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복식체계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3초

19세기 프랑스 패턴북에 나타난 남성복식체계 및 유형변화 - 겉상의의 외투류 및 중간겉상의를 중심으로 - (Study on the System and Evolution of Type of Men's Costume on the Pattern Books of France in the 19th Century - Focusing on Overcoat and Top-exterior-and-interior(outside) -)

  • 김양희;류경화
    • 복식
    • /
    • 제66권8호
    • /
    • pp.157-172
    • /
    • 2016
  • This study aims to present findings of historical design trends of men's fash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the types of overcoats and mid jackets shown in French pattern books of the 19th century. The primary data sources for this study comprised one pattern book, each of the17th and 18th century, and 15 pattern books of the 19th century, all of which are conserved by the French National Library. The study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analysis of men's fashion trends and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by type as shown in French pattern books of the 17th to 19th centuries. Second, analysis of the evolution of type of men's overcoats and top-exterior- and-interior (outside) styles shown in French pattern books of the 19th century. As a result, a total of 69 type references were collected from French pattern books of the 17th to 19th centuries. Historically, men's fashion was largely classified into top-exterior, top-exterior-and-interior, top-interior, bottoms and accessories. The two major classifications were as follows: top-exteriors overcoats and robes, And top-exterior-and-interior as top-exterior-and-interior(outside) and top-exterior-and-interior (inside). The study also identified the forms and changes by type. Additionally, this study selected overcoats and top-exterior-and-interior(outside) which fall under typical categories to show the change in the forms of men's fashion of the 19th century. These changes in the types were designated as: continued, faded away, newly appeared and transformed. This study analyzed the time of appearance of the forms by the year of publishing in conjunction with cultural references from prev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ime of changes in the types shown in pattern books did not deviate from the mainstream, which verified their typicality.

영국의 패션 및 직물 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f Fashion and Textile Design Education in the UK)

  • Choo, Tae-Gue
    • 복식
    • /
    • 제33권
    • /
    • pp.55-72
    • /
    • 1997
  • 우리나라 복식산업의 전문인력 양식은 주로 대학교나 전문학원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수적인면에서는 충분한 인력이 양성되고 있다. 그러나 질적인 면에서 산업체에서 요구되는 역량을 가진 전문인은 부족한 편이다. 이에 따라 산업체의 요구에 부합하는 인력야성을위하여 교육과정의 개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기교육 산학협력 및 산업체 현장실습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영국의 복식관련학과에 대하여 조사해 봄으로써 우리 교육의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영구의 경우 다양한 자격증 및 학위과정이 개설되어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학사학위에 해당되는 BA 및 Bsc만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조사 문헌조사 및 사례연구를 통하여 현황 및 교과과정을 분석하였다 영국의 복식관련학과들은 그 교과과정 및 내용에 따라 크게 6개 전공분야로 분류되었으며 각 하과는 다시 세분화되어 전문성이 있는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수업연한 및 과정의 형태에 따라 5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이유형 중 특히 일년간의 현장실습을 학위과정으로 포함시켜 의무적으로 산업체에 근무하도록 되어있는 Sandwic Mode는 적극적인 산학협력의 한 형태로 매우 효율적으로 평가되는 교육체계이며 여러다른 학문 분야에서도 널리 활용되고 있는 체계이다. 교수진의 경우 전임교원이 수적인 면에서 다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관련 산업체 인사 등을 시간강사로 고용함으로써 이를 보완 할 뿐 아니라 산학연계를 이루고 있었다. 또한 전임교원의 경우 주로 학사 혹은 석사의 학력을 가지고있었다. 그러나 모든 전임교수 뿐 아니라 시간강사의 경우도 산업체 경력을 필수 적으로 가지고있어 고학력위주의 우리나라 실정과는 매우 상이했다. 교과과정에 대한 사례연구에서 직물디자인에 집중된 2개 과의 교과과정을 보았으며 그중 한 개 과는 다시 편물 프린트 및 직물 디자인의 3분야로 세분화되어 심도 있는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살펴보았다 또한 다른 3개의 예에서 볼수있듯이 2개 이상의 전공코스를 도입하여 공통과목과 전공 코스 과목을 둠으로써 시설 및 인적 자원의 활용 등 운영상 효율성을 추구함을 알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의 경우 전문화된 코스의 선택을 할수 있게 하였다 이런 실례는 전문인력양성이 매우 필요하고 따라서 전공코스제의 도입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이시점에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수 있으리라고 생각된다. 영구의 교육이 우리나라 실정에 그대로 적용될 수는 없지만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고려하여 우리교육을 개선해 나갈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첫째 교수진 인적 물적상황 및 지역적 상황등을 분석하여 각 대학별로 그 특성에 맞는 세분화되고 심도있는 전공교육과정을 개발 발전시켜 야 할 것이다 둘째 산업체 방문 산업체인사와의 면담 및 특강 등 산학협력을 좀더 적극적으로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학생들의 산업체 현장 연수를 실질적으로 도입하여 산업체의 인력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처 할수 있어야 하겠다.

