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보호 마스크

Search Result 73,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The Object Based Image Masking Algorithm (객체기반 초상권 보호 영상처리 알고리듬)

  • 윤호석;임재혁;전우성;원치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1999.11b
    • /
    • pp.93-98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영상 내 존재하는 의미 있는 객체단위로 초상권을 보호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초상권 보호 객체선택 단계와 객체에 마스크를 적용하는 단계 그리고 마스크가 적용된 객체를 추적하는 단계로 나누어진다. 초상권 보호 객체선택 단계에서는 블록분류(block classification) 및 워터쉐드(watershed)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분할된 결과영상을 얻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객체를 마우스로 클릭함으로써 손쉽게 초상권 보호법을 적용시킬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렇게 정의된 객체는 다음 단계에서 마스크를 적용 받게 된다. 첫 번째 프레임에서 마스크가 적용되면 다음 프레임부터는 객체추적과정에서 연된 화면사이의 움직임 및 밝기정보에 의해 객체를 추적, 계속 마스크를 적용함으로써 초상권을 보호할 수 있다. 제안된 알고리듬은 초상권 보호를 위한 모자이크 처리 시 화질 저하에 따른 시청자의 화면 거부감을 최소화시키고, 반자동영상분할 알고리듬을 사용하여 객체 단위로 초상권 마스크를 적용하여 초상권 보호대상물을 놓치지 않고 추적할 수 있어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 PDF

The Effects of Mask Covers on the Fit Factorsof Respirators (호흡보호구에서 마스크커버가 밀착계수에 미치는 영향)

  • Han, Don-He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 /
    • v.23 no.3
    • /
    • pp.177-183
    • /
    • 2013
  • Objectives: 본 연구는 호흡보호구의 밀착도의 척도인 밀착계수 (FF)를 이용하여마스크에 마스크 커버를 씌웠을 때 호흡보호구의 밀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고자 하였다. Methods: 3개 회사의 호흡보호구 (1개 1/4형, 2개 반면형)를 선정하여25의 피검자 (남자 16, 여자 9)에게 마스크 커버를 씌우지 않은 마스크와 씌운 마스크를 착용하게 하고 정량적인 밀착도 검사 (QNFT)를 실시하여 밀착계수 (FF)를 측정하였다. 동일한 조건에서 각 피검자에게 3번의 QNFT를 실시였으므로 한 마스크 당 씌운 것 75회, 씌우지 않은 것 75회, 150회를 시행하여 비교하였고 3개 마스크에 총 450회를 시행하였다. Results: 마스크 A (반면형)는 예상과는 다르게 마스크 커버가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FF값이 더 높게 나왔으며 (p<0.05), 마스크 B (1/4형)와 마스크 C (반면형)은 마스크 커버가 없는 경우가 있는 경우보다 FF가 높게 나왔다. 마스크 B는 마스크 커버와 관계없이 FF가 너무 낮아 밀착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었으며 반대로 마스크 C는 마스크 커버에 영향을 받았으나 FF가 매우 높게 나와 밀착에는 큰 문제가 없다고 판단되었다. Conclusions: 본 연구 결과는 마스크에 자신의 마스크 커버를 씌울 경우 밀착에 큰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FF만 가지고 실험했기 때문에 제한적이며 실제 작업현장에서 밀착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작업장보호계수 (WPF)를 이용한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Mask detection in complex scenes using an ensemble of YOLO models (YOLO 모델 앙상블을 이용한 복잡한 장면에서의 Mask Detection 기법)

  • Hu, Xufeng;Lim, Hyunseok;Gwak, Jeo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97-98
    • /
    • 2022
  • 코로나바이러스-19 팬데믹 이후 매일 수만 명의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 보건당국은 사람들의 생활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공항, 정류장 등 공공장소에서는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하라고 지시하고 있다. 마스크를 착용하는 목적은 감염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바이러스 전파와 확산을 막기 위한 것이다. 공공장소에서는 많은 인원에 대한 일괄적인 마스크 착용 검사를 하기 어렵고, 육안으로 확인하는 마스크 착용 검사 방법은 인파가 몰리는 장소에서 검사 효율이 떨어지며 누락되는 경우도 많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입력 이미지에 존재하는 얼굴 영역을 YOLOv4와 YOLOv5 모델을 통해 예측하여 마스크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되, 앙상블 기법을 적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BB(Bounding Box) 추출 및 마스크 착용 탐지 기법을 적용한다. 따라서 공공장소의 마스크 착용실태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Face Masks Distribution System based on the Blockchain Decentralized Identity (블록체인 분산신원증명에 기반한 공적마스크 중복구매 확인 시스템에 대한 연구)

  • Noh, Siwan;Jang, Seolah;Rhee, Kyune-Hyun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05a
    • /
    • pp.214-217
    • /
    • 2020
  • 2020년 1월 국내에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확산으로 인해 보건 마스크의 수요가 급증하고 이에 따라 마스크의 가격이 폭등하자 정부가 건강보험정보를 기반으로 보건용 마스크 판매에 관여하는 공적 마스크 5부제를 시행해 왔다. 하지만 건강보험 가입정보에 의존적인 신원 인증 시스템으로 인해 유학생 등 건강보험 미가입자의 경우 마스크의 구입이 어렵고 개인정보 접근 문제 등으로 판매채널의 확장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건강보험과 같은 특정 신원정보 시스템에 의존하지 않고 중앙기관이 발행하는 신뢰할 수 있는 모든 신원정보(여권, 외국인등록증 등)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스스로 자신의 신원정보 속성을 블록체인을 통해 관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 방법에 대해 디지털신원 기법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기반으로 자체 평가를 수행한다.

