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복합댐

Search Result 95,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pplication of SP Survey and Numerical Modeling to the Leakage Problem of Irrigation facilities (수리시설물 누수탐지에 대한 자연전위법 적용 및 수치 해석)

  • Song Sung-Ho;Kwon Byung-Doo;Yang Jun-Mo;Chung Seung-Hwan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5 no.4
    • /
    • pp.257-261
    • /
    • 2002
  • We have carried out integrated research including field survey and numerical modeling to appraise the applicability of SP method to the leakage problems of irrigation facilities. The leakage pattern of the dike studied here can be classified into the three categories: leakage through the abutment, leakage by piping through dike, and leakage due to the composite effects of landslide and distortion of the dike structure. for the numerical modeling to interpret quantitatively SP survey results acquired at dike, we have modified the computer code proposed by Sill (1983) to apply to the leakage problems. The numerical studies match the characteristic patterns of SP anomalies according to the leakage types and appear to be very useful to interpret the leakage zone and path. The SP monitoring results were also well coincided with tidal variations observed at every embankment so we found the SP method is quite effective not only to detect the leakage zone but also to determine the leakage trend. The numerical modeling results also reproduced the SP anomalies due to seawater leakage in the embankment.

The Changes of Coastal Water Level due to the Development of Mokpo Harbor and Construction of Daebul Industrial Complex (목포항 개발 및 대불 산업단지 조성에 따른 연안해역 해면변화)

  • 정명선;이중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1991.06a
    • /
    • pp.37-44
    • /
    • 1991
  • 영산강 하구언 방조제의 건설로 인한 항만 및 이의 인접해역 해면의 변화는 예상한 바 있으며 실제 여러개소에서 월 2회정도의 주기로 목포 구항부근 상업지역에서 해면상승에 따라 주기적으로 침수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목포항의 영산강 하구언 방조제 조성으로 인한 조류성분중 최고기록을 가진 수로에서는 6kts 정도로 감소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주위자연환경 변화에 따른 수면 상승 및 해수면의 주기적인 변화 등에 대한 상세한 언급 및 깊이 있는 분석은 회피되어왔다. 수자원의 효율적관리를 위해 하구언 방조제는 이미 건설되었고 앞으로 대규모의 항만개발과 대불산업단지조성을 위해 추가 3개의 만입해안해역에 댐으로 해역을 막아 매립공사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이 지역에 대한 분석은 타당성의 여부만을 강조한 상업적 용역이 이루어지고 있고 장래 개발에 대해 학술적이고 실질적인 문제점 추출과 해결방아네 대해서는 무시하거나 경시한 바가 많다 더구나 태풍 저기압 등과 같은 자연재해를 고려한 분석은 시도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개발전후의 현상에 대한 상세한 자료 및 현장 조사와 극한 상태를 고려하여 개발에 따른 수위상승 부진동, 조류 수질등 이해역의 변화요소를 수집하고 분석하며 과학적 접근방법에 기초를 둔 수치모델의 실험을 포함하여 현장관측 및 측정자료를 검증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사료되어 종합분석의 한단계로 여기서는 하구언 및 하구간척(Land Reclamatic of Estuary barren)으로 해역축소에 따른 해면변화의 실제현상을 조사하여 정리하고 이를 수치모델을 통해 시뮬레이션하여 보았다 이는 종합개발의 좋은 기초자료로 이용됨은 물론이로 이지역의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본다.적절하게 가정된 지반의 응력-변형률 관계와 간극수압특성에 의하여 고려되었다. 그 결과 응력 및 변위가 심하게 발생하는 지역은 황색 점토층이었으며 이로부터 황색 점토층에서 부터 파괴면이 생성되어 다른 지역으로 전파되었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form trap with 2.88[eV] deep of injected space charge from the chathode in the crystaline regions. The origin of ${\alpha}$$_2$ peak was regarded as the detrapping process of ions trapped with 0.9[eV] deep originated from impurity-ion remained in the specimen during production process of the material, in the crystalline regions. The origin of ${\beta}$ peak was concluded to be due to the depolarization process of "C=0"dipole with the activation energy of 0.75[eV] in the amorphous regions. The origin of ${\gamma}$ peak was responsible to the process combined with the depolarization of "CH$_3$", chain segment, with the activation energy of ca

  • PDF

Factors analysis of the cyanobacterial dominance in the four weirs installed in of Nakdong River (낙동강의 중·하류 4개보에서 남조류 우점 환경 요인 분석)

