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복막전이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1초

복막 투석중인 만성 신부전 환자의 혈압 조절에 관한 연구 (The Characteristics of Blood Pressure Control in Chronic Renal Failure Patients Treated with Peritoneal Dialysis)

  • 정항재;배성화;박준범;조규향;김영진;도준영;윤경우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6권2호
    • /
    • pp.333-341
    • /
    • 1999
  • 충분히 복막투석을 시행 중인 환자에서 혈압 조절은 혈액투석에 비해 비교적 용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복막투석 환자의 혈압 조절 특성 및 이에 미치는 여러 인자들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복막투석 시작 시 69명 모두에서 고혈압으로 항고혈압제를 사용하였으나 마지막 추적 관찰 시 항고혈압제가 전혀 필요 없었던 경우가 15명이었고 평균동맥압(mmHg)은 복막투석 시작 시 105.1에서 마지막 추적 관찰 시 97.6로 유의한(p<0.05) 감소가 있었다. 2) 6개월간 추적 관찰한 43명에서의 평균동맥압(mmHg)은 복막투석전 107, 복막 투석 후 1개월째 101.5, 2개월째 99, 3개월째 98, 4개월째 98.1, 6개월째 99.5이었고 항고혈압제 사용량(%)은 복막 투석 전 항고혈압 약제 사용량을 100%로 할 때 복막 투석 후 1개월에 75.9, 2개월에 70.4, 3개월에 64.4, 4개월에 56, 6개월에 52.1이었다. 12개월간 추적 관찰한 32명에서의 평균동맥압(mmHg)은 복막투석전 108.1, 복막투석 후 1개월에 99.1, 2개월에 98.4, 3개월에 96.9, 4개월에 97.5, 6개월에 99.2, 9개월에 98.9, 12개월에 96.1이었고 항고혈압제 사용량(%)은 복막투적 전 100, 복막투석 후 1개월에 81.9, 2개월에 73.4, 3개월에 65.7, 4개월에 55.2, 6개월에 58.1, 9개월에 45.8, 12개월에 46.7이었다. 3) 혈액투석에서 복막투석으로 전환한 환자 10명에서 혈액투석 시와 복막투석 시 평균동맥압(mmHg)이 각각 $107{\pm}4.56$, $98.6{\pm}8.77$로 복막투석 시 유의하게(p<0.05) 낮았고, 항고혈압제 사용량(%)은 각각 $5.6{\pm}2.6$, $2.0{\pm}2.5$로 복막투석 시 항고혈압 약제의 사용이 유의하게(p<0.01) 적었다. EPO 용량(U/week)은 각각 $4600{\pm}2660$, $2000{\pm}1630$로 복막투석 시 유의하게(p<0.05) 낮았다. 4) 복막투석군 중에서 항고혈압제 사용량 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평균동맥압과 하루 동안의 초여과 양이었고 그 밖의 PET의 지표나 투석 적절도는 항고혈압제 사용량과 관계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복막 투석 환자의 고혈압 치료 시에는 초여과 양을 충분히 고려한 항고혈압제의 사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신부전 개에서 자동 복막투석기를 이용한 복막투석에 대한 평가 (Therapeutic Efficacy and Complications of Automated Peritoneal Dialyzer in Dogs with Renal Failure)

  • 권희정;최원진;이동국;데이비드 탄;현창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399-403
    • /
    • 2015
  • 복막투석은 혈액에서부터 오는 체액과 노폐물을 교환하는 복강내의 막인 복막을 이용한 투석방법으로, 신부전과 중독증 환자에서의 치료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부전증 개에서 자동투석기를 이용한 복막투석의 치료효율과 합병증에 대해 평가하였다. 10마리의 개를 대상으로 Swan neck 카테터(Neonatal, Coviden)와 자동 복막투석기를 사용하여 복막투석을 실시하였고, 그 효과는 요소감소율(urea reduction ratio)로 평가하였다. 평균 크레아틴닌 감소율과 평균 요소감소율은 $7.09{\pm}3.84$$145.8{\pm}48.5$였다. 평균 투석횟수는 $6{\pm}1$회 였다. 투석치료후 유의성 있는 요소의 감소가 7/10 개에서 관찰되었고, 유의성 있는 크레아틴의 감소가 9/10 개에서 관찰되었다. 요소의 감소율이 크레아틴 감소율보다 더 높게 관찰되었다. 1회 투석당 요소와 크레아틴닌의 감소율은 $0.064{\pm}0.023$$0.065{\pm}0.023$이 였다. 본 연구에서의 복막투석에 따른 합병증은 카테터 막힘, 투석액의 피하누출, 패혈성 복막염, 저알부민혈증, 과수화 등이었다. Swan neck 카테터와 자동 복막투석기를 이용한 복막투석은 임상에서 적용 가능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하여 성공적인 복막투석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합병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주의 깊은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위암 환자에서 수술 전 복막전이 예측을 위한 혈청 종양 표지자의 유용성: CA 19-9와 CEA (The Usefulness of Serum Tumor Markers as a Predictor of Peritoneal Metastasis in Patients with Gastric Carcinoma: CA 19-9 and CEA)

