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복강 장기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29초

랫트에 있어서 captafol의 독성에 대한 cysteine의 방어 작용 1. 혈액학 및 혈청 생화학적 성상에 미치는 영향 (Cysteine antagonism of captafol induced toxicities in rats 1. Effects on hematological and serum biochemical values)

  • 김성훈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37-445
    • /
    • 1995
  • 과일 및 채소류의 곰팡이 억제제로 개발된 captafol은 인간 및 동물에서의 독성작용은 많이 보고된 바 있으나 이들의 독작용을 완화시키거나 치료할 수 있는 제제에 대한 연구는 별로 알려진 바 없다. captafol에 의한 혈액학 및 혈청 생화화적 변화에 따른 cysteine의 방어 작용을 확인할 목적으로 랫트에 5mg/kg 용량의 captafol을 1회 복강 투여하고 동시에 5, 58, 290 및 580mg/kg cysteine을 각각 투여하고 체중의 변화, 부검소견, 절대장기중량, 혈액학 및 혈청 생화학적 소견을 비교 분석 하였다. captafol 단독 투여군에서는 체중 및 간 장기중량 감소, 복강내 장기들의 섬유소에 의한 유착 및 복수 등이 현저하였으며 적혈구 수, hemoglobin 농도, 혈청 AST의 증가가 인정되었으며 또한 혈청 인지질 함량 감소가 확인되었다. 한편, cysteine 58mg/kg 이상의 용량군에서는 복강내 장기들의 유착 및 복수가 확인되지 않았으며 장기중량, 혈액학 및 혈청 생화학적 소견에서도 정상을 나타내었다. 이 연구 결과는 captafol의 중독증상에 대해 cysteine 및 sulfhydryl군을 가진 물질은 그 증세를 감소시키거나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PDF

복강경을 이용한 자궁내장치 사용자의 복강세균학적 연구 (Pelvic microbial flora in the users versus the nonusers of intrauterine device determined by laparoscopic method)

  • 한원보;곽현모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11권1호
    • /
    • pp.17-32
    • /
    • 1984
  • 자궁내장치 사용군에 있어서 비사용군에 대한 골반장기염의 상대위험도는 많은 논란의 대상이 되고있으며 정확한 골반장기염의 진단을 위하여는 복강경을 통한 골반장기의 관찰 및 그 원인균을 규명하기 위한 병소인 난관으로부터의 균주 채취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에 저자는 1982년 11월 1일부터 1985년 5월 31일까지 만 6개월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세브란스병원 수태조절실 및 서울시내 성가병원에 복강경을 통한 영구불임술을 시술받기 위하여 내원한 여성중 내원 1개월이내에 항생제나 질정의 사용이 전혀 없는 자궁내장치 사용군 30명과 자궁내장치 비사용군 35명을 대상으로 복강경을 통한 골반장기의 관찰 및 난관에서의 가검물 채취와 동시에 자궁경관에서도 세균검사를 병행하여 균주배양을 시행하므로써 골반장기염의 상대위험도를 연구하고 그 관련 균주를 규명하여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자궁내장치 사용군과 비사용군의 평균 연령은 각각 31.8세, 30.7세이었고 평균 임신의 횟수는 양군이 3.4회이며 경제적 상태도 양군의 모든 예에서 중류이하로 양군의 차이가 없었다. 2. 복강경을 통한 골반장기염의 소견을 보인 예는 자궁내장치 사용군에서 2예로 6.6%였으며 비사용군에서는 골반장기염의 소견을 볼 수 없었으나 이들사이의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었으며(p>0.005) 자궁내장치 사용군의 적혈구 침강속 는 30%에서 16mm/hr 이상으로 증가를 보였으나 백혈구수의 증가는 3.3%에서 있었다. 3. 복강경을 통한 난관에서의 가검물채취로 균주를 배양한 결과 자궁내장치 사용군 30예와 비사용군 35예의 전예에서 배양된 균주는 없었다. 4. 자궁경관의 균주 배양결과는 자궁내장치 사용군과 비사용군에 있어 골반장기염의 원인균이ㅍ될 수 있는 Hemophilus sp. 가 각각 3예, 1예, alpha-Streptococcus 2예, 1예, Corynebacteria 1예, 0예, Bacteroides 는 4예, 1예로 사용군에서 더욱 자주 배양되는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p>0.005).

