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복합피해

Search Result 45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Forest Stand and Site Characteristics in Post Forest Fire Area and Management Treatments for Optimal Vegetation Restoration (산화지의 입지와 임분특성 및 경영시업에 따른 식생변화 추이분석)

  • Lee, Kwang-Soo;Kim, Suk-Kwon;Bae, Sang-Won;Lee, Kyung-Jae;Kang, Young-Jae;Jung, Su-Young;Moon, Hyun-Shik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 /
    • v.43 no.6
    • /
    • pp.19-27
    • /
    • 200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the basic model to estimate damage degree from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forest fire and site environment factors and to clarify the restoration trends thorough multi-temporal survey by observing species diversity followed by various treatments at damaged forest area over time. From the derived model, the damage degree of forest fire was higher in the area of dense coniferous stands composed of simple story at the elevation of about 100m and 200m, and on steeper slope area over 30 degree. As results of this study, fire damaged trees are needed to cut down and a mixed stand with deciduous and coniferous species from the same area is desirable for the future species composition on fire damaged forest. Thus, site characteristics, local species, and mixed stands are the main consideration to enhance the vegetation recovery.

MODIS 위성자료를 통한 한반도 가뭄평가

  • Kim, Jong-Suk;Park, Seo-Yeon;Jang, Ho-Won;Lee, Joo-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85-85
    • /
    • 2016
  • 가뭄은 다른 어떤 기상재해보다 광범위하고 긴 시간에 걸쳐 큰 피해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많은 변수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기 때문에 그 발생 원인을 이해하기 힘들다. 따라서 가뭄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중, 장기적인 가뭄의 예측이 필요하며, 가뭄을 예측한다는 것은 가뭄의 발생의 시공간 분포와 발생 원인을 정확히 이해하는데서 시작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마른장마, 봄 가뭄 등 이상가뭄이 빈발하고 발생되고 있으며, 90년 이후로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겨울에서 봄까지의 가뭄인 횟수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의 시공간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Terra의 MODIS 원격탐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한반도를 대상으로 가뭄의 정량적 평가를 실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는 제한된 관측정보를 통한 시공간 분석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지만 가뭄 피해에 대한 현실적인 대책 및 적응전략 수립에 횔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Security Vulnerability Analysis for Multi Function Printer (디지털 복합기에 대한 보안 취약점 분석)

  • Choi, Myeonggyun;Lee, Dongbum;Kwak,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631-634
    • /
    • 2012
  • 디지털 복합기는 프린터, 복사기, 스캐너, 팩스 등의 장치가 결합되어 있는 임베디드 장치로써 출력, 복사, 스캔, 팩스 외에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한 원격 유지보수, 다중 사용자가 맞물려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디지털 복합기는 최근 기업 및 공공기관에서 업무의 효율성 증대와 경비절감을 위해 중요한 문서를 처리하는 장비로 널리 보급되고 있다. 하지만 산업 스파이나 공격자들에 의해 중요한 문서들이 외부로 유출되면서 기업의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복합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보안 취약점 및 보안 위협을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 부인방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How to Respond to Complex Disasters on Future Megacities at the Government Level (미래 메가시티의 복합재난과 범정부 차원의 대응 방향)

  • Moon, Sang Jun;Cho, Sang Keun;Jung, Min-Sub;Park, Sang-Hyuk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7 no.1
    • /
    • pp.211-215
    • /
    • 2021
  • The number of megacities are increasing, due to the global urbanization. Along with this change, climate change, social development and technology advance make the calamities complicated and more devastating. Especially, megacities are hyper-netted, hyper-connected and hyper-converged with population more than 10 million and their domain. When calamities break out, the damage will be aggravated for they lead to another ones. Since megacities are the center of politics, economics and culture of a nation. so when complex disaster break out in megacities, this may be developed to a peril to the national security. Therefore, pan-government effort must be concentrated in preparing abilities to forecast, react, rapid response and resilience.

Effect of Uniconazole and Free Radical Scavenger Treatments on Reduction of $SO_2$ Injury in Platanus occidentalis (Uniconazole 및 Free Radical Scavenger처리가 양버즘나무의 $SO_2$ 피해경감에 미치는 효과)

  • Cho, Jeong-Hee;Ku, Ja-Hyeong;Choi, Jong-Myung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16 no.1
    • /
    • pp.14-18
    • /
    • 1997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increase phytoprotective effects by combined treatment of uniconazole and free radical scavengers such as ascorbic acid or sodium benzoate on $SO_2$ injury in P. occidentalis. The plant injury, chlorophyll content and enzyme activity of superoxide dismutase(SOD) and peroxidase(POD) affected by combined treatment were also investigated. The phytoprotective role of uniconazole was nullified by spray of Diethyldithiocarbamate(DDTC) resulting in the decrease of SOD and POD activities. Free radical scavengers, sodium benzoate and ascorbic acid, did not affect SOD and POD activity, but significantly inhibited the development of visible injury, degradation of chlorophyll, and SOD and POD activity in leaves exposed to $SO_2$. The spray of ascorbic acid decreased plant susceptibility to $SO_2$ induced by DDTC applic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uniconazole application increase SOD activity that play a role of antioxidant in plant body, but sodium benzoate and ascorbic acid do not affect enzyme activities of SOD or POD.

