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복강경 수술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24초

개에서 내시경을 이용한 경위장관 담낭절제술 1예 : 자연개구부 내시경수술 (Transgastric Endoscopic Cholecystectomy in a Dog : Natural Orifice Transluminal Endoscopic Surgery)

  • 정성목;김영일;이재연;지현철;박지영;박종헌;김지연;이상일;김명철;신상태;이영원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15-319
    • /
    • 2007
  • 1년령, 암컷, 15 kg의 잡종견에서 위내시경을 이용한 경위장관 담낭절제술을 최소한의 복강경 도움아래에서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내시경용 바늘 절개도를 이용하여 배쪽 유문부에서 위절개를 실시하였다. 위절개부를 통하여 내시경을 복강내로 진입한 다음 뒤쪽으로 돌려서 담낭쪽 시야를 확보하였다. 술야의 확보를 위해 복강경용 겸자를 이용하여 담낭의 바닥부위를 부드럽게 들어올렸다. 담낭관과 동맥을 내시경용 endoclip을 이용하여 3중 결찰하였다. 담낭관과 동맥을 절단한 후 내시경용 소작겸자와 바늘 절개도를 이용하여 담낭을 간으로부터 분리하였다. 분리된 담낭은 내시경을 이용해 입을 통하여 제거하고, 위절개부위는 내시경용 endoclip을 이용하여 봉합하였다. 술후 3일째 방사선검사 및 혈청화학검사를 통해 위봉합부위의 천공이 없음과 담즙의 누출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술후 16일째 위내시경과 복강경 검사를 실시하였다. 위내시경검사 결과 봉합부위가 완전히 유합 되었음을 확인하였고 복강경 검사를 통해 담낭절제부위와 위절개부의 장막에 대망막이 유착되어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개에서 자연개구부 내시경수술(NOTES)을 이용한 담낭절제술의 최초 보고로써 새로운 방법에 의한 담낭절제술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한다.

냉요법을 이용한 수술 후 구강간호가 복강경 자궁근종절제술 환자의 오심, 구토 및 구강 불편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ostoperative Oral Care Using Cold Therapy on Nausea, Vomiting and Oral Discomfort in Patients with Laparoscopic Myomectomy)

  • 정미영;최효선;박경연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92-301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postoperative oral care using cold therapy on nausea, vomiting and oral discomfort after laparoscopic myomectomy. Method: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an experimental group (n=29) and a control group (n=35) sampled from patients admitted to a women's hospital in a metropolitan city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between October 10, 2011 and January 31, 2012 and analyzed using Chi-square, Fisher's exact test, t-test, and repeated measure ANCOVA with SPSS/WIN 19.0. Results: After the intervention, postoperative nausea (p<.001) and oral discomfort for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sence of vomiting between both groups at 12 hours (p<.001) and 24 hours (p=.003) after leaving the recovery room. Conclusion: Oral care using cold therapy was found to be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reducing postoperative nausea, vomiting and oral discomfort up to 24 hours after recovery in patients with laparoscopic myomectomy.

개와 고양이에서 복강경을 이용한 생검 증례 (Diagnostic Laparoscopic Biopsy in Dogs and Cats)

  • 박세진;이승용;진소영;김민향;석성훈;김영기;이희천;정동인;홍일화;연성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1-24
    • /
    • 2016
  • 4마리의 개와 2마리의 고양이에서 질병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 복강경을 이용한 생검을 시행하였다. 환견 및 환묘들의 주요호소증상은 1마리(case 5, 발작)를 제외하고 구토였다. 2마리의 환견(case 1, 5)은 간 생검이, case 2(소장)를 제외한 나머지 환묘들은 위와 소장의 생검이 지시되었다. 수술은 일반적인 수술 방법을 응용하여 시행하였다. 모든 환견 및 환묘들은 특별한 이상 없이 회복하였고 입원 치료는 불필요하였으며 어떠한 부작용도 관찰되지 않았다. 복강경을 이용한 생검은 절개 길이를 줄이고 회복을 빠르게 하는 이점을 지닌 것으로 생각된다.