Fractional efficiency of Nanomaterials for the High efficiency respiratory filters (고효율 호흡보호구의 나노물질 입경별 제거 효율)

  • Lee, Gwang-Jae;Ji, Jun-Ho;Kim, Won-Geun;Yook, Se-Jin;Kim, Jong-Kyo;Kim, Jung-Ho
    • Particle and aerosol research
    • /
    • v.12 no.3
    • /
    • pp.95-102
    • /
    • 2016
  • Controlling exposures to occupational hazards is important for protecting workers. Certified facepiece respirators are recommended when engineering controls do not adequately prevent exposures to airborne nanomaterial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arry out the experimental performance test to investigate the fractional efficiencies of the filter media for two grades of facepiece respirators. Experimental performance evaluations were carried out for the test NaCl particles and silver nanoparticles. For media of respirator filter, the penetration of NaCl particles was less than 5% and the most penetrating particle size occurred at about 40 nm. For silver nanoparticles, the most penetrating particle size was about 20nm with higher efficiency than those of NaCl particles. Charge characteristics of airborne nanoparticles is important because the media of respirator filter is made by the electret filter media.

Research on Uncomfortableness and Customer Needs of Life-type Protection Mask -Focused on UV Protection Mask and Dust Protection Mask- (생활형 보호마스크에 대한 소비자 불편사항 및 요구특성 분석 -자외선 차단마스크와 황사/미세먼지 차단마스크를 중심으로-)

  • Kang, Yeo S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40 no.1
    • /
    • pp.114-130
    • /
    • 2016
  • This research provides practical data to develop UV protection masks and dust protection masks. It surveyed uncomfortable factors and significant characteristics for masks. It used 653 subjects 20-79 years old and performed the research from April to May in 2014. Wearing masks at outdoor activities is not widely popular yet, but golf players, mountaineers and old people were quite interested in masks. People mainly wore a basic shape mask, but main age group of each mask shape was different. People usually prioritized the protection function and comfort of wearing over design; however, women, young generation and people attending to outdoor activities longer than 1 hour considered design quite important. People going on picnic or camping consider mask characteristics most important. Therefore, various mask shapes and protective functions should be developed to reflect consumer needs. Meanwhile, the discomfort levels of masks were not too high, but old people felt more discomfort than young people. The most discomfort factors were 'other's eye', 'distracting face movement' and 'feeling of foreign object'. They also mentioned falling problem of C shape mask and short-rib shape mask, and asked for a 'tighter fit' at the ear.

Hair Protection Effect by Adding Mask Pack Active Ingredients to the End Paper During Permanent Wave Treatment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시 엔드 페이퍼에 마스크팩 유효성분 첨가에 따른 모발 보호효과)

  • Lee, Bo-Lim;Ko, Kyoung-Sook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1 no.11
    • /
    • pp.288-295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nd paper adsorbed with mask pack active ingredients on hair during permanent wave treatment. Permanent wave was performed with purchasing mask packs containing green tangerine, collagen, and Houttuynia cordate active ingredients among commercially available mask packs and adsorbing them to the end paper. As experimental methods, hair thickness, hair moisturizing power, tensile strength, hair epidermis observation using SEM, and hair constituent element analysis using ED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treated with Houttuynia cordate active ingredient on the end paper had a hair protection effect as a result of hair thickness, tensile strength, hair epidermis observation, and hair component analysi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treated with green tangerine active ingredient on the end paper contained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moisture in the hair moisturizing power test result. It is hoped that the development and research of various materials and tools will proceed so that basic cosmetic product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can be developed and used as hair cosmetics, and applied during chemical treatment in the industrial field.

Develop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Air-Supplied Mask (분진의 인체내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송기 마스크의 개발 및 성능평가)

  • Kim, Min Cheol;Kim, Hyun Tae;Lee, Kyoo Won
    • Clean Technology
    • /
    • v.4 no.1
    • /
    • pp.60-67
    • /
    • 1998
  • As workers' health and welfare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here are needs for protecting workers from being exposed to dust particles in workplace. One of the simplest ways to protect workers is to wear a one-time-use mask of the 3M type. Although conventional masks are convenient to use, they provide low filtration efficiency simply because of air leaks through interface between the face and the mask. In this study, a new type of mask is developed and tested. The air which is filtered first using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HEPA) filter is supplied to the nose area of workers' face. The developed mask was tested for filtration efficiency and for workers' acceptance. Very good results were obtained for both accou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