  • 정오;주재균;박영규;유성엽;정미란;김호군;김동의;김영진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8권3호
    • /
    • pp.129-135
    • /
    • 2008
  • 목적: 다른 소화기계 악성종양에 비하여 위암에서 종양표지자의 역할은 매우 제한적이다. 여러 연구들에서 종양표지자는 예후 및 재발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이 보고되었으나, 종양표지자를 이용한 수술 전 원격전이 예측의 유용성에 관한 보고는 매우 드물다. 대상 및 방법: 2004년부터 2006년까지 본원에서 위암으로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종양 표지자의 비특이적 증가를 초래하는 요인을 가진 환자를 제외한 78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 CEA, CA 19-9와 임상병리학적 특성간에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CEA 양성여부는 연령, 성별과 같은 종양과 무관한 비특이적 인자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으며, 림프절 전이여부와 독립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종양의 침윤도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원격전이의 예측에서 CEA는 복막전이나 혈행성 전이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이에 비해 CA 19-9는 종양의 침윤도 림프절 전이와 각각 독립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원격전이 중 복막 전이여부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증가 정도에 따라 CA 19-9가 5배 이상 증가 시에 복막전이에 대한 위험도가 유의하게 증가함을 보였다. 결론: CA 19-9는 측정이 간편하고 용이할 뿐만 아니라, 수술 전 비치유인자인 복막전이를 예측하는데 도움을 줌으로써, 이에 따른 환자의 추가적인 검사를 통하여 적절한 치료 방침을 세우는데 임상적으로 유용한 도구라고 판단된다.

  • PDF

진행성 위암 환자에서 복강 내 미세전이 진단을 위한 복강 세척액 $ThinPrep^{(R)}$ 세포진 굄사의 임상적 의의 (The Clinical Significance and Detection of Intraperitoneal Micrometastases by $ThinPrep^{(R)}$ Cytology with Peritoneal Lavage Fluid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 유춘근;박종익;민재석;진성호;박선후;방호윤;채기봉;이종인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8권4호
    • /
    • pp.189-197
    • /
    • 2008
  • 목적: 진행성 위암에서 복막 세포진 검사는 복강 내 미세전이를 진단하는 유용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국내외에서 액상세포검사를 사용한 복막 세포진 검사의 의의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수술 중 수집된 복막 세척액을 이용한 액상세포($ThinPrep^{(R)}$) 검사의 임상적 의의를 분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대상 및 방법: 2001년부터 2006년까지 본원에서 위암 진단하에 수술 중 위장막의 침범 또는 노출이 의심되어 복막 세포진 검사를 시행 받은 424예의 진행성 위암 환자들의 임상 병리학적 자료와 세포진 검사 결과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복막 세포진 양성은 31%였으며, 복막 세포진 결과는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에서 T 병기, N 병기, P 병기와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3년 생존율은 복막 세포진 음성에서 68% 양성에서 26%였으며, 복막전이(P)와 복막 세포진(CY)을 기준으로 분류하였을 때 P0CY0 71%, P0CY1 39%, P1/2/3CY0 39%, 그리고 P1/2/3CY1 11%의 3년 생존율을 보였다. 그리고 단변량 및 다변량 생존분석 결과, 복막 세포진 결과가 성별, T 병기, N 병기, P 병기, 복막 외 원격 전이, 혈청 CEA와 함께 독립적인 예후 인자로 증명되었고, 또한 근치적 절제 군에서 복막 세포진 결과는 복막 재발의 위험 인자임이 밝혀졌다. 결론: 본 연구는 복막 세포진 검사가 복강 내 미세전이를 진단 할 수 있는 신뢰성 높은 진단 방법이며 진행성 위암에서 강력한 예후 인자이며 복막 재발의 위험 인자임을 증명하였다.

