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복개하천

Search Result 46,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Establishment of the Directions for Environmentally-friendly Restoration of Underground Stream by Citizen Participation - In the Case of the Yangjae Underground Stream Restoration Project - (주민참여를 통한 도시복개하천의 환경친화적 복원방향설정에 관한 연구 - 과천 양재천 복개하천 복원사업을 사례로 -)

  • Song, Byeong Hwa;Yang, Byoung-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
    • v.9 no.2
    • /
    • pp.33-44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future directions of environmentally-friendly restoration of Yangjae underground stream and reflect various opinions of inhabitant in the plan and design process. The opinions from the citizens include the economic and environmental suitability of the restoration projects and preference for the future directions of restoration. The citizens are favorable to removing the existing parking lot and want to have jogging course, walking path and bike road in the stream. Different opinions and resulted in preferred facilities and diminishing existing park along the stream depending on the restoration influencing zone. As a result, citizens agree in restoration but they have different opinions about the feasibility of new facilities, streams restoration and central park reduction locally. It is desirable to reflect the opinions of citizens in the process of plan and design of restoration project.

Effectiveness Analysis of Alternatives for the Anyangcheon Watershed Using HSPF (HSPF 모형을 이용한 안양천 유역의 대안기술 효과분석)

  • Chung, Eun-Sung;Lee, Kil-Seong;Lee, Joo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726-173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왜곡된 물순환을 건전화시키기 위해 잠재적으로 좋지 않은 유역에 선정된 대안에 대한 효과분석을 HSPF 모형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수행하였다. 효과분석은 건기의 수량확보 측면(갈수량, 저수량)과 BOD 평균 및 총 오염부하량의 변화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분석한 대안으로는 복개하천 복원, 하천수의 하수관거로 손실 방지, 기존 저수지의 운영개선, 하수처리수의 재이용, 지하철 역사에서 발생한 지하수의 유지용수로의 활용, 소규모 하수처리장 건설 등이 있다. 특히 최근 관심이 증대된 하수처리수 재이용은 수량측면에서는 우수한 결과를 보이나 수질 측면에서는 좋지 않은 결과를 보이므로 방류수의 수질에 따라 신중하게 검토되어야 한다.

  • PDF

도시 하천 장애물에 의한 흐름특성 변화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심기오;김규춘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3.07a
    • /
    • pp.107-113
    • /
    • 1993
  • 도시가 발달함에 따라 늘어나는 교통량과 주차공간 등의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하천에 교량을 증설하건 복개를 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수리학적으로 바람직한 현상이 아니므로 과연 하천에 장애물을 설치할 경우 이들 장애물에 의하여 하천 흐름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를 실험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모형은 중랑천과 한천로상의 교량 형태를 점검하고 이들을 7개의 형태로 분류 1/50의 축척을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실험장치는 국립 건설시험소에 있는 직선 개수로를 이용하였으며 실험을 위하여 하천의 경사는 1/500, 1/750과 1/1000을 그리고, 하천 유량은 200, 350, 500 CMS를 각각 선택하였다. 하천에 교량의 장애물 설치시 구조물 형태에 따라 6~30%의 수위 상승효과가 있었으며 표면 유속은 7~23%의 감속 효과가 있었다.

  • PDF

The Changes of Adjacent Residential Area after the Restoration of Covered Urban Streams (도시복개하천의 복원사업 이후 인접 주거지의 물리적 특성 변화)

  • Kim, Jun-Yeong;Yang, Woo-Hyun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25 no.6
    • /
    • pp.133-146
    • /
    • 2014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nges of adjacent residential area after the restoration of covered urban streams in seoul. The changes of adjacent residential area after restoration were analyzed by changes of land using, urban structure, individual lot of land and architecture to investigate relationship of the urban stream and residential change. The result as follows: the first one is the change of land use and urban structure in adjacent residential area. This change of infrastructure through stream restoration has transformed land use and urban structure in adjacent residential area. Secondly, there is the changes of the individual lot of land. It seemed that new development by combined lots would be concentrated in stream-side blocks. But, the changes of lots such as combining or dividing lots tend to be concentrated in stream-side, main road and main streets. In stream-side, commercial function of land use has changed to residential one which has restored streams landscape by transformation of lots use without changes of ownership-lots. Finally, there is the change of architecture. It turned out new building in adjacent residential area is similar to general development. However, new building in streamside is related to direction of stream. In addition, remodeling and expansion tend to change in commercial buildings on stream-side bridges of corner lots intensively. As a result, it is related to expectation of architectural activation and improvement of sidewalk environment by stream restoration.

