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보 건설

Search Result 1,774,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Velocity Fields in the vicinity of Step Weir (계단형 보 주변 유속장 분석)

  • Ryu, Yong Uk;Kang, Joon Gu;Yeo, Hong Koo;Lee, Nam Joo;Kim, Ji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54-454
    • /
    • 2016
  • 하천의 치수안정성 확보 및 수심유지, 생태복원 등과 같은 다양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보의 성능 개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계단형 보는 재료에 의한 폭기효과 및 서식처 효과 등의 환경적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기존 연구는 표면류 흐름특성을 검증하고 유량변화에 따른 하류단 도수발생위치 변화를 분석하는 등 계단형 보에 대해 수리특성을 정량화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흐름변화에 따른 유속장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능성 친환경 횡단 구조물 유형 중 하나인 계단형 보의 안정성 검토를 위한 수리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함으로써 구조물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자체 및 하류 보호공 주변의 유속 분석을 통한 흐름 특성을 검토하고 설계시 외력 고려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계단형 보모형에 대해 수리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폭 0.24 m, 총 길이 3.70 m, 높이 0.30 m인 순환실험수로를 이용하였으며, 계단형 보 모형은 5단으로 단 높이 2 cm와 단 길이 5 cm이며, 보 높이는 10 cm, 보 길이는 25 cm 모형으로 실험하였다. 하류에 전도식 게이트를 설치하여 하류 수위를 증가시키면서 보 하류부에서 발생하는 완전도수부터 하류수심이 보 높이를 초과하는 잠김흐름 조건에 대해 실험하였다. 측정기법은 입자영상측정계(Particle Image Velocimetry; PIV)를 이용하였으며, 상류영역부터 하류영역에 대해 보 주변 흐름의 순간적 유속분포를 확인하였다. 또한 측정된 전반적 흐름 양상에 대해 통계적 수리분석을 수행하였다. 흐름특성에 대한 연구는 향후 계단형 보의 물받이 길이 및 보의 적정 규모 설계시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불공정 하도급-하도급대금지급보증계약 상 보증책임 범위 제한 조항 무효

  • Korea Mechanical Construction Contractors Association
    • 월간 기계설비
    • /
    • no.9 s.218
    • /
    • pp.40-42
    • /
    • 2008
  • 공정거래위원회(위원장 백용호)는 지난 7월 25일 건설공제조합이 원수급자와 체결하는 하도급 대금지급보증계약상 보증책임의 범위를 지나치게 제한한 조항이 "약관의 규제에 관한 법률" (이하 "약관법"이라 함)에 위반된다고 판단하고 사업자에게 이를 60일 이내에 수정.삭제하도록 시정권고 조치하였다. 이에따라 건설공제조합의 불공정약관이 개선되면 앞으로 설비건설업체들이 하도급대금지급보증서를 받고서도 건설공제조합으로부터 보증금을 받지 못하는 폐단이 사라지게 될 것으로 보여진다.

  • PDF

SPECIAL 2 LEGISLATION - 2013년 건설경기 전망 및 시사점

  • Lee, Hong-Il
    • Cement
    • /
    • s.196
    • /
    • pp.13-19
    • /
    • 2012
  • 2013년에도 국내 건설경기는 본격적인 회복국면 진입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시멘트업계는 2013년에도 지속해 경영합리화의 기조를 유지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2013년 하반기에 대내외 거시경제 여건이 개선되어 국내 거시경제가 상저하고의 패턴을 보인다면 건설경기도 2013년 하반기에는 완만하게나마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이 글에서는 먼저 2013년 건설경기에 영향을 미칠 주용 쟁점요인을 살펴본 뒤 2013년 국내 건설수주 및 건설투자를 전망하고 시사점을 도출해 본다.

  • PDF

Riverbed Change Monitoring According to Gongju Weir Contruction (공주보 건설에 따른 하상변동 모니터링)

