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복원력

Search Result 435,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Development of a New Resilience Index Considering the Residual flow of Urban Drainage System (도시 배수 시스템의 잔류 유량을 고려한 새로운 복원력 지수 개발)

  • Kim, Young Nam;Lee, Eui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57-57
    • /
    • 2021
  • 최근 급격한 도시화와 기후변화로 인해 도시의 홍수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복합적인 재난으로 악화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복합재난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재해발생 전·후 대응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복원력 개념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도시 배수 시스템의 복원력은 대상유역의 면적과 절대적인 침수량에 따라 좌우된다. 따라서 지역의 도시 배수 시스템의 복원력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 대상유역의 정보를 반영한 지역 맞춤형 복원력 지수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상유역의 정보를 반영하기 위해 도시 배수 시스템의 배수능력을 복원력 지수에 적용하였다. 도시 배수 시스템의 배수능력을 나타내기 위해 시스템 잔류유량을 분모로, 침수량을 분자로 하여 복원력 지수를 계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안된 새로운 복원력 지수를 대구 비산 빗물펌프장에 적용하였다. 강우자료는 재현기간이 100년, 200년 그리고 300년 빈도의 확률강우량을 사용하였으며, 지속시간은 30분, 60분 그리고 90분으로 설정하였다. 침수량과 시스템 잔류 유량은 1분 단위로 EPA SWMM을 통해 값을 구하였다. 시스템 잔류 유량을 기반으로 하는 복원력 지수는 최소 0.995029에서 최대 0.998662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도시 배수 시스템 잔류 유량 기반 복원력 지수는 배수 시스템의 처리 능력을 반영한 지수라고 할 수 있으며 배수 시설의 설치, 교체 및 재건 등 수해 방재 계획 평가에 활용될 수 있다.

  • PDF

Sensitivity analysis of reginal drought resilience evaluation factors (가뭄재난 복원력 평가 인자의 지자체 별 민감도 분석)

  • Moon, Gihoon;On, Byeong Heon;Yoo, Do Gue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93-293
    • /
    • 2022
  • 가뭄은 시간적 지속성이 타 재난에 비해 길고 공간적 피해의 범위와 편차가 크다는 점에서 지역적 특성과 가뭄대응역량에 맞는 적절한 대응과 대책 마련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바 있는 지역적 가뭄복원력평가 방법론을 기준으로, 가뭄복원력 평가 인자의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가뭄복원력평가 인자는 4Rs (Robustness, Redundancy, Resourcefulness, Rapidity)을 기준으로 총 18개의 지표로 구성되어 있으며, 18개 지표를 산출하는 과정에서 활용되는 세부자료는 정량자료 19개와 담당자 설문조사를 통해 산정되는 정성자료 8개를 포함하여 총 28개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지자체의 복원력 평가 결과 기준, 등급별 1-2개 지자체를 민감도 분석의 대상으로 설정하고, 19개 정량자료 각각의 비율적 변화에 따른 복원력 결과의 변동성을 정량화하여 도출하였다. 또한 19개 정량자료 중, 연관성 및 계층적 관계성이 존재하는 주요 자료 그룹을 구분하고, 대상 자료의 동시적, 연쇄적 변화에 따른 복원력 평가 결과의 영향도를 정성,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가뭄 복원력에 기여하는 인자의 변화에 따라 가뭄 복원력의 증감 정도가 지자체 별도 상이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출된 민감도 분석 결과는 지자체의 현재 가뭄대응역량지표를 기준으로, 가뭄 복원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효율적 대책 및 계획 수립을 위한 의사결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termination of AHP-based factor weights for quantification of regional mega-drought resilience (지역별 메가가뭄 복원력 정량화를 위한 AHP기반 인자 가중치 결정)

  • Lee, Chanwook;Moon, Gihoon;Yoo, Do Gue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61-361
    • /
    • 2021
  • 가뭄의 경우 타 자연재난에 비해 발생경로, 피해범위, 발생기간 등이 매우 다양해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극한가뭄에 대비한 지자체별 가뭄 역량 평가를 수행하는 것은 재난관리에 있어서 최우선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국내외적으로 가뭄과 관련된 지역적 복원력을 평가한 사례는 매우 적다. 가뭄은 지진, 홍수 등과 같은 타 자연재난에 비하여 지속기간이 길고, 그 지속기간에 따라 피해의 영향 또한 파급력이 달라지므로 복원력 산정을 위한 항목, 복원력 곡선의 저하 형태 및 양상 역시 가뭄의 특성에 맞춰 도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별 극한가뭄에 대한 복원력 정량화를 위하여 가뭄과 관련된 내구성, 대체성, 신속성, 자원동원력의 세부인자를 정성인자와 정량인자로 구분하여 총 18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구성된 18가지 항목이 정량인자 뿐만 아니라 정성인자로 구성됨에 따라, 모든 인자를 동일한 가중치로 평가할 경우 최종결과가 상대적 중요도의 미 고려로 인해 왜곡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계층적분석기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통해 내구성, 대체성, 신속성, 그리고 자원동원력에 대한 가중치와 내구성, 대체성, 그리고 신속성에 대한 세부 지표별 가중치를 도출하여 지역별 메가가뭄 복원력을 정량화 하였다. 분석결과를 동일한 가중치를 적용한 결과와 비교분석하였으며, 과거 가뭄사례를 통해 검토하였다.

