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복식의 간소화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Comparison between the Korean and Japanese Costume Systems since Port Opening Treaties in Nineteenth Century (19세기 개항이후 한.일 복식제도 비교)

  • 이경미;이순원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50 no.8
    • /
    • pp.149-163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Korean and Japanese costume systems and to compare both of them on the process of adopting the western-originated costumes. The consequenc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hosen and Japan started simplifying the traditional clothings, Introducing the western clothings and executed the ordinance prohibitory topknots through reforming costume systems since Port Opening Treaties in 19th centra. Japan performed the reformation of costume system effectively through the grand campaign of social reforming enlightment by Meiji Government. Meanwhile in Korea, there were a continual repetition of adoption and rejection in the reformation of costume systems because of strong cultural self-esteem and competition of foreign Empires. However, western-originated cultural perspectives brought the strong self-devaluated view on their own cultures to both countries. And that's the first cause of substitution of western clothings for ordinary ones in both nations.

  • PDF

Modem Meaning of Han Chinese Clothing(韓服) (한 후의 현대적 의미)

  • Ho, Wei;Lee, Eun-Young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and Costume Design Association
    • /
    • v.11 no.1
    • /
    • pp.99-109
    • /
    • 2009
  • 한 후란 중국의 전통 복장을 말하는 것이다. 한 장 (漢裝) 이라고도 하며 고대 복장이라고도 한다. 영어로는 silk robe라고도 한다. 한 후는 한 나라 이후 명나라까지 만주가 정복하기 전인 1644년까지 입혀졌던 중국의 전통복장이다. 최근 중국에서도 전통복장에 대한 새로운 모색이 일어나고 있다. 중국 전통복식으로 대표되는 치파오는 만주족의 한족 말살 정책의 일환으로 간소화시킨 복식이다. 따라서 중국 전통의복은 만주족에 의해 사양길을 가기 전 고대 한 조의 복식이 중국전통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전통적인 한 후 스타일은 벨트를 매며 여밈이 있고 좁은 소매 혹은 넓은 소매가 특징이다. 한 족이 한 나라, 상 왕조, 송나라, 당나라때 입었던 한 후가 중국의 복식을 대표하는 복식이며 주나라의 쉔의는 튜닉과 스타일의 결합으로서 아직도 상류그룹이 입고 있다. 당나라에서는 동방의 문화와 혼합되어 화려하거나 사치스럽게 수정되었고 만주가 침범하여 한 후는 더 이상 전통복으로 입히지 못하였다. 한 후의 현대적 의미를 볼 때 역사적으로는 베트남에서 기모노에 이르기까지 그 원형을 볼 수 있고 한 후를 통해 중국전통 복식의 원류를 찾을 수 있다. 연구방법으로 문헌과 시각자료를 활용하였다. 한 후의 현대적 의미는 전통의 새로운 자각과 세계화 현대화의 노력이라 할 수 있다. 치파오로 규정된 중국복식에 반해 전통 한 후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활용은 세계화와 오리엔탈이미지에 녹아 있는 한 후 디자인 디테일을 통해 현대적 모색을 활용하고 있다. 충분한 시각 자료가 부족하지만 현대적 노력이 앞으로의 중국이미지의 재고를 가져올 것이다.

  • PDF

Research on the Mourning Garments of Modern Funeral Services in Gwangju (현행 광주지역 장례식장의 상복 연구)

  • 윤은영;김은정;김용서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
    • v.12 no.4
    • /
    • pp.497-510
    • /
    • 2004
  • This research shows problems of modem Mourning Garments used in Gwangju area compared to traditional ones. Researches are as fellowed; First, items of mourning garments have been not used by degrees. Male has worn Jung-Dan and Du-ru-mak-i as Pyo-Eui of male mourning garments. Second, mourning garments have been simplified and modified. These simplification in shape and uniformity in size are only far Mass production and convenient manufacture. Third, modem mourning garments are made of 6-su (thin) Hemp cloth. In fact this material has no hemp and is just made of cotton and chemical textiles. Even though it is not made of hemp, it has been sold with the name of Hemp Cloth. Materials should be clearly listed. Forth, traditional mourning garments are manufactured through needlework while modern ones through mass production. Now the former is expensive rather than the latter. So Mass produced garments would be preferred to traditional made ones.

  • PDF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ccounting Information System for Leading Fisheries Household md Body Corporate (수산 선도어가 및 법인체를 위한 회계정보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Han, Min-A;Jung, Eun-Yi;Park, Man-G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497-500
    • /
    • 2000
  • 컴퓨터의 출현과 도입으로 사무자동화 뿐만 아니라 경영 그 자체가 정보화를 지향하고 있으며, 최근 정보시스템 및 통신기술이 급속하게 발달하고 있는 상황에서 회계정보시스템은 조직의 중요한 정의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써 복잡한 현대 조직의 다양하고 복잡한 업무를 지원하고, 통제하는 것뿐만 아니라 조직활동에 관심이 있는 다양한 관계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시스템은 대다수의 영어조합법인의 취약한 경영방식 및 기존의 수작업을 통한 회계 세무 업무를 회계정보시스템을 통해 보다 쉽고 간편하게 수행한 수 있도록 하였으며, 기존의 회계정보시스템과의 차이점은 전문 지식이 없는 어업인들이 쉽게 복식장부를 기재할 수 있고 회계의 업무처리를 간소화시키기 위해서 3전표제도를 도입하였으며, 어업활동에 필요한 계정과목을 어업인을 위해 최적화시키는데 있다. 그러므로 이 시스템은 어업경영을 위한 자산, 자본, 부채, 수익, 비용의 계정을 통해서 실질적인 재정상태와 경영상태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