An Experimental Study of Backwater Effects Caused by Piers in the Covered Reach of Urban Streams (都市河川 覆蓋區間내 橋脚으로 인한 背水影響의 實驗的 硏究)

  • Yoon, Yong-Nam;Ahn, Jae-Hyun;Kim, Jin-Kwan
    • Water for future
    • /
    • v.29 no.3
    • /
    • pp.143-152
    • /
    • 1996
  • The hydraulics of flow within the covered reach of urban streams is very complicated due to the accumulation and interference effect of eddies around the multiple piers supporting the covering slab. An extensive experimental study is done to quantitatively estimate the backwater rise effect caused by various arrays of multiple piers. The factors governing the backwater rise are found out to be the contraction ratio due to the piers, Froude number of the flow, longitudinal pier spacing, and the length of the covered reach. For a single section of lateral pier arrays the effect of contraction ratio and Froude number on the backwater rise is analyzed and a multiple regression equation is derived. The effect of multiple piers, arrayed in both lateral and longitudinal directions, on the backwater rise is analyzed in terms of the contraction ratio, Froude number,longitudinal pier spacing and the total length of the covered reach. A multiple regression equation for the backwater rise estimation is proposed based on the experimental data collected in the present study.

  • PDF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Cases of the Restoration Project for Rivers in Busan (부산 하천 복원사업의 사례 비교분석 연구)

  • Choi, Ji-hye;Kim, Myungsoo;Kim, Chee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9.10a
    • /
    • pp.621-624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representative rivers of Busan's regional second-class rivers that, as urban rivers, have public open spaces, to identify thei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thus to present environmental improvement measures for those rivers as natural rivers. First, 5 second-class rivers that have not been covered, and that flow through Busan cities were examined.

  • PDF

Field Survey of River Environment at River Basin of Cheongmi-Cheon (청미천 유역의 하천환경 조사 - 2008년 하천 물리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

  • Kim, Jin-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965-197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하천 물리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청미천 유역의 본류에 대한 하천 수변환경을 평가하였다. 평가 지침은 수생태 건강성 평가에서 제시된 지침을 따랐다. 평가 결과, 죽산천과 청미천 합류부 지점은 2등급으로 생태서식 여건이 좋은 편으로 나타났다. 모래로 된 교호사주가 좌우안 넓은 지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하중도 및 식생 사주도가 형성되어 식생활착이 왕성하며, 주로 달뿌리풀 위주의 군락이 형성되어 있었다. 특히 합류점 상류 본천은 자연하천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었으며, 양안에는 식생과 수목이 왕성하게 자연적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화봉천과 청미천 합류부 지점에서의 수변환경 모니터링 조사 결과, 하도는 정비되어 있으나 저수로는 사행을 유지하고 있으며, 제외지의 토지이용 상태와 하천 복개율 및 횡방향 인공구조물 상태는 비교적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도 내 저수로는 호안공이 설치되지 않고 흐름의 다양성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있다. 이 지점은 하천환경이 비교적 잘 보전되어 있어, 지속적인 보전을 위한 유지관리가 요구된다. 특히 죽산천에 축산 농가 및 시가지의 확장으로 오염원이 증가되고 이들이 하천으로 유입될 우려가 있다. 생태환경을 보전하기 위한 비점오염원 유입 차단 및 수질개선 대책이 우선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River Zone Determination Method by River Type Based on 3D DSM Data (3차원 DSM 자료 기반 하천유형별 정밀 하천구역 결정기법 개발)