  • PDF

한우 체지방 감소 쇠고기 생산을 위한 복강 및 피하지방 항체 개발 (Development of Polyclonal Antibodies to Abdominal and Subcutaneous Adipocytes for Fat-Reduced Hanwoo Beef Production)

  • 최창원;김유현;김성진;송만강;권응기;오영균;홍성구;최성호;백경훈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51-659
    • /
    • 2008
  • 본 연구는 국내 고유종인 한우의 부위별 불가식 체지방 감소를 위한 특이 다클론 항체의 개발 및 타장기 안전성을 확인하고자 실시되었다. Collagenase digestion 방법으로 한우의 복강 및 피하지방세포 원형질막 단백질을 분리하여 면양에 3회에 걸쳐 수동면역 주사하고, 면역 주사 전 및 후에 비면역혈청과 항혈청(항체)을 생산하였다. 생산된 한우 부위별 지방 항체의 역가와 한우의 주요 장기 조직인 심장, 신장, 간장, 폐, 근육 및 비장세포의 원형질막 단백질에 대한 타장기 교차반응성과 한우의 부위별 지방 조직에서 지방세포를 분리하고 각각 배양시킨 후 개발된 한우 지방 항체를 직접 주입한 뒤 LDH 수준을 조사하였다. 복강 및 피하지방세포 원형질막 단백질들은 서로 유사하면서도 특이적인 단백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SDS-PAGE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희석배율 1:1,000배를 기준으로 비 면역혈청은 항원-항체 결합 반응이 거의 측정되지 않았으나, 복강 및 피하지방 항체는 희석배율 1:128,000배 및 1:64,000배까지 각각 항원-항체 반응이 감지되었으며, 이는 본 연구에서 생산한 부위별 지방 특이 다클론 항체가 지방세포 원형질막 단백질에 대해 매우 강한 역가를 가진 항체임을 시사한다. 또한 복강 및 피하지방 항체는 타 장기들과는 특이한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두 항체들은 모두 항원으로 이용된 부위의 지방세포 원형질막 단백질과 가장 높은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복강 및 피하지방특이항체는 비 면역혈청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세포독성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본 연구에서 개발된 복강 및 피하 지방 감소 다클론 항체는 높은 역가, 타 장기 안전성 및 세포 파괴 효과가 있었으며 생체 타장기 안전성 등 향 후 기존의 전체 지방에서 생산한 항체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될 경우 불가식 체지방이 감소된 저지방 한우 고급육 생산이 가능하리라고 사료된다.

강제환우계에서 복강지방, 장기, 근육조직의 변화 (Recovery Pattern of Abdominal Eat, Visceral Organs, and Muscle Tissues in Induced Molting Hens)

  • M. Akram;rahman, Zia-ur;Park, J.H.;M.S. Ryu;C.S. Na;K.S. Ryu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37-241
    • /
    • 2002
  • 산란노계에서 강제환우가 체중, 복강지방, 장기, 근육조직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자 77주령 산란계 360수를 7주간 강제환우를 시행하였다. 강제환우전, 산란율 5%, 산란피크, 실험종료 시기인 126주령에 단계별로 각각 36수씩 희생시킨 후에 체중, 복강지방, 장기 및 번식기관의 길이와 무게를 조사하였으며, 가슴과 다리근육에서 지방함량을 분석하였다. 체중은 산란 5% 시기에 제일 낮았으며 산란율이 증가하면서 실험 종료시기에 극대화되었다. 복강지방도 체중의 변화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간의 체중에 대한 비율도 강제환우 후에 제일 낮았지만 실험 종료시에 현저하게 높았다(P<0.05). 심장과 근위의 무게는 산란율이 5%에 도달하였을 때 제일 높았지만, 그 후에는 강제환우 이전과 동일한 경향을 보였다. 산란율이 5%에 도달한 시점에서 장기와 번식기관의 무게는 다른 시기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았지만 산란율이 높아지면서 그 무게가 증대되었으며 실험 종료시에 제일 높게 나타났다(P<0.05). 가슴과 다리근육의 지방함량도 산란율이 5% 도달시에 제일 낮게 나타났으며, 실험 종료시에 현저하게 높았다(P<0.05). 본 실험의 결과 산란노계에서 강제환우 전후시기에 체중, 장기, 근육의 변화의 주요 원인은 주로 복강지방과 다른 장기 및 근육에서 지방의 함량감소에 기인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김치로부터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 AF1의 마우스에 대한 급성독성 (Acute Toxicity of Lactobacillus plantarum AF1 Isolated from Kimchi in Mice)