  • Yu, In-Sang;Oh, Kuk-Ryul;Jin, Kee-Hyun;Jeong, Sa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685-685
    • /
    • 2012
  • 농업용수 및 친수공간 확보, 경관 향상 등의 다양한 목적을 위한 보의 건설은 하천의 흐름을 차단하여 보를 기준으로 상 하류의 흐름특성을 변하게 하고 토사퇴적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토사의 퇴적으로 인해 하상이 상승되면 홍수시 홍수위 상승에 의한 치수적인 문제점이 발생하고 토사의 침식이나 공급차단으로 인해 하상이 저하되면 하상세굴로 인해 교각이나 수위관측소와 같은 하천시설물의 기능이 저하되며 하천부지의 변화 등 하천유역 관리에 많은 영향을 준다. 따라서 보 상 하류의 하상변동을 예측하고 분석하는 것은 하천 관리에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공주보 건설 기간 중 공주보를 기준으로 상 하류의 하상변동 및 퇴적 토사의 입도 변화양상을 조사하기 위해 모니터링 지점을 선정하였고, 하상단면 수심측정기를 이용하여 하상의 형상 모니터링을 통해 하상변동 양상을 분석하였으며 토사시료를 채취하여 하상재료 입도분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공주보 상류 모니터링 지점의 하상 평균높이가 0.52m 낮아진 것으로 측정되었고, 하류 모니터링 지점 역시 하상고의 평균 높이가 0.36m 저하된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하상형상의 모습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보의 건설로 상류측의 토사퇴적이 예상 되었으나 모니터링 시에는 수문이 개방되어 하천의 흐름이 비교적 원활하여 보 상류측에 토사의 퇴적현상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하상재료를 채취하여 균등계수 및 곡률계수를 통해 입도분포를 분석한 결과 체가름시험 규정에 의해 '나쁜입도'로 분류되었다.

  • PDF

Changes in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Stream Habitats with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River-Crossing Structures in the Geum-gang River, South Korea (금강에서 횡단구조물의 설치와 운영에 따른 하천 서식처의 경관 특성 변화)

  • Kim, Dana;Lee, Cheolho;Kim, Hwirae;Ock, Giyoung;Cho, Kang-Hyun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8 no.1
    • /
    • pp.64-78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river-crossing structures on the habitat landscape characteristics in the Geum-gang River, South Korea. A total of three study reaches were selected in the downstream of the Daecheong Dam: the Buyong-ri reach, which is a control that is not affected by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weir of the Four Rivers Project and Sejong-bo Weir reach and Gongju-bo Weir reach of the upper and lower sections of each weir that are affected by the weir construction and operation. The habitat type was classified, and the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were analyzed using aerial photographs taken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Daecheong Dam,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weir, and before and after the weir gate operation. After the construction of Daecheong Dam in Geum River, the area of the bare land greatly decreased, and the area of grassland and woodland increased in the downstream of the dam. In addition, the patch number in the river landscape increased, the patch size decreased, and the landscape shape index and the habitat diversity increased. Therefore,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dam, the bare land habitat was changed to a vegetated habitat, and the habitat was fragmented and diversified in the downstream of the dam.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weirs, the area of open water increased by 18% in the Sejong-bo reach and by 90% in the Gongju-bo reach, and the landscape shape index of the open water decreased by 32% in the Sejong-bo reach and by 35% in the Gongju-bo reach, and the habitat diversity index decreased to 25% in the Sejong-bo reach and to 24% in the Gongju-bo reach. Therefore, the open water habitat was expanded, the shape of the habitat was simplified, and the habitat diversity decreased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of the weirs. After water-gate opening of the weir, the bare land that disappeare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weir reappeared, and the landscape shape index and habitat diversity index increased in both terrestrial and open water habitats.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the river habitats were restored to the pre-construction of the weir by the operation of the weir gate. The effect of weir gate opening was delayed in the downstream than in the upstream of the weir. Alth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structure in the river habitat changed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river-crossing structures, it is thought that proper technology development for the ecological operation of the structures is necessary as the habitat environments can be restored by the operation of these structures.

도표로 보는 건설산업

  • 한국주택협회
    • 주택과사람들
    • /
    • no.54 s.71
    • /
    • pp.229-274
    • /
    • 1996
  • 이 자료는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일반 국민들의 건설사업에 대한 이해를 돕고 건설산업관련 종사자들에게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에 목적을 두고 건설사업에 대한 몇가지 주제인 국민경제와 건설산업, 건설업의 현황, 건설경영, 해외건설 및 건설산업의 미래에 대하여 핵심적인 내용과 관련 통계를 알기쉽게 도표로 표현하고 또 필요한 곳에는 간단하게 설명을 추가하여 만든 책자를 전제한 것이다.

