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보행 시 사용

Search Result 227,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Effects of Auditory Cue AFO on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in Hemiplegia (편마비환자에서 청각 신호 단하지 보조기가 시-거리 보행 변수에 미치는 영향)

  • Han, Jin-T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 /
    • v.6 no.2
    • /
    • pp.127-133
    • /
    • 2011
  • Purpose: 본 연구는 단하지 보조기를 사용하는 뇌졸중환자의 시-거리 보행변수에 대한 청각신호 효과에 대한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Methods: 9명의 뇌졸중환자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대상자는 보조기 착용이 없는 경우, 기존 보조기 착용의 경우 그리고 청각신호 보조기 착용의 경우에 각각 시-거리 보행 변수에 대해 측정하였다. 8대의 동작분석 카메라 시스템(Motion Analysis Corporation, Santa Rosa, USA)을 사용하여 시-거리 보행 변수를 측정하였으며 Wilcoxon rank sum test을 이용하여 양하지의 대칭성을 분석하였고 Friedman test를 사용하여 다른 보조기 사용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았다. Results: 청각 신호 보조기의 경우, 손상측과 비손상측의 보행속도, 활보장 그리고 분속수가 대칭적으로 되었다. 손상측의 경우, 단하지 보조기를 착용하였을 때가 착용하지 않았을 때보다 대체적으로 보행 변수들이 증가하였다. 청각 신호 단하지 보조기를 착용하였을 때 손상측 하지의 보행 속도, 활보장, 보장, 양하지 지지 시간이 증가하였고 단하지 지지 시간은 감소하였다. Conclusion: 청각 신호 단하지 보조기 착용 시 보행 속도, 활보장, 보장은 보조기를 착용하지 않았을 때보다는 증가하였으나 청각 신호 단하지 보조기와 기존 단하지 보조기 착용 사이에는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는 청각 신호 단하지 보조기가 뇌졸중 환자의 시-거리 보행 변수를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앞으로 다양한 보행 변수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Analysis of Abnormal Gait and Over Pronation/Supination Gait Using Smart Insole (스마트 인솔을 이용한 비정상 보행 및 발의 내·외전 분석)

  • Kim, Jinu;Lee, Eun-Young;Kim, D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10a
    • /
    • pp.907-910
    • /
    • 2018
  • 오늘날 보행 분석은 여러 하지 관절, 뼈 및 근육, 신경 등의 이상을 판단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지표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비정상 보행, 비대칭 보행을 하고 있는 사람들은 자신이 인지 할 수 있을 만큼 그 문제의 정도가 심각하지 않은 상태라면, 그 사실을 모른 채 살아간다. 결국 이런 문제가 지속된다면 향후 큰 질병이 발생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40개의 압력센서를 내장한 인솔을 통해 각 발의 압력 데이터를 수집하여 미리 정의한 정상 보행 시 나타나는 압력 분포를 기준으로 비정상 보행 여부를 판단하고 보행 시 나타나는 부분별 압력분포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행 시 사용자 발의 과내전(over pronation)과 과외전(over supination) 경향도 분석하였다. 스마트 인솔을 사용하여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없는 사용자 친화적이면서 비정상 보행 판단 및 발의 과내 외전 경향 분석에 대해 자가 진단을 보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Current Situation of "Using a Smartphone while Doing Something Else" and Related Factors ("보행 시 스마트 폰 사용"의 현상과 관련 요인)

  • Tomomi, MIZUNO;Katsum, TOKUDA;CHO, Hong-joo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12
    • /
    • pp.561-569
    • /
    • 2016
  • Purpose : We will clarify the situation of using a smartphone and what kind of factors are currently related when people use a smartphone while doing something else in order to obtain basic information to educate people to prevent the use of smartphone while doing something else. Methods : We conducted an anonymous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ith 885 people who commuted by train to six companies located in Tokyo, Chiba, and Osaka and 550 university students who commuted by train to five universities located in the same areas. The research period was from April to May of 2014. Results : 33% of the subjects used a feature phone and 73% of the subjects used a smartphone. 38% of them listened to music, using their smartphones or feature phones while walking. B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with dependent variables of using a smartphone while walking and independent variables of age, sex, and educational advertisement. The results showed that people in their 20s used a smartphone while walking 4.93 times more than people in their 30s(p <0.00).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x and educational advertisement(poster, TV, or magazine) and using a smatphone while doing something else.

Influence of Smart Phone Use on Gait Pattern in Healthy Adults (스마트폰 사용이 건강한 성인의 보행패턴에 미치는 영향)

  • Moon, Jong-Hoon;Kim, Sung-Hyun;Na, Chang-Ho;Hong, Deok-Gi;Heo, Sung-Ji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3 no.1
    • /
    • pp.199-206
    • /
    • 2018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mart phone use on gait in healthy adults. Twenty healthy adults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performed twice for each normal gait and smart phone gait. The normal gait walked at their chosen speed, and the smart phone gait walked while watching the video. GAITRite system was used to identify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bles related to the gait pattern during walking. Statistical analysis was analyzed by paired t-test. In comparison of temporal variables, smart phone gait was significantly lower in gait speed and cadence than in normal gait(p<.05), and was significantly longer in single support time and double support time(p<.05). In comparison of spatial variables, smart phone gait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step length and stride length than in normal gait(p<.05) and significantly longer in step width(p<.05).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smartphone use can negatively affect the correct gait patterns during walking.

