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단수

Search Result 46, Processing Time 0.062 seconds

Development of Photograph/Inspect Techniques in the Distribution System and Maintenance and Repair of Valve without Suspension of Water Supply (부단수 상수도관로 내시 진단 및 밸브 유지 관리 기술 개발)

  • Park, Sang-Bong;Lee, Kyung-Sob;Oh, Kyung-Seok;Kim, Dong-Hyun;Park, Hyuk-S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88-9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상수관로 보수 작업시 필연적으로 수행하던 단수 작업을 배제 하고 단수 없이 시행 가능한 관로 내시 진단 장치와 밸브류의 유지 보수 및 성능 개선을 위한 부단수 밸브 그랜드 패킹 교체장치, 부단수 밸브 스케일 제거 장치, 부단수 밸브 교체 장치를 개발함으로써 단수에 따른 시민 불편 및 경제적 손실을 저감하고 연속적인 물공급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누수 사고시 신속한 대처로 유수율 향상에 기여 할 수 있다. 또한, 관로의 내부를 직접 육안에 의해 관찰함으로써 해당 관로의 세척, 교체 등 정확한 보수 방법을 선정할 수 있으며, 정기적인 관 내부상태 확인을 통하여 노후도 평가의 직접진단 데이터로 활용 할 수 있다.

  • PDF

Load capacity simulation of PTO gears for a small cultivator during rotary ditching operation (구굴 작업에 따른 소형 관리기의 PTO 기어 부하 용량 시뮬레이션)

  • Lee, Pa-Ul;Choi, Changhyun;Choi, Youngsoo;Lee, Lijung;Kim, Yongj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1-11
    • /
    • 2017
  • 지속적인 고령화 추세에 따라 여성과 고령층의 노동력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어, 사용하기 편리한 소형농기계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소형 관리기는 정식 작업 전 경운, 정지 등 다양한 작업이 가능한 농기계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형 관리기에 토크 측정 시스템을 구성하였으며, 작업 중 가장 큰 부하를 받는 구굴 작업 부하를 측정하였다. 또한, 작업 시 가장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PTO (Power Take Off) 기어의 부하 용량(load capacity)을 기어 해석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PTO 기어의 부하 용량은 안전율, 피로수명을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측정된 부하 데이터는 변동 하중이므로, 부하 크기와 빈도수의 규칙적인 신호로 단순화하기 위하여 레인플로우 카운팅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SWT (Smith-Watson-Topper) 방법을 이용하여 공칭 토크를 계산하였다. PTO 기어의 안전율은 ISO 6336, 피로 수명은 마이너 법칙(Miner rule)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PTO의 변속 단수 총 2단이며, 5개의 스퍼 기어로 구성되어 있다. 시뮬레이션 결과, 소형 관리기의 주행 속도 또는 PTO의 회전속도 증가에 따라 PTO에서 발생하는 평균 부하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주행 단수 및 PTO 기어 단수가 증가할수록 기어의 안전율과 피로 수명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PTO 기어의 안전율은 접촉 응력에서의 안전율보다 굽힘 응력에서의 안전율이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소형 관리기의 PTO 수명은 주행 단수 2단, PTO 단수 2단 일 때 가장 적게 나타났다. 따라서 소형 관리기의 주행 속도와 PTO 회전 속도를 저속으로 작업하는 것이 PTO 기어의 수명에 더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Solving High Pressure Problems Possible in Emergency Interconnection Operation in Water Distribution Systems (상수관망에서의 비상연계 운영 시 발생 가능한 고압 문제 해결에 대한 연구)