  • PDF

Preparation and Configuration Method to Enhance Cyber Resilience (사이버 복원력 강화를 위한 준비 및 구성방안)

  • Sunoh Cho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190-192
    • /
    • 2023
  • 카카오 데이터 센터 화재 사건이나 콜로니얼 파이프라인 해킹 사건과 같이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공격이나 사고가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중요한 필수 서비스가 중단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이버 복원력이 관심을 받고 있다. 사이버 복원력은 사이버 보안에 추가해서 예측, 내구, 회복, 적응의 목적을 가진다. 이 논문에서는 사이버 복원력이 무엇인지 소개하고 사이버 복원력을 기술적인 관점에서와 제도적인 관점에서 소개한다.

Analysis of quantitative indicators for regional resilience evaluation under drought (지자체 가뭄역량평가를 위한 정량지표 분석)

  • Lee, Chan Wook;Hong, Sung Jin;Yoo, Do Gue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64-364
    • /
    • 2020
  •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재해발생의 빈도와 피해 심도가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연재해에 의한 피해복구에 소요되는 비용은 재해 피해액보다 크다. 선진국의 경우 이러한 재해발생 가능성을 두고, 피해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복원력에 초점을 맞추어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그러나 가뭄의 경우 타 재해에 비하여 지속기간이 길고 그 지속기간에 따라 피해의 영향이 지역별로 편차를 두고 달라지게된다. 따라서, 정확한 역량평가 결과를 제시하기 위해서는 가뭄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 복구능력이 탁월한 지역 등을 구분하고 평가하여 지자체가 갖고 있는 가뭄에 대한 역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 가뭄역량평가(복원력 평가)는 항목의 특성에 따라 크게 내구성, 대체성, 자원동원력, 그리고 신속성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는 각 항목별 가뭄 시 적용 가능한 정량적 복원력 지표 8개를 도출 하였으며 지자체별 해당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다음으로 주요 지자체별 복원력 항목 값을 정규화 하여 표준점수화 하였다. 제안된 방법론은 향후 개별 항목특성에 맞는 정량화 방법, 항목별 가중치 부여방법, 그리고 정성지표 고려 등과 같은 지속적인 추가연구가 진행되어야 하지만, 제안된 복원력 정량지표와 그 결과는 지역적인 가뭄에 대한 지자체별 역량강화전략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 PDF

Predictors of Resilience in Adolescents with Cancer (소아암 청소년의 복원력 예측 요인)

  • Park, Young-Ok;Son Hong, Gwi-Ryung;Tak, Young-Ran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v.19 no.3
    • /
    • pp.177-186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edictors influencing on resilience in adolescents with cancer. Method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107 parents and 107 adolescents who aged ten and eighteen diagnosed with cancer more than six months and currently receiving outpatient treatment or further management after off-therapy. Data was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Resili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religion (t=2.472, p=.045) and number of cancer treatment regimens (F=3.155, p=.047). Family problem-solving communication was also significant by number of cancer treatment regimens (F=3.582, p=.031). The higher social support showed the stronger family hardiness and the better family problem-solving communication. In addition, a positiv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Family Hardiness Index (FHI) (r=.193, p=.046), Family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FPSC) (r=.226, p=.019) and resilience of adolescents with cancer. FPSC (${\beta}$=.356, p=.045) and religion (${\beta}$=.441, p=.002) were predictive factors at ages 10-12, FHI (${\beta}$=.509, p=.029) and FPSC (${\beta}$=.503, p=.037) were predictive factors at ages 13-15 on resilience of adolescents with cancer that explained 16.0% and 24.3% respectively.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nursing interventions should focus on enhancing family resilience and resilience of adolescents with cancer.

Evaluation of Disaster Resilience Scorecard for the UN International Safety City Certification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인천시 UN 국제안전도시 인증을 위한 재난 복원력 스코어카드 평가)