  • PDF

Cause and Countermeasure of Inundation Damage in Underground Space (우리나라 지하공간 내수침수피해 원인 및 대책)

  • Cho, Jae-Woong;Choi, Woo-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20-420
    • /
    • 2011
  • 도시지역의 내수침수피해는 거의 매년 발생하고 있으며, 반지하와 같은 거주공간이 매우 취약한 상태이다. 특히 최근에는 지하철, 지하상가 등이 대규모 개발되고 복합네트워크화 되어 지하공간의 침수대책과 대피방안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일본의 경우 2000년 토카이 호우피해 후 통합유출해석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1999년 및 2003년 후쿠오카 침수피해 발생 후 특정도시하천침수피해대책법을 제정, 1999 후쿠오카, 2004년 하마마츠, 2008년 카누마 피해 후 일본 방재연구소에서는 실시간 1차원 지표범람모형과 모니터링을 통한 실시간 내수침수지도를 개발하였다. 특히 지하공간에 대해서는 "지하공간에 유입하는 범람수가 계단상 보행자게에 주는 위험성에 관한 연구" 등 실험을 바탕으로 각종 지하공간 침수대책 매뉴얼 및 지하시설의 침수시 피난확보계획 지침, 지하공간 침수대책 가이드라인 등 인명피해를 줄이고자하는 노력이 계속되어 오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6년 경기도 고양시 3호선 정발산역이 침수되었으며, 2010년 서울시 지하철 2호선 사당역 및 4호선이 침수되는 등의 지하철 침수피해와 2010년 서울시 광화문 지하상가, 인천시 부평구 우림라이온스 벨리, 우남플라자, 계양구 농협하나로마트, 서원아파트 등의 지하상가와 지하다층의 침수피해가 발생하였다. 특히 2006년 3호선 정발산역 침수는 17시간이나 지하철이 불통되었고 이로 인하여 심각한 교통 체증이 유발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2010년 집중호우로 인한 서울, 인천지역의 지하공간 침수피해를 중심으로 최근 10년간 지하공간 침수피해사례로부터 대표적인 침수피해 원인 및 특성을 정리하였으며, 그 결과 지하공간 침수의 주요원인은 지상공간의 침수류가 지하공간으로 유입하고, 지하공간의 배수설비 용량부족, 지하공간으로의 유입을 방지하기위한 방지턱, 차수판, 침수시 비상전원 공급, 침수시 지하공간 대피 매뉴얼의 부재 등 다양한 원인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방방재청에서 고시한 '지하공간 침수방지를 위한 수방기준'에 지하공간 침수 방지를 위한 각종 시설의 설치 및 대피 경로지정 등에 대한 기준이 마련되어 있으나, 지하공간 중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지하철역에서 조차 침수에 대한 행동매뉴얼이나 대피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마련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하공간 침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센서를 이용한 자동 차수판과 경보기 설치, 지하공간의 사람들이 안전한 대피로를 찾을 수 있도록 지상공간 및 지하공간 출입구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CCTV의 설치, Dry Area를 두어 비상대피 할 수 있는 공간의 마련 등 시설적인 부분에 대하여 '지하공간 침수방지를 위한 수방기준'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지상공간의 침수 상황을 고려한 지하공간의 대피매뉴얼 또는 가이드라인 등의 수립이 필요하다. 또한 이와 더불어 재산 및 인명피해를 더욱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실시간 예 경보를 위한 침수해석 모형의 개발이 시급하다.

  • PDF

Extendable Victimized-System-Based Attack Taxonomy (피해시스템 기반의 확장형 공격 분류기법)

  • Choi Youn-Sung;Choi Dong-Hyun;Jo Hea-Suk;Lee Young-Gyo;Kim Seung-Joo;Won D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2006.06a
    • /
    • pp.791-794
    • /
    • 2006
  • 컴퓨터의 정상적인 활동을 방해하는 공격행위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를 기반으로 하는 사회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심각한 문제를 유발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네트워크 및 시스템공격에 대한 분류기법은 주로 공격자 입장에서 연구되어서 피해를 입은 시스템이 사용하기에는 부족하였다. 그래서 피해시스템 입장에서 공격을 정확히 분류하고 탐지할 수 있는 분류기법을 개발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공격 분류방식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발견한 후, 공격 분류방식이 가져야할 요구사항을 도출한다. 공격 분류기법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면서, 피해 시스템의 관리자가 공격에 대한 대책수립에 도움이 되는 공격 분류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분류기법은 공격방식에 따라 확장이 가능하므로 복합적 공격을 보다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다.