  • Kim, Su Ri;Gim, A Rin;Jun, Hwan D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02-202
    • /
    • 2019
  • 상수관망 시스템의 목적은 수요자에게 양적으로 안정하고 질적으로 안전한 용수를 적정 수압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수관망 시스템은 노후화, 시공 중 파손 등 다양한 내 외적 요인들에 의해 파괴가 불가피하며, 이를 복구하는 과정에서 단수는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단수피해를 효율적으로 감소시키는 방법은 인근 배수블록과의 비상연계를 실시하는 것이다. 비상연계란, 관망의 파손 등 비정상상황 발생 시 단수구역에 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인접한 배수블록과 연결된 비상관로를 운용하여 인접 배수블록으로부터 단수구역에 용수를 공급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상연계 시 연계공급을 실시하는 배수블록에서의 문제점이 아닌 연계공급을 받는 배수블록에서의 문제점을 실제 A시 관망을 바탕으로 분석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안하였다. 실제 A시에서는 직경 600mm 간선관로(수지식)의 파손으로 2지 배수블록 하단부가 단수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이에 단수피해를 최소화하고자 인근 배수블록인 1지 배수블록과의 비상연계를 실시하였으나, 2지 배수블록 하단부의 말단부분에서 고압이 발생하고 관로 파손과 같은 추가적인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A시에서 실시한 비상연계 시나리오를 구축한 후 수원에서의 유한함을 고려할 수 있는 A-PDA 기반 수리해석을 실시하여 대한 고압발생의 원인을 분석하였다. 고압 문제의 원인은 연계 공급을 실시하는 1지 배수블록과 2지 배수블록간의 고도차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사료되며,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감압밸브 추가 설치, 주요 관로 복수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후 각 해결책에 따른 모델을 구축한 후 수리해석을 실시하여 해결책이 상수관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 관망에서 비상연계 시 발생한 문제를 분석함으로써 비상연계 시스템 구축 시 추가적으로 발생 가능한 문제 및 해결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Effect of Drought Stress at Various Growth Stages on Soybean Growth and Yield (생육단계별 한발처리가 콩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 김충국;고문환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42 no.1
    • /
    • pp.89-94
    • /
    • 1997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know the growth and yield of in response to the drought stress at the different soybean growth stage. Drought stress was given to the soybean plants on early vegetative growth at fourth-node stage(FNS), mid-growth at beginning pod stage(BPS) and late growth at beginning seed stage(BSS) for 30 days, which are high availability in soil water stress on climate condition of Korea. Dry weight was decreased severely by water stress at FNS, and BPS and BSS has no difference compared to control. Chlorophyll content of leaf severely decreased at the end of water stress of FNS and BPS, but was recovered at the harvest stage. Drought-stressed root distributed mainly near the soil surface and number and dry weight of root nodule were decreased severely by drought stress at BPS. Number of pod, seed weight and yield were decreased by drought stress and showed the highest yield loss at BPS.

  • PDF

Analysis of Shifting Quality for Powershift Transmission Using Transient Torque (과도 토크를 이용한 파워시프트 변속기의 변속 품질 평가)

  • 정병학;이호상;김경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3.02a
    • /
    • pp.251-256
    • /
    • 2003
  • 트랙터는 작업 시 부하의 변동이 크고, 부하 변동에 따른 적합한 단수로 운전 작업이 요구되기 때문에 잦은 변속이 요구된다. 특히 유단 변속의 경우 변속 시 큰 부하의 변동과 부적절한 변속 단수 설정할 때 변속 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변속 충격은 작업 효율을 저하시킬 뿐 아니라 운전자의 승차 감을 저하시킨다. (중략)

  • PDF

Impacts of Abnormal Weather Factors on Rice Production (패널분석-확률효과모형에 의한 등숙기 이상기상이 쌀 단수에 미치는 영향 분석)

  • Jeong, Hak-Kyun;Kim, Chang-Gil;Moon, Dong-Hyun
    •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 /
    • v.4 no.4
    • /
    • pp.317-330
    • /
    • 2013
  • The yield of rice production is affected severely by abnormal weather events, such as flood, drought, high temperature etc.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assess impacts of abnormal weather events on rice production, using a panel model which analyzes both cross-section data and ti- me series data. Abnormal weather is defined as the weather event which goes beyond the range of ${\pm}2{\sigma}$ from the average of a weather factor. The result of an analysis on impacts of high temperature on rice production showed that the yield of rice was decreased 5.8% to 16.3% under the conditions of extremely high temperature, and it was decreased 8.8 to 20.8% under the conditions of both extremely high and heavy rain. Adaptation strategies, development of new varieties enduring high temperature and heavy rain, adaptation of crop insurance, modernization of irrigation facilities are needed to minimize the impacts of abnormal weather on rice production, and to stabilize farmers' income.

