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복지공급

Search Result 234,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Civic Participation in Supply Process of the Japanese Welfare Services : Focused on the Emergence and the Effects of "Non-Profit Citizen Welfare Organization" (일본 사회복지서비스 공급과정에서의 시민참가: '비영리시민복지사업단체'의 등장과 그 효과를 중심으로)

  • Kim, Ji-Mi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1 no.2
    • /
    • pp.137-15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ivic participation in supply process of social welfare services in the Japanese communities and to detect the background that how "Non-profit citizen welfare organization" emerged as a social welfare service supplier of local government. Furthermore the effect of Non-profit citizen welfare organization on the expansion of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women is also analyzed in this stud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non-profit citizen welfare organization as a social welfare service supplier, this study approached not only from the viewpoint of the trends of welfare pluralism followed by the crisis of welfare states, but also from the viewpoint of how local government solve the problems of consumption flexibility on welfare services. In addition, to examine the effects of Non-profit citizen welfare organization on the expansion of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women, a case study on the employment function of non-profit citizen welfare organization is also carried out in this study. The various background how non-profit citizen welfare organizations emerged and the employment effect from those organizations are empirically analysed through the methods mentioned above.

  • PDF

A Comparative Study on the Water Welfare in Gyeongsangbukdo (경상북도 물복지 수준의 비교연구)

  • Lee, Do Keyung;Ahn, Seung Seop;Park, Ki Bu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66-466
    • /
    • 2021
  • 우리나라는 강수량과 수자원 부존량을 고려할 때 물 부족국가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홍수와 물이용 등에 대한 국가적 평가나 물환경에 대한 평가지표는 개발된 바 있으나 물과 관련된 복지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최근의 국내외 연구에서 물의 공급에 대한 만족도나 홍수에 대한 안정성 등에 대한 평가수단으로 국제적으로 물 빈곤지수 등이 제시되어 있지만, 물의 이용에 관한 복지적 개념이나 평가에 대한 연구는 기초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각 시군에서 매년 발간되는 통계연보를 이용하여 물의 공급과 이용 그리고 물 공급 인프라, 물 사용료, 하수처리비용 등과 같은 요금체계 등을 감안한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23개 시군에 대하여 물복지 수준에 관한 평가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수자원분야 지표에서는 울진군, 기반시설 분야지표에서는 대구광역시, 용수공급 분야에서는 영천시, 사용자 분야에서는 영덕군, 경제성 분야에서는 봉화군이 가장 물복지 수준이 좋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전체적으로 가장 물복지 수준이 좋은 곳은 문경시로 분석되었다. 또한 도시화율이 높고 인구가 많은 곳이 기반시설 분야에서는 우수한 편이나 전체적으로는 오히려 대도시보다는 중소도시의 물복지 수준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 PDF

Analysis of Supply Patterns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of the Welfare Center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장애인복지관 평생교육 프로그램 공급 패턴 분석)

  • Kim, Doo Young;Lee, Sang Jin;Kim, Ho Yeon
    • 재활복지
    • /
    • v.22 no.1
    • /
    • pp.1-26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peration status and supply patterns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o find ways to enhance lifelong education functions of the welfare center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For the study, 1,496 lifelong education programs supplied by 104 disability welfare centers nationwide in 2016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provided by the welfare center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1,496, which provided an average of 14.4 programs per institution. According to the education cycle, the most operating program was 3~4 times a month, and the most operating program was more than 7 months by education period. Furthermore adult target program by main target and self management program by operating type were the most. Second, the analysis of the supply patterns of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showed that 53.5%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culture and arts education was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the liberal arts education 22.3%, basic literacy education 10.1%, and vocational ability improvement education 9.2% appear.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pply patterns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pply patterns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by metropolitan area, non - metropolitan area, region and urbanization level.