Development of Pedestrian Safety Index - Focused on Gyeongnam Province - (보행자안전지수 개발 - 경남도를 중심으로 -)

  • Kim, Kyung Whan;Oh, Il Seo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1 no.4D
    • /
    • pp.497-509
    • /
    • 2011
  • Walking is basic and important means of transportation for human. Although recently safety for pedestrians relating to traffic safety is considered to be important, efforts and interest for pedestrian safety are very unsatisfactory. Thus, it is needed to develop a pedestrian safety index which could be used to plan pedestrian safety program and to reduce/prevent pedestrian accidents. In this study, the Pedestrian Safety Index about 10 cities in Gyeongnam Province was developed using 5 factors highly influencing on pedestrian safety, which are the five year average pedestrian accidents per 100,000 population, the year 2009 pedestrian accidents per 100,000 population, crosswalk signal obey rate, jaywalking rate, and the year 2009 pedestrian accidents for children under 14 years and the elderly over 65 years. The perfect score for the index is 100. As the score becomes nearer to 100, pedestrian safety becomes better. The pedestrin safeties of Changwon, Gimhae and Masan are good and those of Sachon and Tongyong are bad. Tongyong's low score at the index is due to high pedestrian accidents rate only and Sachon's low score is due to high pedestrian accidents rate and jaywalking. At the pedestrian safety index of 10 counties of Gyeongnam Province, the pedestran safeties of Hamyang and Hapchon are good and those of Haman, Hadong and Gosung are bad.

The Effects of Dual-Task on Stepping Over Obstacles From a Position of Quiet Stance in Younger and Older Adults: A Pilot Study (장애물 보행시 젊은 사람과 노인들의 보행 양식에 대한 이중과업 수행의 효과)

  • Kim, Hyeong-Dong;Yoon, Bum-Chull
    • Physical Therapy Korea
    • /
    • v.9 no.4
    • /
    • pp.1-11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이중과업 방법론(dual task methology)을 사용해서 젊은 사람과 노인을 대상으로 독립된 두 사건(two separate concurrent events)을 동시에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주의력에 대한 분석과 노인에서의 특징적 차이를 찾는 것이다. 본 실험은 대상자가 힘판(force plate) 위에서 장애물(10cm) 보행시에 경피자극(cutaneous stimulation)에 대하여 마이크로 스위치(micro-switch)를 사용하여 반응하면서 시행되었다. 힘판과 시간(temporal events) 그리고 반응시간(reaction time)에 관한 자료들은 1000 Hz의 주파수로 수집되었다. 반응시간은 대상자들이 서 있는 상태(baseline) 장애물 보행시(dual task)에서 수집되었다. 반응시간은 아중과업 조건에서 대상자 모두에게서 긴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노인에서 정상 성인보다 반응시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과업 조건 하에서 노인 대상자가 정상 성인에 비해 발가락이 장애물에 닫지 않고 통과할 수 있는 공간, 즉 토우 클리어런스( toe-clearance)와 슬관전 굴곡(knee flexion) 각도가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과업 조건하에서 모든 대상자가 족관절 배측굴곡(ankle dorsiflexion) 각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은 젊은 대상자들보다 훨씬 더 긴(124 ms) 유각시간을 보여 주었으며 정상 장애물 보행시 유각 시간은 이중과업보다 50 ms 긴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보행 특성의 차이는 노인대상자들이 젊은 대상자들보다 장애물 보행시에 이중과업의 영향을 더 받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중 과업 시행시 이러한 토우 클리어런스의 감소와 장애물 통과시에 보행 속도의 증가는 아마도 낙상의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중과업(multitasks)을 필요로 하는 보행 훈련 프로그램(gait training program)의 개발과 시행에 있어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 PDF

Right Turn Blocking Time By Pedestrian Volume at Signalized Intersection Crosswalks (횡단보도의 보행자수에 따른 우회전 불가능한 보행자 횡단시간비율의 분석 (우회전.직진 공용차로를 대상으로))

  • 이호창;김동녕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8 no.4
    • /
    • pp.41-50
    • /
    • 2000
  • 신호교차로에서 맨 우측차로의 대부분이 우회전 공용차로로 사용되는데 도로용량편람에서 우회전이 불가능한 보행자 횡단시간 비율$(f_c)$은 공용차로의 용량을 결정하는 우회전보정계수$(f_{RT})$의 산정시 중요한 요소가 된다. 그러나 이에 대한 국내의 연구는 미미하여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유입부의 직진신호시간을 위주로 교차방향 횡단보도 내의 보행자수와 우회전차량의 통과여부를 촬영하여 분석하는 방법으로 진행되었으며, 우회전 차량이 교차도로의 보행자 횡단시간에 보행자와의 상충으로 우회전하지 못하는 시간 비율을 산정함에 있어서 횡단보도의 보행자수에 따라 우회전 차량의 통과율을 구하고 이로부터 횡단보도 보행신호시간동안에 우회전이 불가능한 시간비율을 산정했다. 연구결과는 우회전이 불가능한 시간비율이 시간당 보행자수(양방향)가 500인/시~1,500인/시로 변할 때 0.78에서 0.94사이의 값을 가지며 한국도로용량편람에서 제시한 값 0.3에서 0.9보다는 대체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용량편람에서 얻은 우회전차로의 용량은 과대 평가되는 경향이 있다.