  • Kim, Yong-Moon;Lee, Tae-Shi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13 no.1
    • /
    • pp.59-75
    • /
    • 2020
  • This study is a case study that applied 'UNDRR's Urban Disaster Resilience Scorecard', an evaluation tool necessary for Incheon Metropolitan City to be certified as an international safe city. I would like to present an example that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corecard contributed to the Incheon Metropolitan City Disaster Reduction Plan. Of course, the Disaster Resilience Scorecard can't provide a way to improve the resilience of every disaster facing the city. However, it is to find the weakness of the resilience that the city faces, and to propose a solution to reduce the city's disaster risk. This is to help practitioners to recognize the disaster risks that Incheon Metropolitan City faces. In addition, the solution recommended by UNDRR was suggested to provide resilience in areas vulnerable to disasters. It was confirmed that this process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disaster resilience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UNDRR has been spreading 'Climate Change, Disaster-resistant City Creation Campaign', aka MCR (Making Cities Resilient) Campaign, to cities all over the world since 2010 to reduce global cities' disasters. By applying the disaster relief guidelines adopted by UNDRR, governments, local governments, and neighboring cities are encouraged to collaborate. As a result of this study, Incheon Metropolitan city's UN Urban Resilience Scorecard was evaluated as a strong resilience field by obtaining scores of 4 or more (4.3~5.0) in 5 of 10 essentials; 1. Prepare organization for disaster resilience and prepare for implementation, 4. Strong resilience Urban development and design pursuit, 5. Preservation of natural cushions to enhance the protection provided by natural ecosystems, 9. Ensure effective disaster preparedness and response, 10. Rapid restoration and better reconstruc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other five fields, scores of less than 4 (3.20~3.85) were obtained and evaluated as weak resilience field; 2. Analyze, understand and utilize current and future risk scenarios, 3. Strengthen financial capacity for resilience, 6. Strengthen institutional capacity for resilience, 7. Understanding and strengthening social competence for resilience, 8. Strengthen resilience of infrastructure. In addition, through this study, the risk factors faced by Incheon Metropolitan City could be identified by priority, resilience improvement measures to minimize disaster risks, urban safety-based urban development plans, available disaster reduction resources, and integrated disasters. Measures were prepared.

그래핀 투명전극의 벤딩에 대한 복원력 연구

  • Park, Jun-Gyun;Kim, Yeong-Hun;Jeong, Yeong-Jong;No, Yong-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5.08a
    • /
    • pp.162.2-162.2
    • /
    • 2015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투명전극은 벤딩에 의한 인장(tensile) 및 압축(compressive) 스트레스 하에서도 전극의 특성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기존 OLED소자의 투명전극으로 사용되던 인듐산화물(ITO, Indium Tin Oxide)는 인듐(Indium)의 희소성 문제뿐만 아니라 벤딩에 대한 복원력이 나쁜 것으로 알려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벤딩에 강하고 복원력이 우수한 투명전극 재료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PEN (Polyethylene Naphthalate) 유연기판 상에 그래핀(Graphene)전극을 구현하여 벤딩에 대한 저항특성을 관찰하였고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Aluminum 전극과의 비교를 통해 광효율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플렉서블 OLED용 전극구현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일반적으로 Al금속은 인장 스트레스를 받음에 따라 저항이 증가하고 다시 복원되면 저항이 감소하는 특성을 갖고 있는데 인장 스트레스에 따라 저항과 늘어난 길이와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R/R0=(L/L0)^2$ ----------------------------------------- (1) 그러나 반복된 스트레스가 가해질 경우 Al 금속 전극은 복원력을 잃고 저항이 원래대로 돌아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반해 그래핀은 벌집모양의 구조를 갖고 있어 벤딩에 대한 강도가 셀 뿐만 아니라 고탄력으로 인해 복원력이 우수하여 여러 싸이클(cycle)의 벤딩 실험에 의해서도 복원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었다. Al 금속 전극의 경우 벤딩 각도 또는 정도에 따라 복원력이 유지되는 구간이 있으나 반복적인 벤딩 싸이클에 의해 복원력이 감소하여 인장 스트레스에 의한 저항 증가 후 스트레스 제거 시 저항 감소가 되지 않는데 24시간 동안 전기 저항 변화를 관찰하면 수시간 후에나 저항이 어느 수준까지만 복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복원에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에서 그래핀과 비교가 된다.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y) 분석을 통해 인장 스트레스 인가/제거를 반복함에 따라 Al 금속표면이 표면에 열화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그래핀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높은 투과도와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그래핀 투명 전도성 전극이 다양한벤딩 조건에서도 뛰어난 복원 특성을 보이는 것을 밝혀내어 차세대 투명 전극 물질로 개발하고자 하였다.

  • PDF

해양선박 대상 사이버 복원력 연구 동향

  • Areum Ko;HeeWon Choi;Seungho Jeon;Jung Taek Seo
    • Review of KIISC
    • /
    • v.33 no.6
    • /
    • pp.55-63
    • /
    • 2023
  • 현대 해양선박은 PLC 등 기존의 OT 시스템과 선박자동식별시스템 등 IT 시스템의 접목으로 스마트선박, 자율운항선박으로 진화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 통합은 공격이 가능한 접점이 늘어나며, 이는 사이버보안 위협을 증가시키고 있다. 선박은 대부분 항만으로부터 고립된 환경에서 운영되기 때문에 사이버공격이 발생 시 외부의 기술 지원이나 긴급대응이 어려워진다. 이러한 배경으로 해양선박을 대상으로 하는 사이버 복원력은 해양선박 환경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잡고 있다. 본 논문은 해양선박 환경 표준 통신 네트워크인 SAN을 분석하고, 사이버 복원력을 소개한 후, NIST의 사이버 복원력 모델을 기반으로 해양선박 대상 사이버 복원력 연구를 분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