  • PDF

Properties of Mortar with Polysilicon Sludge Based Active Loess Cement (활성황토 시멘트 기반 폴리실리콘 슬러지를 사용한 모르타르의 특성)

  • Kang, Jeon-Uk;Kim, Dae-Yeon;Shin, Jin-Hyeon;Lee, Sang-Soo;Song, Ha-Young
    • Journal of the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
    • /
    • v.6 no.4
    • /
    • pp.275-282
    • /
    • 2018
  • This study examines the ways to address environmental issues by utilizing activated loess to reduce the amount of cements that emit a large amount of carbon dioxide during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nd by reusing the polysilicon sludge produced as a result of manufacturing polysilicon, one of the components for solar power generation panels. The findings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the optimal replacement ratio of the polysilicon sludge is 20%, 35% for W/B, and 20% for the ratio of the fine aggregate addition. As it is deemed that utilizing the polysilicon sludge for reinforced concrete may lead to rebar corrosion due to the $CI^-$ contained in the sludge, it can be considered to use for unreinforced concrete or bricks.

미분양으로 인한 건설사들의 경영난-빠른 대책없으면 심각한 내수 침체 가능성

  • Kim, Hyeon-A
    • 주택과사람들
    • /
    • s.219
    • /
    • pp.20-23
    • /
    • 2008
  • 건설사들이 미분양과 원자재 가격 상승이라는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지방에서 시작된 미분양이 수도권까지 확산되면서 1995년의 역대 최대 미분양 사태와 비교되며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대외 경제 여건 악화와 원가 상승, 금리 인상까지 겹쳐 더욱더 어려워질 것으로 보이는 건설사들의 경영난을 들여다봤다.

  • PDF

Temporal changes in river channel habitat diversity by large weirs in the Geum River using satellite imagery analysis (위성영상 분석을 통한 금강수계 대형보에 따른 수변서식처 다양성 변화 연구)

  • Ock, Giyoung;Choi, Mikyoung;Kim, Jeong-Cheol;Park, Hyung-Geu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38 no.4
    • /
    • pp.705-713
    • /
    • 2020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temporal changes of river habitats caused by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three large weirs (Sejong, Gongju, and Baekje) in the Geum River.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ry taken during three periods (preconstruction, before and after gate operation) were used for habitat analysis. We divided bar area into eight habitat types in addition to water area. Then, we identified the nine habitat types from the satellite imagery and estimated each habitat area. Our results show that after weir construction, large bar areas were dramatically decreased and bareland was nearly absent post gate-operation in all three weirs. However, total bar area and bareland were again increased distinctively soon after weir opening events, especially in the uppermost weir, the Sejongbo. These results suggest that weir opening operations provide a relatively simple channel of more diverse through the process of increasing bar area in a river channel.

Contribution Analysis of Environmental Facilities Effluents to Stream Flow in Nakdong River Basin (낙동강수계 환경기초시설 방류수가 하천유량에 미치는 기여도 분석)

  • Park, Yoonkyung;Kim, Sangd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93-293
    • /
    • 2016
  • 낙동강 유역에는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를 예방하고 수자원확보 및 수질개선 등을 목적으로 4대강 사업을 진행하였으며, 이에 낙동강 수계에는 총 8개의 보가 건설되었다. 보가 건설됨에 따라 하천의 하상형태, 체류시간 등 다양한 하천수리 특성이 변화하였다. 환경기초시설 방류수는 보 건설이전에도 하천 유량에 미치는 영향력이 컸으며, 그 중요성으로 인해 하천유량에 대한 환경기초시설 방류수가 하천유량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이 수행되었다. 그러나 4대강 사업 이전의 하천 유량 및 수질 특성에 대한 연구는 보 건설로 인해 변화된 낙동강 수계의 하천 수리 및 수질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다. 따라서 보 건설로 인해 변화된 하천수리 특성이 반영된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하천수리 특성이 변화된 낙동강 수계의 환경기초시설 방류수가 하천유량에 미치는 기여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환경기초시설의 방류수가 하천유량에 미치는 기여도는 주요 환경기초시설이 있을 경우와 없을 경우로 구분하여 기여도 분석이 수행된다. 이를 위해서 사용되는 모형은 SWAT이며, 금회에는 낙동강 수계의 금호강 유역을 연구대상유역으로 우선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환경기초시설 방류수가 하천유량에 미치는 기여도를 낙동강 전체유역으로 확장시키기 위한 선행연구가 될 수 있다. 또한 더 나아가 환경기초시설 방류수가 하천수질에 미치는 기여도를 분석하기 위한 선행연구가 될 수 있다. 하천유량과 수질에 대한 환경기초시설의 방류수 기여도가 정량화된다면, 낙동강 수계에 적합한 수질관리정책방안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