  • Lim, Dong Hwa;Lee, Choon Ho;Lee, Tae Geun;Sim, Gyoo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72-472
    • /
    • 2021
  • 우리나라는 하천법 제10조, 소하천정비법 제3조에 하천기본계획 수립 또는 하천의 지정 및 변경고시 시 하천구역을 결정하도록 정의되어 있다. 하천구역 설정 시 일반적으로 하천의 제방이 위치하는 부지 및 제방하심측 토지경계를 하천구역으로 지정하고 있으나, 제방계획이 없거나 무제부 구간으로 활용되고 있는 구간의 경우 하천법 제10조 3항에서 5항까지 3가지 항목을 기준으로 계획하폭에 해당하는 토지, 댐·하구둑·홍수조절지·저류지의 계획홍수위 아래에 해당하는 토지경계, 철도·도로 등 제방의 역할을 하는 선형공작물 하심측 토지경계로 구분하고 있다. 하천구역의 경계설정의 경우 불연속적인 특징을 갖는 하천의 횡단측점 자료의 특성상 정확한 평면상의 경계를 파악하기 어렵고, 철도·도로 등 선형공작물 경계를 하천구역으로 설정 시 편입용지의 보상이 상이하고 모호한 기준으로 인해 다량의 민원이 발생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에 위치한 지방하천 대천천을 대상지로 설정하였으며, 계획홍수위를 기반으로 홍수범람예상도를 작성하여 정밀계획홍수위선을 산출하고 이를 지형자료와 중첩하여 계획홍수위 경계를 추출하였다. 또한 무제부 구간 내 드론촬영을 실시하여 대상지 드론영상 기반 3차원 정밀 지형자료를 구축하고 이를 앞서 산정한 계획홍수위 경계자료와 중첩하여 정밀 하천구역을 설정하였다. 대상지 정밀 하천구역 산정 결과를 기반으로 도심지내 하천과 도시외곽 하천으로 구분하고 다시 도심지내하천은 암거(복개)구간과 개거구간, 도시외곽하천은 유제부와 무제부 구간으로 구분하여 정밀 하천구역 결정기준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대천천유역을 대상으로 실시한 무제부 구간 하천구역 결정과정을 기반으로 하천유형별 3차원 하천구역 산정기법을 정립하였다. 향후 해당기법을 실무에 적용하여 하천구역 산정 시 모호한 하천경계부분 또는 토지소유주와 담당부처 간 하천구역 논의 시 기반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기본계획 수립 시 해당 기법 적용을 통해 보다 정확한 하천구역 경계 수립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termination of Criteria for the Evaluation of Flow Width-Channel Width Ratio for River Environment (하천환경성 평가를 위한 수면폭-하폭비 평가 기준 결정)

  • Lee, Choon Ho;Lee, Tae Geun;Lim, Dong Hwa;Sim, Gyoo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406-40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하도에 대한 하천환경성을 평가하기 위해 관련연구 및 환경관련사업 분석을 통해 환경기능을 대표할 수 있는 환경생태수심, 수면폭-하폭비, 횡단구조물, 수질 등 4가지 요소를 결정요소로 선정하였다. 각각의 결정요소에 대해서 관련지침, 연구, 설계기준 등을 토대로 평가 기준을 설정하였다. 이 중 수면폭-하폭비에 대한 정량적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자연하천과 도시하천을 대상으로 환경생태유량 적용을 통한 수리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통해 평가 기준을 결정하였다. 자연하천으로는 자연성을 비교적 잘 유지하고 있는 평창강, 영강, 남강을 포함한 8개 하천, 도시하천은 안양천, 중랑천을 포함한 24개 하천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자연하천은 도시하천에 비해 수면폭-하폭비가 크고, 분포가 고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시하천은 수면폭-하폭비가 자연하천과 비교하여 작은 구간이 많으며 각종 하천사업으로 인해 분포가 고르게 분포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시하천 중 복개구간을 포함하는 하천은 인위적인 하폭 및 수면폭 형성으로 인해 수면폭-하폭비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하도의 환경성 평가를 위한 수면폭-하폭비 기준은 0.33으로 결정하였으며 이를 특정하천에 활용할 경우, 측점별 수면폭-하폭비를 산정하고, 하천 전체 연장 대비 해당 값에 만족하는 구간연장을 점수화 하여 수면폭-하폭비 평가 결과로 활용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는 하천환경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함으로써 향후 하도계획 수립 시 하천환경성 증진을 위한 기반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