  • PDF

후기 재발성 자궁 경부암의 비전형적인 복막 전이: 증례 보고 및 문헌 고찰 (Unusual Peritoneal Metastasis of Late Recurrent Uterine Cervical Cancer: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 박상민;김희진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4호
    • /
    • pp.904-909
    • /
    • 2022
  • 자궁 경부암은 여성 비뇨 생식기계에서 가장 흔한 악성 종양이다. 대부분의 재발성 자궁 경부암은 초기 치료 후 2년 이내에 진단되고 무병 기간이 5년 이상인 후기 재발은 매우 드물다. 또한 복막 전이는 보통 복강 내 뚜렷한 다발성 결절 그리고 결절성 또는 미만성 복막 비후의 형태로 나타난다. 여기서 우리는 조영증강 컴퓨터단층촬영에서 우측 횡격막하 공간에 큰 단일 괴사성 종괴로 보인 후기 재발성 자궁 경부암의 비전형적인 복막 전이라는 매우 드문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개에서 복막투석 적용: 20 증례 (2006-2008) (Peritoneal Dialysis in Dogs: 20 cases (2006-2008))

  • 남소정;최란;오원석;현창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3-28
    • /
    • 2009
  • 복막투석은 정상적인 생리적 상태의 장애를 야기하는 체내의 독성물질을 치료적으로 제거하는 임상적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부전으로 내원한 환자에게 복막투석을 적용한 20증례의 임상적 결과와 합병증을 후향적으로 평가하였다. 복막투석을 실시하는 동안 적혈구수, 혈구용적, 신기능과 관련된 혈액 화학적 수치 및 전해질 등의 혈액학적 분석과 합병증, 임상적 결과 등을 기록하였다. 복막투석의 결과로 19마리의 개에서 혈중 요소 질산 농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p<0.05), 17마리의 개에서 혈중 크레아티닌의 농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5). 복막투석의 부작용으로는 저알부민혈증(12/20, 60%), 빈혈(10/20, 50%), 투석액의 피하 누출(9/20, 45%), 세균성 복막염 (6/20, 30%), 투석액의 저류 (5/20, 25%)와 사지의 부종(4/20, 20%)이 나타났다. 본 증례고찰을 통하여 복막투석은 신부전(특히 급성기)에 이환된 개에서 질소혈증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만성 신부전으로 인한 무뇨증 환자에서의 판막치환술 - 1례 보고 - (Valve Replacement in an Anuric Patient with Chronic Renal Failure - 1 Case Report -)

  • 김시훈;곽문섭;이선희;박재길;진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6호
    • /
    • pp.588-590
    • /
    • 1999
  • 오늘날 말기 신부전 환자에서의 심장수술은 보편화 되는 추세이며, 만성 신부전 환자들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이들 환자에 대한 적절한 치료법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 환자들에게는 관상동맥질환 뿐만 아니라 판막질환도 드물지 않다. 이들에게 시행되는 복막투석은 체외순환에 다소의 지장은 있을수 있지만 수술 전후에 적절한 대책을 준비한다면 더 이상 심장수술의 걸림돌이 되지 않는다. 저자는 심한 승모판막 폐쇄부전과 만성신부전을 동반한 33세의 무뇨증 여자환자에서 기계판막치환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는 수술전에 복막투석을 주기적으로 함으로써 수분 및 전해질 균형을 적절히 유지시켰고, 수술후에도 혈액 생화학적 검사결과를 수시로 예의검토하면서 복막투석을 계속시행함으로써 무사히 회복될 수 있었다.

  • PDF

소아복막투석의 현황: 다기관 공동연구 결과보고 (Current Status of Children on Peritoneal Dialysis in Korea : A Cross-Sectional Multicenter Study)

