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복지재단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29초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의 창작활동 지원에 대한 길버트와 테렐 분석틀의 적용과 활성화 방안 (The Proposal and Analysis by Gilbert and Terrell on Supports for Creative Activities of Korean Artists Welfare Foundation)

  • 정지영;정호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7호
    • /
    • pp.409-418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이 설립된 2012년 이후부터 최근까지의 창작활동에 대한 지원사업을 고찰하고 개선점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에 분석틀로써 길버트와 테렐(Gilbert and Terrell)의 네 가지 측면인 할당, 재정, 급여, 서비스 전달체계의 측면에서 각각 분석의 결과를 도출하고 드러난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할당의 대상으로서 예술인의 규정이 모호하며 다양한 급여의 형태와 전달체계가 현실적으로 적절히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부분이 있었다. 재정마련에 있어서도 국고이외에 보다 적극적이고 새로운 확보의 방안이 만들어져야 한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예술인 지원대상구분에 대한 연구, 일회성이 아닌 장기적인 재원확보 및 현실적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서비스 전달체계 등과 같은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자연환경교육확충을 위한 표본조사 연구-국립공원의 환경교육장화를 중심으로

  • 한국자연공원협회
    • 공원문화
    • /
    • 통권9호
    • /
    • pp.25-30
    • /
    • 1978
  • 본 연구는 산학협회의 기반구축과 국민복지향상을 위하여 자연환경교육장 조성이 가능한 국립공원지역을 연차적 계획에 따라 연구확충 할 것을 목표로 한국산학협동재단의 특수사업을 위한 연구비 지원으로 당협회에서 수행한 "자연환경교육확충을 위한 표본조사연구" 결과를 요약 게재한 것임.

  • PDF

2/4분기 우수 IP 시상식

  •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 디지털콘텐츠
    • /
    • 8호통권75호
    • /
    • pp.41-43
    • /
    • 1999
  • 국내 우수 IP를 홍보하여 정부의 수요를 촉진하고, 사업의욕을 고취하기 위하여 매일경제신문사, 조선일보사,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가 주최하고, 6개 PC통신사가 주관하며, 정보통신부가 후원하는 2/4분기 우수 IP 시장식이 지난달 있었다. 우수 IP로 공공부문에 사랑의 전화복지재단, 생활부문에 (주)브라이트시스템즈, 전문부문에 다오넷, 오락부문에 (주)넥슨이 선정되었다.

  • PDF

People III-김종태 평화의 마을 원장

  • 최정관
    • Social Workers
    • /
    • 11호통권55호
    • /
    • pp.42-43
    • /
    • 2006
  • 재단법인 인촌기념회는 제20회 인촌상 수상자를 발표하고 지난 11일 시상식을 가졌다. 본지는 공공봉사부문을 수상한 대전 평화의 마을에서 김종태 원장을 만나 수상 소감과 함께 원로 사회복지사로서 느끼는 현 사회복지계에 대한 진솔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김종태 원장은 중앙신학교(현 강남대학교) 사회사업과를 다니다 1957년 고 함석헌 옹이 운영하는 씨알농장에서 공동체 운동을 시작했다. 그는 1967년 홀트아동복지회 일산복지타운 원장을 지내다 1987년부터 아동생활시설인 대전 평화의 마을을 운영하고 있다. 1990년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대 대학원에서 사회사업복지 과정을 공부하기도 한 김종태 회장은 40년 동안 봉사활동만을 하며 생활시설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도입해 전국으로 전파한 공을 인정받아 인촌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 PDF

한국의 여성복지와 사회복지정책 (Women's Welfare and Social Welfare Policy in Korea)

  • 안동화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제1권2호
    • /
    • pp.49-55
    • /
    • 2022
  • 여성복지는 단순히 전반적인 사회복지의 틀속에 머무르기 보다는 여성중심적이고 독립적인 복지시행노선을 표방할 필요가 있다. 상당수의 기존의 여성복지 프로그램들은 가부장적인 전제하에서 다분히 여성보호적인 경향을 보여 왔다. 그러나 앞으로의 여성복지는 여성들로 하여금 가족이라는 한정된 틀을 벗어나 한 개인으로써 삶의 질을 높힐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여성에게 의존하는 가족을 보호하는 것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는 것도 여성복지의 중요한 측면이라고 하겠다. 즉 아동이나, 장애인, 노인을 돌보야 하기 때문에 노동 참여의 기회를 잃어 버린 여성에게 그 대가를 정부에서 경제적으로 직접 간접 보상해 주는 방안도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그밖에 사회교육을 통하여 재생산활동에 남성의 참여를 유도하여 가족에 대한 여성의 의무를 완화시킴으로써 복지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DA의 국내·외적 동향과 한국사회복지계의 과제에 관한 연구 -부산 OECD 세계원조총회(HLF-4)를 계기로- (A Study on the ODA Trends and the Tasks of Korean Social Work Community)

  • 이창호
    • 사회복지연구
    • /
    • 제43권1호
    • /
    • pp.305-337
    • /
    • 2012
  • 2011년 말 부산에서 열린 OECD 세계원조총회(HLF-4)는 전세계 160개국의 장관급 및 유엔, 기업, 민간 재단, NGO 대표 등 2,000여명이 참석, 개발도상국의 사회복지 문제를 해결할 중요 재원중 하나인 ODA(공적개발원조)의 원조효과성을 재논의 하는 중요한 국제회의였다. 그러나 이같이 사회복지와 관련된 중요한 국제회의에 당시 국내 및 국외의 전문사회복지(social work)계 대표단체들은 거의 그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왜 그 같은 현상이 발생했을까? 본 연구는 바로 이 같은 문제의식에서 전문사회복지계가 개도국 사회복지 문제해결에서 과거 어떤 국제적 리더쉽을 행사했고, 또 어떻게 그 리더쉽을 잃어갔는지의 역사적 과정과 그 이유를 살펴보았다. 또한 그 같은 경험을 바탕으로 이제 막 국제사회복지에 대해 관심을 갖기 시작한 한국 사회복지학계 및 현장이 향후 준비해야 할 과제들을 탐구해 보았다.