  • Kim, Sung jin;Chung, Se woong;Park, Hyung seok;Cho, Young cheol;Lee, Hee 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413-413
    • /
    • 2019
  • 하천과 호수에서 남조류의 이상 과잉증식 문제(이하 녹조문제)는 담수생태계의 생물다양성을 감소시키며, 음용수의 이취미 원인물질을 발생시켜 물 이용에 장해가 된다. 또한 독소를 생산하는 유해남조류가 대량 증식할 경우에는 가축이나 인간의 건강에 치명적 해를 끼치기도 한다. 그 동안 국내에서 녹조문제는 댐 저수지와 하구호와 같은 정체수역에서 간헐적으로 문제를 일으켰으나, 4대강사업(2010-2011)으로 16개의 보가 설치된 이후 낙동강, 금강, 영산강 등 대하천에서도 광범위하게 발생되고 있어 중요한 사회적 환경적 이슈로 대두되었다. 한편, 대하천에 설치된 보 구간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녹조현상의 원인에 대해서는 전 지구적 기온상승에 따른 기후변화의 영향이라는 주장과 유역으로부터 영양염류의 과도한 유입, 가뭄에 따른 유량감소, 보 설치에 따른 체류시간 증가 등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고 있으나, 대상 유역과 수체의 특성에 따라 녹조 발생의 원인이 상이하거나 또는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보편적 해석(universal interpretation)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각 수계별, 보별 녹조현상에 대한 정확한 원인분석과 효과적인 대책 마련을 위해서는 집중된 실험자료와 데이터마이닝 기법에 근거로 한 보다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2012년 보 설치 이후 남조류에 의한 녹조현상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낙동강 4개보(강정고령보, 달성보, 합천창녕보, 창녕함안보)를 대상으로 집중적인 현장조사와 실험분석을 수행하고, 수집된 기상, 수문, 수질, 조류 자료에 대해 통계분석과 다양한 데이터모델링 기법을 적용하여 보별 남조류 우점 환경조건과 이를 제어하기 위한 주요 조절변수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 보 별 수질과 식물플랑크톤의 정성 및 정량 실험은 2017년 5월부터 2018년 11월까지 2년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남조류 세포수 밀도와 환경요인과의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고, 단계적 다중회귀모델(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s, SMLR), 랜덤포레스트(Random Forests, RF) 모델과 재귀적 변수 제거 기법(Recursive Feature Elimination using Random Forest, RFE-RF)을 이용한 변수중요도 평가,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 DT),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기법 등 다양한 모수적 및 비모수적 데이터마이닝 결과를 바탕으로 각 보별 남 조류 우점 환경요인을 종합적으로 해석하였다.

  • PDF

Effects of Salix subfragilis communities on water quality in Namgang Dam reservoir (남강댐 선버들 군락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

  • Kim, Ki Heu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5 no.12
    • /
    • pp.1065-1076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expansion and withering of Salix subfragilis communities on the water quality in Namgang Dam reservoir. The distribution area of the Salix subfragilis communities was 0.12 km2 in 2003 for the first time, but it was 3.58 km2 in 2019, which has increased rapidly by about 30 times in 16 years. However, in 2013, the distribution area has decreased by 0.17 km2 due to long-term immersion in high turbidity, and self-thinning in Salix subfragilis communities. The lake characteristics of reservoir showed a combination of lake type and river type in terms of average water depth, watershed area/lake surface area ratio, water residence time, flushing rate, and stratification. From the result of analyzing long-term changes in lake water quality, COD, TP, and chlorophyll-a in Salix subfragilis communities were significantly larger than those in the three points located in the central part of reservoir. In particular, the fact that the value of chlorophyll-a showed the maximum value in winter rather than summer, unlike the trend of the three points in the Namgang Dam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is thought to have occurred internally rather than externally. It can be estimated that one cause of this deterioration of the water quality in Namgang Dam reservoir is the huge amount of nutrients generated in the decomposition process of by-products such as fallen leaves, branches and withered trees in Salix subfragilis communities.

Research on ANN based on Simulated Annealing in Parameter Optimization of Micro-scaled Flow Channels Electrochemical Machining (미세 유동채널의 전기화학적 가공 파라미터 최적화를 위한 어닐링 시뮬레이션에 근거한 인공 뉴럴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 Byung-Won Min
    • Journa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vergence
    • /
    • v.9 no.3
    • /
    • pp.93-98
    • /
    • 2023
  • In this paper,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based on simulated annealing was constructed. The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the parameters of micro-scaled flow channels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the channel shape was established by training the samples. The depth and width of micro-scaled flow channels electrochemical machining on stainless steel surface were predicted, and the flow channels experiment was carried out with pulse power supply in NaNO3 solution to verify the established network model. The results show that the depth and width of the channel predicted by the simulated anneal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with "4-7-2" structure are very close to the experimental values, and the error is less than 5.3%. The predicted and experimental data show that the etching degree in the process of channels electrochemical machining is closely related to voltage and current density. When the voltage is less than 5V, a "small island" is formed in the channel; When the voltage is greater than 40V, the lateral etching of the channel is relatively large, and the "dam" between the channels disappears. When the voltage is 25V, the machining morphology of the channel is the b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