A Study on the Supply Status and Methods of Improvement for Social Welfare Facilities -Focused on the Senior·Child·Disabled Welfare Facilities- (사회복지시설 공급현황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노인·아동·장애인 복지시설을 중심으로-)

  • Choi, Byung-so;Lee, Myeong-H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8
    • /
    • pp.337-355
    • /
    • 2021
  • Demographic changes such as an aging and low fertility, as well as changes in industrial structure and residential environment, revealed the limitations of urban development policies. Accordingly, the government is making efforts to ensure a prosperous life for the people by including the plan to expand the living SOC in the national urban regeneration policy. The main priority tasks of the Living SOC include the establishment of welfare infrastructure for children and the vulnerable. This means that interest in welfare is increasing recently.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supply status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senior, child and the disabled in 17 cities and provinces nationwide using LQ (Location Quotient). After analyzing the causes of the imbalance in the supply of welfare facilities by region, the improvement plan was suggested. Each welfare facility was highly localized by region, especially the accessibility gap between cities and provinces is very large. Welfare finances were similar in most cities and provinces, with the exception of some cities and provinces. In the case of cities with very high living standards, sufficient facilities were not provided. Improvement methods are as follows; Combination of welfare facilities that can maximize space efficiency, Securing appropriate welfare finance in consideration of living standards by city and province, Differentiation of supply method considering demand and user types for welfare facilities.

Evaluation of water welfare by population change (인구변화에 따른 물복지 수준 평가)

  • Lee, Do Kyeong;Kim, Mi Jung;Lee, Hyo Jin;Park, Ki Bum;Ahn, Seung 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38-238
    • /
    • 2020
  • 물복지라고 하는 것은 국민들이 사회적 지위, 경제적 능력, 주거위치 등등에 상관없이 평등하게 물 서비스를 받는 것이다. 그러나 사회가 변화하고 고도화됨에 따라 단지 물공급만의 문제가 아니라 수환경, 물의 사용에 따른 비용지불 등 여러 가지 요소들이 물을 사용하고 물환경을 이용하는 측면에 있어 평등하게 제공되고 있는지 검토하여야 한다. 대도시와 소도시 그리고 시군구 지역들이 대도시와 공평한 물공급과 물환경을 제공받고 있지는 않은 것이 사실이다. 또한 경제적 수준에 따라서 물공급에 대한 부담감을 느끼는 것도 당연한 사실이다. 이러한 물복지는 최근에 들어서 과거 물스트레스, 물빈곤과 같이 물을 사용하는 데 있어 부족한 측면에 대한 연구에 비해 부족한 현실이다. 우리나라는 빠른 속도로 인구가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인구변화 속도는 과거 용수공급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지속적으로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물 수요도 증가하여 물부족이 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수자원기술과 물처리능력 등의 발달로 인해 우리나라는 걱정한 만큼의 물부족은 발생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앞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인구감소에 따른 물 복지수준에 따른 평가가 필요한 시점이다. 단지 물을 사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물을 사용함에 있어 느끼는 부담감, 만족감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물복지를 평가하기 위해 여러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인구수의 변화와 상수도 요금, 하수도 요금등의 변화와 물공급 기반시설, 그리고 물환경의 변화등을 검토하여 물복지를 평가할 수 있는 인자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향후 인구변화에 따른 물이용에 따른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 PDF

An Empirical Study on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Social Service Agencies: Comparative Analysis of Distance and Space-time Measures (사회복지시설의 공간접근성에 관한 실증연구 - 거리측정과 시간거리측정에 대한 비교분석 -)

  • Hong, Hyun-mee-ra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no.37
    • /
    • pp.35-62
    • /
    • 2008
  • This study starts form the inequity of the spatial accessibility in social services. This study has purpose to descript and analyze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social service agencies. While analysing the spatial accessibility, this paper uses comparative method of distance and space-time measures. The results of research are as follows; It needs (1) to enhance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the aged and the disabled. (2) to facilitate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marginal area or community like rural community. (3) to recognize utilities of distance and space-time measures in the spatial accessibility.

경제학적 접근을 통한 수자원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 박두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2a
    • /
    • pp.281-329
    • /
    • 2004
  • 수자원정책에 있어 정부의 목표는 무엇인가\ulcorner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궁극적인 목표는 "안정적인 용수의 공급을 통한 국민복지의 극대화"일 것이다. 안정적인 용수의 공급은 산업발전, 국민보건 및 생태계의 보존 등 국민의 복지증진을 위한 기본적인 요소이기 때문이다. 그러면 안정적인 용수의 공급이라는 정부의 수자원정책 목표를 달성함에 있어 장애요인은 무엇인가\ulcorner 다름 아닌 자원의 희소성, 즉 용수가 경우에 따라서는 부족하다는 것이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