민관협력방식의 지자체 시민복지기준 제정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Setting-up the Civil Welfare Standard through Public-Private Partnership in Local Governments)

  • 고은주;경승구;이용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605-618
    • /
    • 2019
  • 본 연구는 2012년 이후 10개 지방자치단체가 제정한 '시민복지기준'의 개념, 제정과정, 분야와 내용 및 이에 근거하여 독자적으로 실시하는 지역사회복지사업 등을 비교분석하여 다양한 지방자치단체들이 향후 시민복지기준을 제정할 경우 필요한 제정 방식과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먼저, 시민복지기준 개념을 시작부터 현재 우리나라에서의 이해를 역사적으로 분석하고, 10개 지자체가 제정한 시민복지기준의 개념을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10개 지자체에서 지방자치제도와 주민참여라는 관점에서 실시된 민관협력방식의 시민복지기준 제정과정, 분야와 내용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러한 비교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다른 지자체들이 시민복지기준을 제정할 경우 고려해야 하는 몇 가지 원칙들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지자체의 시민복지기준 제정은 달성하고자 하는 단기 최저기준과 중기 적정기준을 구분하여 이를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 사업을 개발하고, 사업을 실시하기 위한 예산지원도 필요한 시민사회단체, 연구기관, 지자체 집행부, 의회 등이 함께 해야 하는 중장기 민관협력 프로젝트라는 것을 인식하는 것을 지적하였다.

전동휠체어 및 의료용스쿠터의 국내·외 안전성 평가기준 비교 분석 연구 (Comparative Analysis of International and Domestic Safety Assessment Criteria for the Powered-Scooter and the Electric-Wheelchair)

  • 전성철;서정희;임희철;이창형;신용일;정덕영
    • 재활복지
    • /
    • 제16권3호
    • /
    • pp.421-437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전동휠체어 및 의료용스쿠터(이하 휠체어)의 국내·외 평가기준을 조사하고 비교·분석하여 국내 여건에 적합한 기준규격의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국내 기준규격의 개선항목은 문헌조사 및 전문가 자문을 통하여 도출하였다. 국내 "전자의료 기기 기준규격 50. 전동휠체어 및 의료용스쿠터" 기준규격을 국외 규격(ISO 7176 series, JIS T 9203, JIS T 9206, JIS T 9208, EN 12184)과 비교하였다. 휠체어의 성능과 안전성에 직결되는 일반 권장사항, 성능의 권장사항, 전기적 특성, 기타 권장사항의 항목과 기준치에 대하여 재검토를 하였다. 현행 기준규격의 개선점을 도출하고 개선이 필요한 평가항목(최대속도, 브레이크 시스템, 조명등과 반사경 등)에 대하여 개정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참조자료를 정리하였다. 이에 휠체어 관련 국내·외 기준규격의 비교·분석을 통해 국내 현실에 적합한 기준규격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작성하였다.

사회복지 프로그램 제안서에 나타난 프로그램 디자인 활동의 특성에 대한 연구 (A Content Analysis on the Program Design Activities in the Proposals for Social Work Programs in Korea.)

  • 서인해;공계순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0권1호
    • /
    • pp.103-125
    • /
    • 2008
  • 본 연구는 프로그램 디자인 활동의 결과물인 제안서의 분석을 통하여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 디자인 활동의 특징들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은 민간복지재단에서 전국의 사회복지실천현장을 대상으로 공모한 사업에서 2005년 및 2006년도에 제출된 노인복지분야의 73개 제안서이다. 분석방법으로는 내용분석을 사용하였으며, 프로그램의 일반적인 특성과 프로그램 디자인의 특성에 관하여 주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서는 제안서의 구성과 작성하는 방법이 공모사업에서 이미 정형화가 되어 있지만 개별적인 제안서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 구성요소상의 디자인 활동은 매우 다양하며, 구성요소의 영역별로 질적인 측면에서 수준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로그램 제안서 작성에서 프로그램 디자인 구성요소의 개념 및 요소간의 논리성, 조사기술의 적용, 실천현장에서의 구체적인 절차화와 관련된 다양한 어려움과 혼란도 나타나고 있었다. 끝으로 실천현장의 이러한 프로그램 디자인 활동의 어려움과 혼란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연구, 교육, 실천적 과제를 제시하였다.

  • PDF

무선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독거노인 활동량 모니터링 시스템 (Activity Volume Monitoring System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 for the Elderly)

  • 최경선;전중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74-776
    • /
    • 2014
  • 노령층의 증가로 인하여 독거 노인층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독거 노인은 외부의 침입이나 갑작스런 건강상의 문제로 위험에 처해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독거 노인의 의료복지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독거 노인의 의료 복지에 적용할 수 있는 활동량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은 저 전력으로 동작하는 지그비 임베드 네트워크와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전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U-Health 케어 개념으로 활동량과 혈압 등의 인체 정보를 일상 생활 속에서 병원 및 보호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미래의 독거 노인 원격진료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