  • PDF

Evaluating Impact of Disaster Pattern Change on Disaster Risk Sectors (재해환경변화에 따른 자연재해위험지구 영향평가)

  • Yoo, Ji-Young;Kim, Tae-Woong;Choi, Hyun-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376-380
    • /
    • 2012
  • 자연재해위험지구란 자연재해로부터 안전하지 못하여 국민의 생명과 재산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지역과 자연재해의 피해를 저감할 수 있는 시설을 포함한 주변지역으로서 자연재해대책법 제12조의 규정에 의하여 지정된 지구를 말한다. 자연재해대책법에 따라 시장 군수 구청장은 상습침수지역 산사태위험지역 등 지형적인 여건 등으로 인하여 재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지역에 대하여는 자연재해위험지구로 지정 고시한다. 2010년에 특별 재고시 되어진 재해위험지구 지정현황을 비롯하여 최근 지정해제 등 변경사항을 고려하여 총 683개(2011년 현재)의 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침수위험지구는 401개(전체의 59%), 붕괴위험지구는 128개(전체의 19%), 유실위험지구는 98개(전체의 14%), 취약방재위험지구는 28개(전체의 4%), 고립위험지구는 18개(전체의 3%), 해일위험지구는 10개(전체의 1%)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2010년 특별 재고시된 자연재해위험지구(침수위험지구)의 2011년도 현황을 바탕으로 기 지정된 재해위험지구에 대한 대규모 하천정비 및 기후변화에 따른 침수위험의 변화영향을 검토하였다. 이는 대규모 하천정비 및 기후변화에 따른 기존의 침수영향변화를 복합적으로 검토하여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수계 자연재해위험지구(침수위험지구)의 복합 영향의 범위를 분석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 New Resilience Index Considering the Residual flow of Urban Drainage System (도시 배수 시스템의 잔류 유량을 고려한 새로운 복원력 지수 개발)

  • Kim, Young Nam;Lee, Eui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57-57
    • /
    • 2021
  • 최근 급격한 도시화와 기후변화로 인해 도시의 홍수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복합적인 재난으로 악화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복합재난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재해발생 전·후 대응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복원력 개념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도시 배수 시스템의 복원력은 대상유역의 면적과 절대적인 침수량에 따라 좌우된다. 따라서 지역의 도시 배수 시스템의 복원력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 대상유역의 정보를 반영한 지역 맞춤형 복원력 지수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상유역의 정보를 반영하기 위해 도시 배수 시스템의 배수능력을 복원력 지수에 적용하였다. 도시 배수 시스템의 배수능력을 나타내기 위해 시스템 잔류유량을 분모로, 침수량을 분자로 하여 복원력 지수를 계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안된 새로운 복원력 지수를 대구 비산 빗물펌프장에 적용하였다. 강우자료는 재현기간이 100년, 200년 그리고 300년 빈도의 확률강우량을 사용하였으며, 지속시간은 30분, 60분 그리고 90분으로 설정하였다. 침수량과 시스템 잔류 유량은 1분 단위로 EPA SWMM을 통해 값을 구하였다. 시스템 잔류 유량을 기반으로 하는 복원력 지수는 최소 0.995029에서 최대 0.998662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도시 배수 시스템 잔류 유량 기반 복원력 지수는 배수 시스템의 처리 능력을 반영한 지수라고 할 수 있으며 배수 시설의 설치, 교체 및 재건 등 수해 방재 계획 평가에 활용될 수 있다.

  • PDF

Analysis of the Appropriateness of Flood Prevention by Design Flood Discharges According to the Plan to Change the Channels of the Banpocheon and the Construction if the Reservoir Tunnel in the Sadangcheon (반포천의 유로변경 계획 및 사당천의 저류터널 건설에 따른 계획홍수량별 홍수저감 적정성 분석)

  • Hwang, Ingyu;Park, Kidoo;Park, Jongho;Jung, You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96-196
    • /
    • 2022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호우가 발생함에 따른 도시 저지대홍수의 대표적인 사례로, 외수위 상승으로 인한 내수 침수 발생과 배수위(backwater) 발생은 상류 저지대의 내수배제 불량으로 인한 홍수피해가 주된 원인 중 하나로 판단된다. 저지대 내수침수사례로는 서울 강남 및 서초 일대 지역이 대표적이며, 내수침수해 저감을 위한 다양한 치수 사업이 제안된 바 있다. 반포천의 경우 반포천 상류 저지대의 홍수 저감을 위해 중·상류 지역의 유역변경계획이 수립되었다. 또 한, 사당천의 경우 이수-과천 복합 터널을 건설, 홍수 저류지를 조성하여 도심지 상류 침수 저감 계획을 수립하였다. 반포천은 한강의 제1지류로서 제2지류인 사당천과 함께 대표적인 도시하천으로서 상습적으로 내수침수가 과거에 빈번히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차원 동수역학 모형인 HEC-RAS 모형을 사용하여 반포천 및 사당천의 계획홍수량 변화에 따른 반포천 유역 합류부에서 계획홍수위의 배수효과 발생 및 내수침수피해의 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