  • 윤지석;이주훈;박영서;임형은;백경훈;유기환;하일수;정해일;최용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3권2호
    • /
    • pp.176-188
    • /
    • 2009
  • 목적 : 복막투석요법은 말기 신부전 환아에서 신이식 다음으로 추천되는 신대체 요법으로 현재 말기 신부전 환아들의 장기 생존율 향상으로 복막투석요법 환아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현재 한국 내 복막투석요법 소아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자 이번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2008년 5월 국내 4개 대학병원을 대상으로 전자우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현재 3개월 이상 복막투석 중인 103명의 소아를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 대상 환아 103명의 남녀비는 1.6:1로 남아가 많았고, 평균 연령은 $11.5{\pm}4.9$세(0-19세), 투석시작 전 말기 신부전의 원인 중 원발성 사구체 질환이 34%로 가장 많았다. 복막투석의 형태는 지속적 외래 복막투석법이 42.7%로 가장 많았고, 주간 전체 Kt/V는 $2.1{\pm}0.7$ (0.3-4.1), 복막평형검사상 저 투과성이 36.8%, 저평균 투과성이 31.6%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체중 표준편차점수(Z-score)는 $-1.00{\pm}1.20$(-4.54-+2.50), 신장 표준편차점수(Z-score)는 $-1.55{\pm}1.65$(-9.42-+1.87)였고, 성장호르몬은 24.3%에서 투여 중이었다. 38.8%의 환아에서 이완기 혹은 수축기 혈압 95 백분위수 이상의 고혈압을 보였고, 64.0%의 환아가 항고혈압제 투여 중이었다. 평균 혈청 혈색소는 $10.5{\pm}1.4$ g/dL, 평균 혈청 칼슘은 $9.7{\pm}0.7$ mg/dL, 평균 혈청 인은 $5.4{\pm}1.4$ mg/dL, 평균 부갑상선 호르몬은 $324.2{\pm}342.8$ pg/mL였다. 결론 : 국내 복막투석요법 소아에서 원발성 사구체 질환이 소아 말기 신부전의 가장 흔한 원인이고, 지속적 외래 복막투석법이 가장 흔히 사용되는 복막투석 형태이며, 복막평형검사상 저 투과성과 저평균 투과성이 가장 많았다. 대부분의 환아가 적절한 신장과 체중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저신장 환아의 경우 성장 호르몬 치료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고 여전히 많은 환아에서 빈혈과 고혈압이 관찰되었다. 혈청 칼슘과 인은 비교적 정상범위를 유지하고 있으나 많은 환아가 이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보였다.

혈액투석 및 복막투석 환자에서의 carumonam(AMA-1080)의 약동 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

  • 김성권;조종태;신상구;이경훈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2년도 제1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59-59
    • /
    • 1992
  • 간헐적 혈액투석 또는 지속적 복막투석 요법을 받고 있는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carumonam의 약동학적 변화를 분석하여 이 환자들에서 적절한 투여용법을 고안하고, 이들 특수 질환군에서의 임상시험모형을 도굴하고자 하였다. 혈액투석환자는 carumonam 1g을 20분간 지속 정주 후 약물의 분포기 종료가 예상되는 시간에 혈액투석을 4-5시간 시행하였으며, 혈액, 투석액, 뇨를 경시적으로 채취하였다. 지속적 복막투석 환자군에 있어서는 1일 3회(6, 6, 12시간) 복막 투석을 시행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carumonam 1g을 정주하고 24시간동안 혈액 및 투석액, 뇨를 경시적으로 채취하였다. 혈액, 투석액 및 뇨중 carumonam의 농도는 HPLC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경시적인 혈장 carumonam 농도변화 및 투석에 따른 약물의 제거를 혈액 투석환자는 2 compartmental model, 복막투석환자에서는 bidirectional 2 compartmental model에 의해 그 약동학적 성상을 분석하였다.

  • PDF

IPAA의 효과를 고찰하기 위한 분류분석방법들의 비교연구

  • 이승연;이은주;최호식
    • 한국통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통계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91-298
    • /
    • 2005
  •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은 말기 신부전 환자들에게 널리 시행하는 신 대체 요법으로, 복막투석 환자에게서 주된 합병증으로 일어나는 단백질-열량 영양실조를 치료하기 위하여 아미노산을 복강 내로 주입하는 치료방법이다. 이현석 등(2004)의 연구에서는 아미노산 복막 투석액(IPAA)이 영양실조 환자들에게 실제로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 환자 43명을 12개월 동안 3개월 주기로 관측하여 얻어낸 반복측정자료를 바탕으로 IPAA의 효과 여부에 따라 반응군과 비반응군을 분류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두 그룹을 효과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분류기준변수들을 찾아내고 이 분류기준변수의 값을 바탕으로 새로운 환자에게 IPAA의 투여 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여러 분류방법들을 고찰하여 비교 연구하였다. 모수적인 방법으로 선형판별분석, 이차판별분석 및 로지스틱 판별분석을 소개하고 비모수적인 방법으로 support vector machine(SVM)을 소개하여 분류분석의 결과를 비교하여 두 그룹을 최소한의 오류로 분류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