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복합애도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아동기 상실경험과 복합 애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ildhood Loss Experiences and Complex Grief)

  • 윤석민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4호
    • /
    • pp.165-170
    • /
    • 2024
  • 본 연구는 아동기 상실 경험과 이에 따른 복합 애도에 깊이 있는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문헌연구를 하였다. 아동들은 부모를 사별했을 때 충격적으로 수면장애, 반사회적 행동, 죄책감, 외상 후 스트레스, 우울, 공포 증상이 나타난다. 5세-9세 때 아동이 상실을 경험하면 혼란스러움과 공포, 걱정을 하게 된다. 또한 상실을 경험했을 때 공격성이 나타나거나 집중력이 떨어질 수 있다. 그리고 9세-12세의 아동이 상실을 경험했을 때는 비애, 우울, 공포의 감정이 발생하게 된다. 아동은 상실의 경험으로 행동화 또는 학업 수행이 떨어지기도 한다. 복합 애도에서 나타나는 중상은 고통스러운 감정이 지속적으로 지배하고 현실에 적응하지 못하게 한다. 또한 고통스러운 감정으로 두려워하고 현실을 도피하게 한다. 복합애도는 슬픔, 그리움, 충격과 고통을 마음속으로 수용하면서 새로운 삶을 개척해 가는 과정인 정상적 애도 과정을 방해한다.

반려동물 상실과 복합 애도: 지각된 사회적 제약의 조절 효과 (Pet Loss and Complicated Grief: The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Social Constraints)

  • 정지연;신지은;강영신
    • 감성과학
    • /
    • 제26권3호
    • /
    • pp.101-114
    • /
    • 2023
  • 반려동물은 점차 인간 삶의 중요한 동반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에 연구자들은 반려동물 상실과 이에 따른 애도에 주목하고 있다. 반려동물의 상실은 다른 상실과 달리 대개 그 부적응이 오래 지속되는 복합 애도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현상은 사람(vs. 반려동물)과의 관계가 더 중요하다는 사회적 인식에 기인하며, 이는 반려인이 자신의 상실 경험을 타인에게 제대로 이해받지 못한다고 여기게 만드는 일종의 '제약'으로 작용한다. 즉, 반려인의 지각된 사회적 제약은 이들의 반려동물 상실에 대한 회복을 저해하고 복합 애도를 유발하는 중요한 원인이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반려동물의 죽음을 경험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지각된 사회적 제약이 초기 상실 이후 적응을 방해함으로써 그 충격이 복합 애도로 이어지는 과정을 심화시킬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연구 결과, 예상대로 지각된 사회적 제약은 상실의 충격과 복합 애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반려동물 상실 충격으로 인한 복합 애도는 사회적 제약을 크게 지각할수록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는 반려동물 상실 경험과 애도를 이해하는 데 지각된 사회적 제약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을 보여줌으로써 사회적 인식 변화 및 개선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노령화에 대한 애도 - 영화 '수상한 그녀'의 정신분석학적 탐색- (Grief about Aging - Psychoanalytic search of the movie 'Miss Granny'-)

  • 조창운;이현심;이창돈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351-358
    • /
    • 2017
  • 본 연구는 영화 '수상한 그녀'에서 노령화에 대한 애도의 과정을 융 복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영화의 내용을 반복적으로 탐색하면서 주인공이 노화과정에서 나타난 노년의 상실감을 애도의 과정으로 해석하면서 정신분석학적으로 탐색하였다. 즉 노화 과정을 인생의 재해석 과정과 향후 삶에 대한 발달적 태도 변화를 애도의 심리세계로 정신분석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의 애도과정은 '상실과 결핍' ${\rightarrow}$ '도피와 퇴행' ${\rightarrow}$ '탈동일시와 탈집중' ${\rightarrow}$ '새로운 현실 적응'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 의하여 상담자는 내담자의 애도작업이 원만하게 이루어지도록 심리적 애도환경 조성에 주력해야 할 뿐 아니라, 내담자의 애도능력 향상을 위한 복합적 상담기법을 구사할 수 있어야 함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