  • PDF

빅토리아시대 유행복식과 반(反)유행복식 운동에 나타난 여성성자 인체미에 관한 연구 (I) (Study on the Femininity and the Ideal Beauty of Body Implied in the fashion and the Anti-fashion Movement in the Victorian Period (I))

  • 김정선;김민자
    • 복식
    • /
    • 제51권2호
    • /
    • pp.169-180
    • /
    • 2001
  • This paper is intended to explore femininity, the ideal beauty of body and the features in fashion pursued in the fashion system and the Anti-Fashion Movement in the Victorian period, on which the modern fashion is based. For the informative facts needed in this paper, books on history, fashion history, feminism, art history of aestheticism and tole ideal beauty of body are referred to. On the part I of this paper, the femininity and the ideal beauty of body implied in the fashion system in the Victorian period will be reviewed. following are the conclusion : First, in the Victorian period, the value of femininity is put on the body of female by the discrimination of sex divided in two. Consequently, the characteristics of femininity mainly include dependence, passiveness, emotion, beauty, maternity, innocence, and purity. To emphasize the function of reproduction as primary duty and nature of female, the ideal beauty of body is represented in the form of Venus Naturalis, which symbolizes the fertility. And the external form of this body is expressed in slum waist line, ample busom and hip in fashion. Second, the features of this fashion a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by their internal value : images of subordinate female, sensual female and maternal female 1) The image of subordinate female is expressed by concealment of legs, tightening the upper part of the body in corset and restriction on action by the crinoline 2) The image of sensual female is revealed in brazing colors and decoration, excessive exposure of the upper part of the body and hip by means of bustle. 3) The image of maternity is expressed in swollen skirt of crinoline, oval bustle silhouette metaphoring the extended womb resulted from pregnancy.

  • PDF

조선시대 군사 유삼(油衫)의 종류와 운용 체계 (Types and Management System of Military Raincoat, Yusam, of the Joseon Dynasty)

  • 박가영
    • 복식
    • /
    • 제64권7호
    • /
    • pp.143-155
    • /
    • 2014
  • This study focuses on Yusam, a military raincoat that was worn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types and management system of Yusam. Documentary records, paintings and relics were used as research materials. Yusam was recorded as either Yusam(油衫) or Yu-ui(油衣) in writing. It usually looked like a skirt and was worn like a cape,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length. Some of them took the form of a short coat with half-sleeves and side slits. Research analysis results of Silrok, Ilseongrok and the archives of the military camp in the later Joseon are as follows: First, Mokyusam and Jiyusam coexisted as military raincoats. Mokyusam was made with cotton and perilla oil, while Jiyusam was made with traditional Korean paper, a cotton edging and perilla oil. Second, the differences between general Yusam and military Yusam include the material of the clothing, the materials for waterproofing, the color, and the manufacturer. Third, each military camp supplied soldiers with hundreds to thousands of Yusam. Military officers and King's guards wore Mokyusam because Mokyusam was higher than Jiyusam. Fourth, soldiers Yusam together with Yujeongeon, Chorip, Galmo, or Hwihang as a hat. Fifth, the higher the rank, the higher the price of Yusam and the longer the term of usage. On the other hand, as the rank got higher, the cost of the supplementary oil rose, while the duration of usage got shorter.