부인과 복강경 수술의 합병증에 대한 한의진료 방향에 대한 고찰 -부인과 복강경 수술 후 발생한 좌골신경병증 1례를 중심으로- (Traditional Korean Medicine Management of Complications of Gynecologic Laparoscopy -A Case Report of Sciatic Neuropathy after Gynecologic Laparoscopy-)

  • 최민선;김동일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24-135
    • /
    • 2010
  • Purpose: To report the patient with sciatic neuropathy after gynecologic laparoscopy, who improved by Traditional Korean Medical treatment and to study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management of complications of gynecologic laparoscopy. Methods: A patient with sciatic neuropathy after gynecologic laparoscopy was managed with herbal medicine, acupuncture and moxibustion treatment. Results: After about 2 months treatment, patient's symptoms and signs were improved. TKM management was effective in recovery of neurologic complication after gynecologic laparoscopy. Conclusion: We need to actively participate in management of complications of gynecologic laparoscopy as primary or adjuvant therapy. And more study is needed for developing Traditional Korean Medical indication of complications of Gynecologic Laparoscopy.

일개 종합병원 복강경 위절제술 환자의 표준진료지침 적용효과 (Effects of a Standardized Critical Pathway for Laparoscopic Gastrectomy Patients in a General Hospital)

  • 박효진;박종;류소연;최성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649-657
    • /
    • 2016
  • 본 연구는 새롭게 개발된 복강경 위절제술의 표준진료지침(Critical pathway, CP) 적용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에 소재한 C병원 위장관클리닉에서 위암으로 진단받고 복강경 위아전절제술을 시행하고 퇴원한 20세 이상의 성인 환자로, 실험군은 2008년 10월부터 2009년 9월까지 CP를 적용하여 복강경 위아전절제술을 시행한 환자 102명으로 하였고, 대조군은 2007년 9월부터 2008년 9월까지 CP를 적용하지 않고 복강경 위아전절제술을 시행한 환자 63명으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 퇴원시 통증에서는 CP적용군이 비적용군보다 퇴원 당일 통증이 있는 경우가 0.07배 낮았다(Odds ratio [OR], 0.07; 95% Confidence interval [CI], 0.03-0.21). 총 재원일수는 CP적용군에서는 평균(표준오차)은 8.95(1.33)일, 비적용군에서는 평균 10.69(4.04)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01), 수술 후 재원일수 또한 CP적용군이 평균 7.16(0.94)일, 비적용군이 평균 8.79(3.90)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01)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 복강경 위절제술에 대한 CP의 적용은 퇴원시 통증감소, 총 재원일수 및 수술 후 재원일수를 단축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고양이의 자궁축농증에서 복강경을 이용한 난소자궁절제술 (Successful Laparoscopic-Assisted Ovariohysterectomy in a Cat with Pyometra)

  • 김영기;이승용;박세진;석성훈;진소영;이희천;연성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408-411
    • /
    • 2012
  • 자궁축농증으로 내원한 고양이에서 복강경을 이용한 난소자궁절제술을 시행하였다. 먼저 제대 port를 통해 5 mm working channel을 가진 10 mm 복강경을 복강내로 삽입하였다. Working channel을 통해 복강 내로 도입된 atraumatic grasping forceps을 이용하여 난소를 배측복벽으로 견인한 후 난소 동,정맥을 노출시키기 위해 난소를 배측 복벽에 일시적으로 고정시키는 transabdominal suspension suture를 적용하였다. 난소 동, 정맥과 난소걸이인대는 5 mm multifunction bipolar grasping forceps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소락절제하였다. 양쪽 난소의 절제 후, 제대 port의 꼬리쪽 방향에 5 mm 직경의 추가 port를 장착하였다. 추가 port를 통해 grasping forceps을 복강 내로 삽입한 후 절제된 난소와 자궁을 복강 밖으로 배출하였다. 이때 자궁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port의 직경을 2 cm로 확장하였다. 자궁몸체와 자궁동맥은 복강 밖에서 결찰 후 절제하였다. 술 후 5주간의 관찰 결과, 복강경수술과 관련된 어떠한 부작용도 관찰되지 않았다. 본 증례는 고양이에서 자궁축농증 치료에 복강경을 적용한 예이다.

조기위암에서 복강경보조 위전절제술 및 췌장보존식 비전절제술 1예 (Laparoscopy-assisted Total Gastrectomy with Pancreas-preserving Splenectomy for Early Gastric Cancer: A Case Report)

