 아니라 가족, 관계, 가정환경, 어린이집 이용환경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사회적 환경과 또래, 교사관계 등의 비중이 높아져 이에 따른 대체 자원 또한 시대적 환경에 따라 달리 적용되어야 할 것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청소년의 개인, 부모, 학교 요인과 비행 경험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Parent, School Factors and Delinquency Experience of Adolescents)

  • 김영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264-275
    • /
    • 2022
  •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인지하고 있는 개인적 요인으로서 사회적 위축, 우울, 공격성, 부모 요인으로서 부정적 양육태도, 학교 요인으로서 친구 관계, 학업 무기력과 스마트폰 과의존, 끈기 등이 청소년 비행 경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PYS 2018) 1차년도 데이터 중에서 중학교 1학년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의 개인 요인으로서 우울, 공격성, 사회적 위축, 부모 요인으로서 부정적 양육태도, 학교요인으로서 학업 무기력, 부정적 친구관계, 스마트폰 과의존, 끈기 등이 청소년의 비행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 요인, 부모 요인, 학교 요인이 청소년의 비행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스마트폰 과의존과 끈기는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먼저, 청소년에 대한 고정 관념을 깨고 청소년의 비행 행동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청소년들의 기대감이 무엇인지 파악해야 한다. 둘째, 부모의 일관성 있는 양육 태도와 효과적인 양육을 위해 부모 및 조부모 대상으로 실질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청소년의 친구 관계 향상을 위해 긍정적인 자기 인식, 올바른 인간관계 형성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법과 충동성을 완화시키는 상담적 개입과 예방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젊은 유방암 환자의 자녀 특성에 따른 양육 스트레스, 양육 행동 및 부모교육 요구도 (Parenting Stress, Parental Behaviors and Need for Parental Education Relative to Children Characteristics of Young Women with Breast Cancer)

  • 조옥희;유양숙;서영진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543-553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the parental stress, behaviors and need for parental education of young women with breast cancer and how these variables are related to their children characteristics. Methods: The subjects were 110 young women with breast cancer who have a child.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 of parenting stress, parental behaviors and need for parental education. Results: The subjects reported many unmet needs for parental education, and have the highest level of need for education related to breast cancer. Women with daughters have higher level of need for parental education compared to subjects with son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parental behaviors and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need of parental education. Conclusion: As these result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arental education program for mothers with breast cancer in the future should be considered with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parenting stress, and parental behaviors of parents and children.

영아기 부모 양육스트레스 관련 연구 동향 분석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Parenting Stresses in Infancy)

  • 이진희;임진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577-58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기 자녀를 둔 부모 양육스트레스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모 양육스트레스 관련 논문 최초 발행 시점인 1998년부터 2019년까지 한국연구재단(KCI)에 등재된 국내 학술지 논문 82편을 분석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라 연구시기, 연구주제, 연구유형, 연구대상별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시기별 분석결과, 1998년부터 2019년까지 시기별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둘째, 연구주제별 분석결과, 부모 관련 주제가 가장 많았으며, 자녀 관련, 양육환경 관련, 부모-자녀 관련 순으로 나타났다. 부모 관련 주제 중 양육신념과 행동 관련 변인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셋째, 연구유형별 분석결과, 양적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질적연구와 문헌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양적연구에서는 질문지를 활용한 검사방법이 가장 많았다. 넷째, 연구대상별 분석결과,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우세하였으며 모-영아, 부모, 부모-영아-교사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아기 부모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관심과 학문적 연구의 범위를 넓히는 계기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걸음마기 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부모존경-자녀존중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iveness of the Respected Parents and Respected Children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Mothers of Toddlers)

  • 이선희;도현심;이운경;오혜진;신정희
    • 아동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95-109
    • /
    • 2016
  • Objective: This study used a pre-test and post-test quasi-experimental design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Respected Parents & Respected Children parent education program developed for mothers of toddlers. Methods: A total of 40 mothers were assigned to two groups, an intervention group (n = 20) and a waiting group (n = 20). Mothers in the intervention group participated in six weekly sessions of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After the termination of the program, differences between the preand post-test in terms of mothers' parenting characteristics (i.e., parenting behavior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and toddlers' soci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in both groups. Results: Mothers in the intervention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parenting behaviors and parenting efficacy and decreased parenting stress, whereas mothers in the waiting grou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test scores. Mothers in the intervention group also report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toddlers' level of imitation/play.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Respected Parents & Respected Children parent education program is effective in bringing about positive changes in both mothers' and toddlers' characteristics, which can be crucial for the future developmental outcomes of children.

아동의 인터넷 사용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양육행동 및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The effect of parenting behavior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internet use among school-aged children)

  • 장영애;박정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1131-1140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enting behavior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internet use among school-aged children. The subjects were 215 children whose grade are 3rd and 5th selected from an elementary school in Incheon. The statistics used for this data were t-test, one-way ANOVA(Duncan's test), and stepwise regression. The findings from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at academic achievement and birth order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variables on children's internet use, except for sex and grade. Results of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that the etiologic model of this study was more proper, and parenting behavior is more effective variable than parent-child communication in predicting internet use among school-aged children. Implications based on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order to decrease the degree of school-aged children's internet use, parents should do less permissive parenting behavior and problematic communication with their children.

부모의 권위감과 양육행동이 청소년의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 중국과 미국 청소년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Perceptions of Parental Authority and Parenting Behaviors on Teen's Autonomy i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 임지영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1115-1124
    • /
    • 2008
  • Although parent-child relationships are fundamental aspects of human development across all societies, this relationship is also shaped in significant ways by culture. Therefore, the present study sought to determine whether adolescent autonomy was predicted in a similar or differential manner by several parent-adolescent variables consisting of parenting behavior, parental authority, and parents' educational attainment in samples of Chinese and American adolescents. The sample for this study included 418 Chinese adolescents and 226 American adolescents. Utiliz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effect of paternal authority on adolescent autonomy development is indirect, with the indirect effect being mediated by the authoritative parenting behaviors for both cultural groups. Therefore, the analyses for Chinese and European American youth generated similar association patterns, such that parenting behaviors served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ternal authority and adolescents' autonomy development. The significance of this present study is to contribute to existing knowledge in the field of adolescent development and to the literature on how parental behaviors and authority in collectivistic societies and individualist societies influence adolescent development.

청소년의 부모통제지각과 내·외현문제의 관계 : 자존감의 매개효과 (Associations between Adolescents' Perceived Parental Control and Internalized/Externalized Problems : Self-esteem as a Mediator)

  • 장경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520-4527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심리 및 행동통제와 청소년의 자존감 및 내 외현문제 간에 어떤 상관이 있는지, 그리고 청소년 개인의 자존감이 부모통제와 이들의 내 외현문제 간을 매개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중학교와 고등학교 1, 2,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부/모 심리 및 행동통제, 자존감, 그리고 내현 및 외현문제를 측정하였다. 총 355명(남: 171명, 여:184명; 중학생: 170명, 고등학생: 185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부모심리통제는 낮을수록, 행동통제는 높을수록 청소년의 자존감이 높고 내 외현문제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존감이 높을수록 내 외현문제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존감은 부모심리통제와 내현문제 간을 부분매개, 부모행동통제와 내현 및 외현문제 간을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우리나라의 가족주의 문화나 입시위주의 경쟁적 교육환경이 이러한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제기하였으며, 바람직한 부모양육행동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