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복수호기 원전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Preliminary Establishment of Dose Constraints for the Member of Public Taking into Account Multi-unit Nuclear Power Plants in Korea (국내 복수호기 원전 운영을 고려한 일반인 선량제약치 설정에 대한 고찰)

  • Kong, Tae-Young;Choi, Jong-Rack;Son, Jung-Kwon;Kim, Hee-Geun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v.37 no.3
    • /
    • pp.129-137
    • /
    • 2012
  • In the 2007 recommendation, the ICRP evolves from the previous process-based system of practices and intervention to the system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radiation exposure situation. In addition, ICRP recommends the application of source-related dose constraints under the planned exposure situation as a tool for the optimization of protection to workers and the member of public. In this study, the analysis of radioactive effluents from Korean nuclear power plants and the public dose assessment were conducted in reference with the use of dose constraints. Finally, the measure to implement the dose constraints for the member of public was suggested taking into account multi-unit reactors operating at a single site in Korea.

An Analysis of Radiation Field Characteristics for Estimating the Extremity Dose in Nuclear Power Plants (원전 종사자의 말단선량평가를 위한 고피폭 접촉 방사선장 특성분석)

  • Kim, Hee-Geun;Kong, Tae-Young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v.34 no.4
    • /
    • pp.176-183
    • /
    • 2009
  • Maintenance on the water chamber of steam generator during outage in nuclear power plants (NPPs) has a likelihood of high radiation exposure to whole body of workers even short time period due to the high radiation exposure rates. In particular, it is expected that hands would receive the highest radiation exposure because of its contact with radiation materials. In this study, characteristic analysis of inhomogeneous radiation fields for contact operations was conducted using thermoluminescent dosimeter (TLD) readouts from the application tests of two-dosimeter algorithm to Korean NPPs in 2004. It is regarded that inhomogeneous radiation fields for contact operations in NPPs are dominated by high energy photons. In addition, field tests for workers who participated in maintenance on the steam generator during outage at Ulchin NPPs in 2009 and pressure tube replacement at Wolsong NPPs in 2009 were conducted to analyze radiation fields and to estimate the extremity dose. As a result, radiation fields were dominated by high energy photons.

Theoretical Analysis and Effect of Condenser In-leakage in the Secondary Systems of YGN-1, 2 (영광-1, 2호기 2차계통 복수기누설의 이론적 분석 및 영향평가)

  • Suk, Tae-Won;Lee, Yong-Woo;Kim, Hong-Tae;Park, Sang-Hoo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3 no.3
    • /
    • pp.299-305
    • /
    • 1991
  • Corrosive environment may be generated within steam generators from condenser cooling water in-leakage. Theoretical analysis of the accumulation of chloride as a sea water impurity is being carried out for the condenser cooling water used at YGN-1,2 nuclear power stations. Calculations have shown that highly concentrated chloride solution would be produced within the steam generators in the case of sea water in-leakage. Maximum allowable design condenser leak rate(0.5 gpm) leads chloride concentration of 2.3 ppm at steam generetor and 0.6 ppm at hotwell with the maximum blowdown rate and condensate purification. Concentration factor at steam generator is dependent only on both blowdoum rate and condensate purification efficiency as follows, Concentration Factor(equation omitted)(B$\neq$O) Blowdown and condensate purification are evaluated as the only effective measures to remove impurities from the secondary systems.