  • 박종민;김도윤;이재만;임채선;진성호;조용관;한상욱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7권2호
    • /
    • pp.97-101
    • /
    • 2007
  • 저자들은 조기위암 환자에서 복강경보조 위전절제술 및 췌장보존식 비장절제술을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 하고자 한다. 62세 남자 환자로 내시경 조직검사에서 위상부와 위하부에 2개의 병변을 가진 조기위암으로 진단되어 복강경보조 위전절제술을 계획하고 수술을 진행하였다. 기복을 형성 후 5개의 투관을 삽입하여 위의 대만을 초음파 소작기로 박리 후 비장의 하단으로 박리를 진행하던 중 비장문부의 림프절 종대가 관찰되어 동결절편검사를 시행한 결과 암전이가 확인되어 위전절제술과 함께 췌장보존식 비장절제술을 시행하였다. 검상돌기 직하부에 수직으로 4 cm의 절개창을 형성 후 위장과 비장을 꺼낸 후 Roux-en-Y 식도공장문합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는 수술 후 3일째 첫 번째 가스배출과 함께 유동식을 시작하였으며 별다른 문제없이 수술 후 9일째 퇴원하였다. 저자들은 비장문부의 림프절 암전이가 발견된 근위부 조기위암의 경우에도 복강경을 통한 제2군 림프절 절제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으며 복강경 보조 위전절제술 및 췌장보존식 비장절제술을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PDF

개에서 산화 스트레스 상태에 대한 일반 개복술 대 복강경 수술을 통한 담낭절제술의 영향 (Effects of Open versus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on Oxidative Stress in Dogs)

  • 이재연;정성목;김명철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97-30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개에서 일반 개복술을 통한 담낭절제술과 복강경을 이용한 담낭절제술에서 생체 내 산화-항산화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연구하였다. 10 마리의 비글견을 사용하였고 일반 개복술을 통한 담낭절제술군 (group 1, n = 5)과 복강경을 이용한 담낭절제술군 (group 2, n = 5)으로 분류하였다. 심박수, 혈압, 호기말 이산화탄소 분압, 말초 산소포화도, 호흡수를 측정하였다. 산화 스트레스 평가를 위한 총 산화 상태 (total oxidant status, TOS) 및 총 항산화 상태 (total antioxidant status, TAS) 수준이 측정되었다. TAS에 대한 TOS의 비율로 산화 스트레스 지수 (OSI)를 평가하였다. 수술 후에 두 군 모두 TOS, OSI, TAS의 유의성 있는 변화가 관찰되었으나 군 간의 유의성은 없었다. 본 실험을 통해 개에서 일반 개복술을 통한 담낭절제술과 복강경을 이용한 담낭절제술에서 생체 내 산화스트레스 상태에 미치는 영향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수술실의 소음차단이 산부인과 복강경 수술 환자의 불안과 활력징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oise Block on Anxiety and Vital Sign of Patients with Gynecologic Laparoscopic Surgery in Operating Room)

  • 최미선;이은자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17-325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noise block on anxiety and vital sign of gynecologic laparoscopic surgery.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to May 2011. Participants were sixty patients with gynecologic laparoscopic surgery, divided into 30 of experimental group and 30 of control group at C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I city. The day before surgery, demographic data, trait-state anxiety and vital signs were measured at ward. After noise block, the data were measured using VAS anxiety and vital signs before anesthesia and in recovery room. And then state anxiety and vital signs were measured in ward after surgery. The data were analyzed by $x^2$-test, t-test, repeated measured ANOVA and Bonferroni comparison method using SPSS/WIN 19.0. Results: After conducting noise block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state anxiety and heart rate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VAS anxiety, systolic pressure and diastolic pressure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This program can be regard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the management of anxiety with gynecologic laparoscopic surgery.

고추파스를 이용한 수지요법 침점(K-D2) 자극과 예방적 항구토제의 병용요법이 부인과 복강경 수술 후 오심과 구토에 미치는 효과 (Combination Effects of Capsicum Plaster at the Korean Hand Acupuncture Points K-D2 with Prophylactic Antiemetic on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after Gynecologic Laparoscopy)

  • 정현정;박상연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15-224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combination effects of capsicum plaster at the Korean hand acupuncture points K-D2 with prophylactic antiemetic on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PONV). Methods: An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a randomized, a double-blinded, and a placebo-control procedure) was used. The participants were female patients undergoing gynecologic laparoscopy; the control group (n=34) received intravenous prophylactic ramosetron 0.3mg, while the experimental group (n=34) had Korean Hand Therapy additionally. In the experimental group, capsicum plaster was applied at K-D2 of both 2nd and 4th fingers by means of Korean Hand Therapy for a period of 30 minutes before the induction of anesthesia and removed 8 hours after the laparoscopy. Results: The occurrence of nausea, nausea intensity and need for rescue with antiemetic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less than in the control group 2 hours after surgery. Conclusion: Results of the study show capsicum plaster at K-D2 is an effective method for reducing PONV in spite of the low occurrence of PONV because of the prophylactic antiemetic med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