Effect of Nutrient Supply Cut-off Periods Before Harvest on Storability of Chicon (수확 전 단수처리가 치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 Jung, Hyun-Jin;Choi, In-Lee;Son, Jin-Sung;Seo, Hyun-Taek;Won, Jae-Hee;Kang, Ho-Min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20 no.4
    • /
    • pp.406-411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cut-off period (0 hour, 3 hours, 6 hours, 12 hours, and 24 hours) to supply nutrient solution for chicon forcing at that was predrying treatment on the storability of chicon. The cut-off treatment increased dry matter rate, respiration rate, and ethylene production rate. The dry matter rate of chicon increased, as the cut-off period increased, but the respiration rate and ethylene production rate of chicon was highest in 12 hours and 6 hours cut-off treatment, respectively, and then their rates decreased, as the cut-off period prolonged. The weight loss at cut-off 6 hours treatment was lower than other treatments during $10^{\circ}C$ storage temperature. The cut-off 6 hours treatment showed higher carbon dioxide and oxygen concentration in 10,000 cc/$m^2$/day/atm oxygen permeability film package during storage period than control and showed a little predrying effect bu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4^{th}$ day, the ethylene concentration reached higher than other storage day and after that decreased bu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quality of chicon for 3 hours, 6 hours, 24 hours cut-off treatments on storability showed higher than other treatments, accordingly. The 6 hours cut-off treatment showed the inhibited effect of the degree of browning of chicon cutting plane. The effect of 6 hours cut-off treatment on storability of chicon showed proper predrying effect, reduced moisture loss and browning inhibition apparently during $10^{\circ}C$ storage.

Analysis of Power Requirement for 105 HP Agricultural Tractor during Rotary Tillage Operation (로타리 작업 시 105마력급 농업용 트랙터의 소요동력 분석)

  • Kim, Wan-Soo;Choi, Chang-Hyun;Park, Seong-Un;Kim, Yong-J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8-8
    • /
    • 2017
  • 본 연구는 로타리 작업에 따른 105마력급 농업용 트랙터의 소요동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소요동력 측정 시스템은 차축 토크미터, PTO 토크미터, 주/보조 유압센서, 데이터 수집장치를 이용하여 구성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트랙터는 동양물산 105 HP급 트랙터 (S07, TYM, Korea)이며, 작업기는 로타베이터 (SW 230GL, Sungwoo Industrial Co. Ltd, Korea)를 사용하였다. 포장시험은 전라북도 부안군에 죽림길에 위치한 $4,000m^2$ ($100m{\times}40m$) 크기의 경작지 2곳에서 수행하였다. 포장시험 시 작업 단수는 주행단수 L3단 (2.38 km/h)에서 PTO 단수 1단 (540 rpm)과 2단 (750 rpm)으로 설정하였고, 로타리 작업 시 경심은 13 cm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트랙터 작업은 동양물산의 성능시험 업무를 맡고 있는 숙련된 작업자가 숙달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포장시험지의 토양환경은 임의의 15곳에서 채취한 시료를 이용하여 토성, 함수율, 원추 관입지수에 대하여 미국 농무부 (USDA)법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토양환경 분석 결과 토성은 Sandy loam (사양토), 평균 함수율은 35.15%, 평균 원추관입지수는 1,562 kPa로 나타났다. PTO 1단 작업 시 트랙터의 평균 소요동력은 차축, PTO, 주 유압, 보조 유압에 대하여 각각 1.8, 54.0, 1.3, 그리고 1.1 hp로 나타났다. PTO 2단 작업 시 트랙터의 평균 소요동력은 차축, PTO, 주 유압, 보조 유압에 대하여 각각 1.2, 79.4, 1.2, 그리고 1.0 hp로 나타났다. PTO 1단 작업 시 소요동력의 합은 58.2 hp로, 정격 마력 (105 hp) 대비 55.43 %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PTO 2단 작업 시 소요동력의 합은 82.8 hp로, 정격 마력 대비 78.85%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PTO 1단 대비 2단에서는 PTO를 제외한 차축, 주 유압, 보조 유압의 소요동력이 감소하였으나, PTO에서 약 1.47배로 크게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소요동력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다양한 작업기 및 작업 단수에 따른 소요동력을 분석하여 농업용 트랙터의 모든 부하 조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