  • PDF

재료 동적영향을 고려한 주냉각재 배관 LBB 적용시 Dynamic Strain Aging의 영향 분석

  • 양준석;박치용;정우태;유기완;김진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b
    • /
    • pp.305-311
    • /
    • 1998
  • 최근들어 고려된 LBB(Leak Before Break) 적용요건중 동적파괴시힘 절차에는 울진 3&4호기 이후 파단전누설개념이 적용되는 배관이 탄소강으로 제작될 경우. 이 배관이 Dynamic Strain Aging (DSA)에 의해 파괴저항치가 감소되지 않는다는 것이 정량적으로 입증되지 않는 한, 동 배관의 파괴 물성치 결정시 DSA의 영향이 고려되어야 하며, DSA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동적과괴시험이 수행되어야 함을 요건화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DSA 효과에 의한 파괴저항(J-R) 특성의 저하가차세대원전 원자로냉각재배관 파단전누설개넘(LBB) 적용시 설계 안전여유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정도임을 평가하는데 있다. 따라서 ASME Section III에서 탄소강으로 분류하고 있는 강종별 파괴인성 변화를 고찰하고, 차세대원전 주냉각재배관 재료인 SA508 Class la의 최대 파괴인성 감소치를 예측하여, 울진 3&4호기에서 측정된 엘보우용 SA516-Gr.70 강의 DSA 영향 평가 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차세대원전 주냉각재배관의 DSA영향을 평가하였다. 도출된 결론으로는 DSA 영향을 고려한 SA508 Class la의 J 및 dJ/dA 값은 극히 보수적으로 추정할 때 50% 이상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DSA 영향을 고려하였을 경우 배관재 모재의 파괴인성치는 Weld-SAW의 J/T 값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현 LRB 해석이 가장 낮은 J/T값을 갖는 Weld-SAW Auto의 균열길이 2a인 J/T선도에 의거하여 수행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비록 DSA가 배관재에 영향을 주는 가장 보수적인 값(J 및 dJ/dA값을 50% 이상)을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차세대원전 LBB 적용에 문제가 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즉 차세대원자로 주냉각재배관에 LBB를 적용하는데는 DSA 영향은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다는 결론을 얻었다. 표면에 수소화물이 농축되어 있는 hydride layer가 형성됨을 관찰하였으며 ~5,000ppm 이상의 경우에는 수소화물의 방향성이 random하였으며 특히, ZIRLO$^{TM}$ 시편의 경우에서는 원주방향으로 길게 이어진 수소화물과 기계적 성질에 치명적인 반경방향의 수소화물이 평행하게 배열된 것을 관찰하였다.하였을 때는 Li$_2$O의 첨가에 의해 치밀화가 주로 일어났고, 반면에 $N_2$-7vol.%H$_2$ 분위기에서 소결하면 Li$_2$O의 첨가에 의해 작은 기공은 소멸되고 큰 기공이 생성되었다.지나치게 모국어의 영향만 강조하고 다른 요인들에 대해서는 다분히 추상적인 언급으로 끝났지만 이 분석을 통 해서 배경어, 목표어, 특히 중간규칙의 역할이 괄목할 만한 것임을 가시적으로 관찰할 수 있 다. 이와 같은 오류분석 방법은 학습자의 모국어 및 관련 외국어의 음운규칙만 알면 어느 학습대상 외국어에라도 적용할 수 있는 보편성을 지니는 것으로 사료된다.없다. 그렇다면 겹의문사를 [-wh]의리를 지 닌 의문사의 병렬로 분석할 수 없다. 예를 들어 누구누구를 [주구-이-ν가] [누구누구-이- ν가]로부터 생성되었다고 볼 수 없다. 그러므로 [-wh] 겹의문사는 복수 의미를 지닐 수 없 다. 그러면 단수 의미는 어떻게 생성되는가\ulcorner 본 논문에서는 표면적 형태에도 불구하고 [-wh]의미의 겹의문사는 병렬적 관계의 합성어가 아니라 내부구조를 지니지 않은 단순한 단어(minimal $X^{0}$ elements)로 가정한다. 즉, [+wh] 의미의 겹의문사는 동일한 구성요 소를 지닌 병렬적 합성어([$[W1]_{XO-}$ $[W1]_{XO}$ ]$_{XO}$)로

  • PDF

Analog Type Instrument Panel Recognition in the Nuclear Power Plant using an Image Processing Technology (원자력 발전소 아날로그 계기판 영상인식)

  • Cho, Jai-Wan;Jeong, Kyu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05a
    • /
    • pp.277-280
    • /
    • 2013
  • 원자로 건물 내부에는 원자로의 안전운전을 위한 다수의 계통, 구조물 및 기기들이 위치하고 있다. 원자로의 안전과 직결되는 안전계통 변수 (수위, 압력) 들은 경우에 따라서는 현장확인이 요구된다. 원자로 가동 중에 운전원에 의한 안전계통변수의 현장확인이 용이하도록 원자로 건물 내부의 출입구 (2 중문) 부근에 수위계, 압력계 등의 현장계기가 위치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일본의 (주) 동경전력이 공개한 후쿠시마 제 1 원자력발전소 1 호기 원자로건물의 IC (비상용 복수기, isolation condenser) 조사영상에 나타나는 현장계기의 영상인식에 대해 기술한다. 조사 영상의 분석에 의하면 현장계기들은 기계식의 아날로그 타입이다. 아날로그 타입의 기하구조를 이용하여 계기판 눈금을 인식하고, 계기판 바늘의 기울기 계산을 통해 계기판을 영상 판독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계기판의 영상판독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와 같이, 고방사선 피폭 우려로 인해 사람대신에 로봇이 원자로 건물내부에 진입하여 주요 계통, 구조물 및 기기의 현장계기를 판독한다고 가정하면, 유용한 기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