  • PDF

A Study on the Convenience and Safety of Walking Assistance Robot as a Slope Way (보행보조로봇의 경사로 주행을 위한 보행 편리성 및 안전성 연구)

  • Lee, Dong-Kwang;Hong, Jung-Shik;Kwon, Oh-Sang;Lee, Eung-Hyu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0b
    • /
    • pp.337-338
    • /
    • 2008
  • 2008년 현재 우리나라는 10%의 인구가 60세 이상인 이른바 고령사회에 접어들었다. 노인 인구의 증가로 인해 노인이 여가생활 또는 일반생활을 보조하기 위한 보행 보조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대부분 동력이 없는 보행보조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구는 경사로 공간 또는 힘이 약한 노인들에게 취약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동력형 보행보조로봇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동력형 보행보조로봇 역시 경사로에 있어서 편리성과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보행보조로봇이 경사로에 진입 하였을 경우 기울어진 경사로의 정도를 인식하여 모터를 제어 한다. TILT 센서를 이용하여 기울이짐 정도를 측정 하였고, 또한 로봇의 전류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로봇의 안전성을 향상 하였다. 제어 시스템 구성은 사용자의 보행의지를 파악하기위해 FSR 센서를 부착하여 조향장치로 사용하였으며, 경사로를 인식하기 위해 Liquid 타입의 TILT 센서를 사용하였으며, 모션 제어를 위해 DSP를 사용하였다. 본 제어 시스템을 보조보행로봇에 적용하였을 때, 보행보조로봇이 오르막 경사로에 진입시 기존보다 힘을 적게 사용하여 경사로를 진행하였으며, 경사로에서 브레이크 작동속도가 향상 되었다. 또한 내리막 경사로에서는 모터의 힘을 적게 사용하고 중력의 힘을 사용하여 이를 통해 전류의 소비량을 개선 하였다.

  • PDF

가슴 착용형 보행 재활로봇의 개발

  • Kim, Hyeon;Gwon, Jeong-Gwan;Song, Sang-Yeong;Gang, Seok-Il;Kim, Jeong-Yeop
    • ICROS
    • /
    • v.21 no.2
    • /
    • pp.25-3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간병인의 도움없이 자가 보행 재활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가슴 착용형 로봇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로봇의 특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첫째, 구조적 특징으로써, 하박에 착용하는 기존 지팡이 타입의 엘보 크러치와 달리 개발된 로봇은 가슴에 착용되어 착용자의 두 팔을 자유롭게 하는 동시에 팔의 부담을 제거하여 준다. 둘째는 구동 알고리즘의 특징으로써, 가슴부에 부착된 압력센서로부터 사용자의 보행의도를 자동적으로 인식하여 로봇의 다리를 이동시킨다. 또한 착용자의 안전을 위해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착용자 전방에 장애물이 나타날 시 보행을 멈추고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마지막으로, 스카치요크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지지다리의 상승과 하강 시 지면 반발력으로 인하여지지 발 상/하강 모터에 과도한 토크가 부과되지 않도록 하였다. 이러한 세 가지 특징으로부터 개발된 로봇이 자가 보행 재활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보였으며, EMG (Electromyography) 센서를 이용하여 근력 보조 성능을 정량적으로 검증하였다.

  • PD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EMG Activities on the Lower Limb Muscles during Power Walking and Normal Walking (파워보행과 일반보행 시 하지근의 근전도 비교 분석)

  • Gi, Se-Joon;Chae, Woen-Sik;Kang, Nyeon-Ju;Jang, Jae-Ik;Yoon, Chang-Jin
    • Korean Journal of Applied Biomechanics
    • /
    • v.18 no.4
    • /
    • pp.125-133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EMG activities on the lower limb muscles during power walking and mormal walking. Seventeen subjects who have no known musculoskeletal disorders performed walking exercise at a cadence of 140 beats/min. After surface electrodes were attached to rectus femoris, vastus medialis, vastus lateralis, biceps femoris, tibialis anterior, medial gastrocnemius, averageed IEMG and peak IEMG, were measur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power walking did influence the averaged IEMG and peak IEMG. The EMG activity of the quadriceps during power walkin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rresponding values in normal walking during most phases. The averaged IEMG and peak IEMG of gastrocnemius muscles at the end of the double limb stance increased significantly when going from normal walking to power walking. The results indicate that power walking had greater effect on EMG activities on the lower limb muscles and demonstrate that the wide range of benefits can be obtained from power walking in respect to health and fitness. This study suggests that power walking has the potential to improve aerobic fitness and assist in weight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