  • 이환;이재준;장해춘;이명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15-321
    • /
    • 2012
  • 본 연구는 김치에서 분리한 항진균 및 항세균 활성을 나타내는 $Lb.$ $plantarum$ AF1을 분리하여 이 균의 천연 식품보존제 및 사료보존제로서 사용 적합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단회 급성독성시험을 실시하였다. 급성독성시험을 위하여 경구 혹은 복강으로 1회 시험물질을 최고 용량(경구: 5,000 mg/kg, 복강: 2,500 mg/kg)으로 하여 ICR계통 암 수 마우스에게 용량별 각 군당 10마리씩 투여한 후 14일간의 일반증상, 사망률, 체중, 임상증상 및 육안적 소견을 관찰하였다. 단회 경구투여 혹은 복강주사한 후 모든 시험군에서 사망례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시험동물은 시험 종료 시까지 계속 생존하여 평균치사량을 산출할 수 없었다. 복강 혹은 경구투여한 후 마우스의 체중변화에 있어서도 암 수 모두 대조군과 시료물질 투여군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용량 의존적인 차이도 볼 수 없었다. 경구구투여 혹은 복강주사 단회 투여한 후 시험 종료한 다음 생존동물 모두를 부검하여 주요 장기의 육안적 소견을 관찰한 결과 대조군과 시료투여군 모두에서 외관상이나 내부장기에 어떠한 이상소견이나 병변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시험물질인 $Lb.$ $plantarum$ AF1는 경구투여 혹은 복강주사 시 ICR계통 암 수 마우스에서 독성학적인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LD_{50}$은 복강주사가 2,500 mg/kg, 경구투여가 5,000 mg/kg 이상인 저독성의 안전한 물질로 사료된다.

백서에서 동통에 미치는 Phenobarbital 효과의 재평가 (Reevaluation of the Effect of Phenobarbital on the Response to Pain in Rat)

  • 소병겸;김기원;고명규;양원모;조규박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88-95
    • /
    • 1986
  • 백서에서 열판법을 이용하여 과민동통을 일으키는 약물로 알려진 phenobarbital의 동통에 대한 효과를 재검토하고 그 기전을 알고저 phenobarbital 단기 또는 장기처리에 의한 뇌내 ${\beta}-endorphin$함량, opiate 수용체 및 시험관내 실험으로 functional opiate 수용체의 변동유무를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마취에 미달하는 용량의 phenobarbital 1회 복강내 투여는 일시적인 HPL단축에 이어 이를 지연시켰고 phenobarbital 장기 처리는 HPL을 현저히 지연시켰다. 2) Naloxone 자체는 HPL을 현저히 단축시켰고, naloxone처리는 phenobarbital의 HPL 지연 효과를 억제하였다. 3) Phenobarbital 1회 복강내 투여는 뇌내 ${\beta}-endorphin$ 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phenobarbital 장기처리는 이를 현저히 증가시켰다. 4) Phenobarbital 1회 복강내 투여는 [3H]-morphine binding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phenobarbital 장기처리는 Kd치와는 달리 Bmax를 현저히 감소시켰다. 5) Phenobarbital 장기처리에 의한 HPL변동, 뇌내 ${\beta}-endorphin$함량변동 그리고 opiate receptor Bmax변동 삼자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6) 적출vas deferens 표본에서 phenobarbital 장기처리는 morphine의 ID50은 증가시키고 maximum effect는 감소시키나 naloxone에 대한 $pA_2 $치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상의 실험성적은 phenobarbital이 일시적인 과민동통 효과에 이어 진통효과를 갖고 있으며, phenobarbital의 진통효과는 뇌내 ${\beta}-endorphin$함량 증가와 이로 인한 functional opiate 수용체의 숫적 변동에 기인함을 시사하였다.

  • PDF

복강경을 이용한 니센 위저추벽성형술 및 콜리스 위성형술 (Laparoscopic Nissen Fundoplication and Collis Gastroplasty)

  • 송상윤;박정민;정인석;안병희;나국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9호
    • /
    • pp.733-738
    • /
    • 2006
  • 위식도역류질환은 서구에선 매우 유병률이 높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식생활의 서구화로 인해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 최소침습수술이 발달함에 따라 복강경을 이용하여 수술할 경우 미용효과, 단기재원기간 및 일상생활로의 조기복귀 등의 장점이 있어 장기적인 약물치료보다는 최소침습법에 의한 수술의 시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저자들은 복강경을 이용하여 횡격막 탈장 및 탈장을 동반한 위식도역류성 질환에 대해 시행한 니센 위저추벽성형술 및 콜리스 위성형술 치험을 바탕으로 수술수기를 중심으로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복강경 보조 원위 위 절제 환자의 장기적인 '삶의 질' 평가 (Long Term Impact of Laparoscopic Assisted Distal Gastrectomy on Quality of Life)