패션 디자인을 위한 체계적, 직관적 접근방법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Systematic, Intuitive Approach for Fashion Design)

  • 최윤미
    • 복식문화연구
    • /
    • 제5권1호
    • /
    • pp.71-83
    • /
    • 1997
  • It is the important situation that the fashion industry is faced to enormous changes in the nation and worldwide market. To cope with this situations,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at the concept of fashion design and its proces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ings : 1. Fashion design is the process of problem solving including the steps of understanding problem, visualizing the image of a design concept. 2. The systematic and intuitive approach is harmonized to solve the process of fashion design. 3. The step of understanding problem is consist of the analysis of environments, the explanation of problem, the determination of purposes, the definition of problem and the visualizing the image of a design concept. 4. In the step of the visualizing the image of a design concept, the intuitive approaches can be clarifies as the importance of start, the step by step process, the determination of a design concept, the fixations of an image, the image realization through real objects, the diminution a difference between a concept and a visualizing the image and the necessity of exercises.

  • PDF

디자인보호법 물품구분표상 B군 의복 및 신변용품 분류체계 개선안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the Class B Articles of Clothing and Personal Belongings Design Classification under the Korean Design Protection Act)

  • 조경숙;조재신
    • 복식
    • /
    • 제64권5호
    • /
    • pp.76-90
    • /
    • 2014
  • The Design Protection Act of Korea classifies industrial designs into examined-based and unexamined-based articles. For design application and registration under the DPA, applicable product for the design needs to be chosen in order for it to be registered. Clothing and personal belongings under class B in the classification list are subject to unexamined-based articles. A sound and logical classification system will lead to higher administrative efficiency as well as assurance of more convenience for the system users. This paper examines the suitability of the design classification for clothing and personal belongings and purposes to suggest improvements.

일본 명치전기(明治前期) 경찰복 연구 (Study on the Police Uniform in Japan's Early Meiji Period)

  • 노무라 미찌요;이경미
    • 복식
    • /
    • 제65권4호
    • /
    • pp.31-44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troduction and establishment of the police uniform during Japan's early Meiji period, in order to get deeper understanding of the introduction of the modern uniform. The research method included a literature review of laws related to police uniform, which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 shows that the uniform stipulated by Keisi-cho Uniform regulation in 1874 included characteristics of Western uniforms that show the rank of the officers using emblems, such as different cap badges and uniform stripes, while maintaining the same form. Later, the modern uniform system came into form with the addition of a national symbol, building system of formal wear, separating uniforms for different classes, and adding additional uniforms. This illustrates the process of introducing and establishing western-style uniform in the East and can serve as a reference for similar studies.

