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본인의 혼외관계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개인의 개방성과 정서적 소외감이 본인 및 배우자의 혼외관계 용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Individual Openness and Emotional Isolation on the Tolerance of Extramarital Relationship)

  • 이원준;이희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336-34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의 개방성과 정서적 소외감이 배우자의 혼외관계 용인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본인의 혼외관계 용인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남녀 655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혼외관계인식과 관련요인들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 분석 결과 밝혀진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성'과 '정서적 소외감'이 배우자의 혼외관계 불용인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자신의 혼외관계 용인에 미치는 직접효과(개방성, .244***; 정서적 소외감, .164**)는 유의하였다. 둘째, '본인의 혼외관계 용인'과 '배우자 혼외관계 불용인' 간에는 강한 부적 상관(-.493**)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개인의 개방성이 '배우자 혼외관계 불용인'에 미치는 효과에 '본인 혼외관계 용인'의 완전 매개효과(-.081; 하한값 -.140, 상한값 -.027 ), 그리고 '정서적 소외감'이 '배우자 혼외관계 용인'에 미치는 효과에 '본인의 혼외관계 용인'의 완전 매개효과(-.120; 하한값 -.189, 상한값 -.061 )가 각각 입증되었다. 개인의 개방성과 정서적 소외감이 배우자의 외도에 미치는 영향은 본인의 혼외관계에 대한 용인 수준에 의해서 결정적으로 영향을 받고, 본인의 혼외관계에 대한 인식이 배우자의 혼외관계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배우자 외도문제 대처와 관련하여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 함의를 모색하고 논의하였다.

본인 및 배우자의 혼외관계에 대한 기혼부부의 인식 관련 요인 (Correlates of the Perception of Married Couples about Individual's Own Extramarital Relationships and Spouse's Extramarital Relationships)

  • 이원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682-69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본인 및 배우자의 혼외관계에 대한 개인의 인식을 파악하고, 관련 요인들을 밝히는 것이다. 기혼자(402명)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우자의 혼외관계에 대한 인식은 '본인의 혼외관계에 대한 인식에 비해 훨씬 더 부정적인 것으로 밝혀져, 내로남불 현상이 발견되었다. 둘째, 혼외관계에 대해서 남성들은 여성들보다 훨씬 더 수용적이었다. 셋째, 본인의 혼외관계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성별(-.161), 연령(.144), 취업활동유무(.107), 신체적 매력(.087), 자율성(.120), 정서적 소외감(.105), 개방성(.124), 주변 혼외관계 만연성(.303), 성생활 만족도(-.131)등이다. 배우자의 혼외관계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정서적 성숙성(-.127), 주변의 혼외관계 만연성(.113), 성생활 만족도(1.131)등으로 밝혀졌다. 주요 발견점을 토대로, 혼외관계 문제 대처에 활용해 볼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천 개입들을 모색하면서 논의하였다.

이성의 신체적 매력에 대한 취약성이 본인의 혼외관계 수용성 및 개방결혼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dividuals' Vulnerability to the Different Sex's Physical Attractions on Their Own Acceptance of Extramarital Relationship and Intentions of Open Marriage)

  • 이희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203-21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이성의 신체적 매력에 대한 취약성이 개인의 개방결혼 의도에 미치는 효과와, 본인의 혼외관계 수용성의 매개효과 그리고 결혼상태의 조절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6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를 분석한 연구이다. 자료분석 결과 밝혀진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인의 혼외관계M=2.284)와 개방결혼(M=2.175)에 대한 응답자들의 인식은 전반적으로 부정적이다. 여성들이 남성보다 더 비판적인 입장을 보여주었다. 둘째, 남녀 모두 이성의 신체적 매력에 대한 취약성(M=3.569)을 어느 정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남성이 여성보다 좀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성의 신체적 매력에 취약할수록, 자신의 혼외관계에 대해서 좀 더 수용적이었다. 본인의 혼외관계에 대해 수용적일 수록, 개방결혼의도가 더 높았다. 넷째, 여성 집단에서는, 본인의 혼외관계 수용성이 매개요인(mediator)으로 작용하여, 이성의 신체적 매력에 대한 취약성이 개방결혼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수 있게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러나 남성 집단에서는, 이러한 매개효과가 없어, 성별특성에 따른 조절효과(moderating effect)가 입증되었다. 여성들의 경우, 본인의 혼외관계에 대한 인식이 이들의 개방결혼에 대해 어떠한 의도를 가지는지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결정적인 요인(critical factor)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불륜에 대한 인식이 혼외성관계 개방성에 미치는 영향 : 본인외도 용인과 배우자외도 불용인의 이중매개효과와 결혼상태의 조절효과분석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Individuals' Perception toward Extramarital Affair on the Openness to Extramarital Sex : Focusing on Double Mediating Effects of the Acceptance toward Extramarital Relationship and Unacceptance of Spouse's Extramarital Relationship and Moderation Effect of Marital Status)

  • 이원준;이희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211-222
    • /
    • 2020
  • 본 연구는 남·녀 6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얻은 자료를 분석한 실증연구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불륜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인 편이지만, 약 16.4%의 응답자들은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본인의 외도에 비해 배우자의 외도에 보다 비판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결혼여부와 상관없이 불륜에 대해 덜 비판적일 수록 본인의 혼외관계를 더 많이 용인하고, 배우자의 혼외관계를 용인하지 않는 현상이 뚜렷하였다. 넷째, 미혼집단은 배우자외도 불용인이 혼외성관계 개방성에 부적(negatively)효과를 미쳤고, 기혼집단에서는 본인외도 용인이 혼외성관계 개방성에 정적효과를 미쳤다. 다섯째, 미혼집단은 '불륜인식은 '혼외성관계 개방성'에 직접효과를 미치지 않았지만, '배우자 외도 불용인'을 완전매개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져 결혼상태의 조절효과가 입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