  • 김동원;김용진;김민주;조규석;김형수;이문수;김재준;이민혁;문철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7권4호
    • /
    • pp.213-218
    • /
    • 2007
  • 목적: 조기위암 수술에 복강경 적용의 용이성 및 종양학적 안정성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아루어지고 있으나, 복 강경 적용의 또 다른 목적인 '삶와 질' 향상에 대한 연구 는 아직 미흡한 현실이다. 이에 저자들은 위암 수술에 복강경 적용이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을 평가 하고자 본 연구를 고안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만 2년간 순천향대학병원 외과에서 위 절제 수술 후 위암 1기로 진단된 154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술 후 1년 이상 경과한 시점에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EORTC OLQ-C30(3판)과 EORTC QLQ-ST022 한글판을 이용하여 한 명의 전문 간호사에 의해 외래 방문 시 직접 면담 혹은 전화 상담을 통해 설문조사를 시행했으며, 통계처리는 SPSS 12.0 for Windows를 이용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 환자 154명 중 86명에서 설문 조사가 이루어져 58%의 응답률을 보였으며, 86명(개복군: 57명, 복강경군: 29명)의 평균 연령은 55세였고, 남자가 60명 여자가 26명으로 남녀 비는 2.3 : 1 이었다. 개복 군의 종양 크기는 평균 2.42 cm로 복강경군의 평균 종양 크기 1.8 cm에 비해 유의하게 크기가 컸으며(P=0.003), 평균 획득 림프절 수도 개복 군에서 36개로 유의하게 더 많았다(P=0.000). 그 외 종양관련 인자인 원발암와 침윤도, 림프절 전이 및 TNM 병기에 있어서 양 군 간에 차이는 없었다. 전반적인 건강 상태와 관련된 2 항목의 평균 점수는 개복 군이 57 (${\pm}20.6$), 복강경 군이 60.3 (${\pm}20.4$)으로 양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기능과 관련된 15 항목과 증상과 관련된 13항목에 있어서도 양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EORTC QLQ-STO22를 이용한 '삶의 질' 비교 결과 개복군의 평균 점수는 94.5 (${\pm}97.3$), 복강경군은 68.9 (${\pm}64.9$)로 개복군에서 전반적으로 불편한 증상을 많이 호소하였으나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었다. 결론: EORTC QLQ-C30 (3판)과 EORTC QLQ-STO22 한글판을 이용한 설문조사 결과 장기적인 측면에서 위 절제술에 복 강경 적용이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 PDF

복부질환 진단 지원을 위한 다중 장기 분할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Multi-Organ Segmentation Model for Support Abdominal Disease Diagnosis)

  • 노시형;임동욱;이충섭;김태훈;박철;정창원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46-548
    • /
    • 2023
  • 인공지능 기술을 도입한 의료분야에서 진단 및 예측을 위한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 기술 적용에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의료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질환에 관한 진단 연구는 매우 복잡한 과정이 필요한 질환의 진단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복부 장기들의 분할은 환자의 질환 진단 지원 및 복강경등의 수술 지원에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본 논문에서는 의료영상을 통해 13가지 복부 장기들을 분할하는 모델을 만들고 그 결과를 보인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모델을 통해 13가지 복부 장기에 대한 분할로 영상분석을 통해 진단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개와 고양이에서 복강경을 이용한 생검 증례 (Diagnostic Laparoscopic Biopsy in Dogs and Cats)

  • 박세진;이승용;진소영;김민향;석성훈;김영기;이희천;정동인;홍일화;연성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1-24
    • /
    • 2016
  • 4마리의 개와 2마리의 고양이에서 질병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 복강경을 이용한 생검을 시행하였다. 환견 및 환묘들의 주요호소증상은 1마리(case 5, 발작)를 제외하고 구토였다. 2마리의 환견(case 1, 5)은 간 생검이, case 2(소장)를 제외한 나머지 환묘들은 위와 소장의 생검이 지시되었다. 수술은 일반적인 수술 방법을 응용하여 시행하였다. 모든 환견 및 환묘들은 특별한 이상 없이 회복하였고 입원 치료는 불필요하였으며 어떠한 부작용도 관찰되지 않았다. 복강경을 이용한 생검은 절개 길이를 줄이고 회복을 빠르게 하는 이점을 지닌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