Three-Dimensional Limit Equilibrium Stability Analysis of Spile-Reinforced Shallow Tunnel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3권3호
    • /
    • pp.101-122
    • /
    • 1997
  • Spiting reinforcement system은 매회의 터널굴진작업 이전에 막장면 주위를 따라 방사방향 및 굴진방향으로 선지반보강을 목적으로 천공을 실시하고, spite을 설치한 후 시멘트 그라우팅을 시행하여, 원지반 자체의 전단강도 증대를 통한 무지보 자립시간의 향상과 터널 주변지반의 변위 억제 및 지속적인 아칭작용 등을 유도하여 터널자체의 장기적인 안정화 및 지표면 침하억제 등을 도모하는 공법이다. 이와같은 선지반보강 개념의 spiting reinforcement system은 미국등지에서 주로 약한 암반 터널의 장기적인 안정화를 위해 사용되어져 왔으나, 최근의 연구에서는 연약한 토사지반 터널로까지 그 적용성이 점차 확대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spiting reinforcement system을 적용한 약한암반 및 토사지반 터널에 대한 3차원 안정해석체계의 정립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일차적으로, 예상파괴면의 형상이 지표면까지 확장되는 얕은 spire-reinforced터널의 경우에 한해, 터널굴착에 따른 막장주변의 3차원적 파괴거동등을 3n FEM 해석을 통해 분석하여 종.횡방향 파괴면등 예상 파괴흙쐐기의 형상을 가정한 다음, 한계평형이론에 근거한 3차원 안경해석체계를 정립하여 터널 막장면에 대란 전체 예상안전율 평가방법을 제시하였고, 이 결과를 기존의 2차원적 해석결과와 서로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얕은 spilefeinforced 터널과 깊은 spile-reinforced 터널을 구분하기 위한 규준 의 제시가 본 연구를 통해 아울러 이루어졌으며,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이와같은 규준에 대한 적합성 확인을 위해 3D FEM 해석결과와 서로 비교가 이루어 졌다. 이외에도 제시된 규준 및 3차원 안정 해석법을 토대로, 설계에 관련된 여러 변수들이 본 spiting reinforcement system이 적용 된 얕은 터널에 미치는 영향등에 대해서도 분석이 이루어졌다. 얻어졌다. 또한 3wt%의 0.76B $i_{2}$ $O_{3}$-0.24NiO가 첨가된 경우 소결온도는 20$0^{\circ}C$ 저하되었고, 비유전율 ($\varepsilon$$_{r}$)과 공진주파수의 온도계수 ($\tau$$_{f}$)는 변하기 않았으나, Qㆍ $f_{0}$값이 38,000에서 25,000으로 저하되었다. 25,000으로 저하되었다.되었다.되었다.되었다.권자와 귀화 시민권자의 구분없이 하나의 집단으로 간주하고 분석해 왔던 것을 볼 때, 앞으로의 연구는 이론적으로나 방법론적으로 시민권의 유무가 주거형태에 끼치는 영향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이다.에 나타난 인도의 영향은 여성복식과 남성복식에 있어서 서로 유사점과 차이점이 보이는데, 인도의 영향이 여성복식에 있어서 그 빈도가 더 높고, 종류가 더 다양함을 볼 수 있다. 여성복식에 있어서는 12가지의 다양한 인도복식스타일이 나타났으며, 그중 가장 많이 보이는 스타일은 Indian Shirt/Blouse/Smock/ Dress이며, 그 뒤를 이어 Madras, Indian lowery등을 볼 수 있다. 남성복식애 나타난 7가지의 스타일 중에는 Madras가 가장 빈도가 높으며 그외의 스타일들은 그 빈도가 매우 낮음을 볼 수 있다. 인도의 영향의 정도 (Attribution Categories) 있어서는 여성과 남성복식 모두에 있어서 인도에서 직접 수입된(originated) item이 각각 전체의 90%와 81%를 차지하여, 인도복식의 영향은 받았으나 미국내에서 제작된(attributed and connotated) item 보다 휠씬 더 많은 수를 보였다. 인도복식스타일이 가장 많이 보여지는 시기(Peak period)는 여성과 남성복식에 있어 모두 1968년에서 1971년 사이로 공통점을 보였다.

  • PDF

종교적 상징이 복식으로 표출되는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 -고등종교의 의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chanism of Religious Symbol, Manifested in Costume -Focusing on the Rites of High Religion-)

  • 서봉하;김민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935-946
    • /
    • 2008
  • 종교는 인간을 궁극적인 삶의 조건과 관련시키는 일련의 상징적인 형식과 행위이다. 종교사상은 상징을 통해 세상을 이해하고 또 상징을 통해 행위를 유발한다. 본 연구는 종교가 복식에 미치는 영향과 그 메커니즘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문헌을 중심으로 연구를 하였다. 세계 고등 종교 중 불교, 힌두교, 이슬람교를 중심으로 연구하였으며, 종교의 여러 구성요소가 의례로 표현되고, 복식으로 표출되는 메커니즘을 연구하며, 그러한 일련의 과정을 도식화하여 제시하는 것에 목표가 있다. 믿음체계, 경험, 공동체, 의례 등 종교의 구성요들은 긴밀한 상호 연관성을 갖는다. 특히 의례는 종교적 의미를 표현하는 상징적 행위이자 실천이며, 구원의 방편이다. 모방의례, 긍정적 혹은 부정적 의례, 희생의례, 통과의례 등의 종교적 의례들은 제사와 같은 종교 예식은 물론, 종교음악이나 복식, 건축, 미술 등의 조형예술로 표현되어 왔다. 종교는 삶의 의미를 밝혀 주고, 불안이나 갈등과 같은 문제의 해결책을 제시해 주는 신앙체제로서 복식을 포함한 문화 전반에 큰 영향력을 끼쳐 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