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보행안전

Search Result 587,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Pedestrian signal Warrants at Urbanized Area (도시부 보행자 교통신호기 설치준거 연구)

  • 김윤지;장덕명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b
    • /
    • pp.408-408
    • /
    • 1998
  • 교통신호기는 다양한 교통통행에 우선권을 부여하는 교통안전시설물로서, 교통소통과 안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매우 중요한 통제시설이다. 그러나 현행 부적절한 신호기 설치로 차량 교통의 흐름을 방해하거나 교통사고를 증가시키는 경우가 있다. 본 연구는 교통안전시설실무편람에 제세된 9가지 신호기 설치준거 중 보행자 신호기 설치 준거에 대하여 국내도로상황 및 보행자 특성에 맞는 새로운 설치준거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통운영 측면에서 보면, 보행자 신호기는 보행자가 도로를 횡단하는데 적절한 간격을 찾을 수 없을 때 인위적으로 횡단간격을 만들어 주기 위한 교통제어시설이다. 따라서 보행자가 횡단보도에서 최대로 대기할 수 있는 시간을 기준으로 설치 여부를 결정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보행자가 보도상에서 기다릴 수 있는 최대한도 대기시간은 단일로상의 무신호 횡단보도에 교통신회가 설치되었을 경우 한 주기에서 녹색시간을 감한 시간으로 가정할 수 있다. 무신호 횡단보도 현장조사를 통하여 보행자 횡단행태, 횡단보행속도, 보행자 대기시간 등을 분석하였다. 차량의 간섭에 의한 보행자 회단간격과 차량 교통량과의 관계를 도출하고, 보행자 간섭에 의한 차량 교통량과 보행자 교통량과의 관계를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차로수별로 차량 교통량과 보행자 교통량 상관관계에 의한 신호기 설치, 설치고려, 미설치 영역을 구분하여 보행자 신호기 설치준거(안)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pedestrian accessibility for the general hospital buildings (종합병원건물의 보행공간 접근성에 관한 연구)

  • 서경부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a
    • /
    • pp.42-51
    • /
    • 1998
  • 안전한고 쾌적한 보행환경을 조성하여 보행 교통을 활성화시킨다면, 자동차의 사용이 줄게 되고 자동차의 유해한 배출가스로 인한 공기 오염 및 소음 등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심부의 미관 증대, 역사적 구역의 보존, 물리적인 도시 이미지 향상 등의 효과로 도심기능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보행통행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안전하고 효율성 있는 보행동선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당수의 종합병원과 같은 공공성을 띤 건물들은 대부분의 보행자가 보행동선을 이용하여 건물에 접근하는데도 불구하고 차량을 중심으로 동선이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차량위주의 동선 체계는 보행 통행자로 하여금 차량통행으로의 전환을 유도할 가능성이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분석대상으로 차량과 보행자에게 동등하게 접근의 용이성을 제공해야 하는 광주시의 4대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보행자 집단에게 가해지는 저항이 구체적으로 얼마나 심각하며, 그 원인은 어떠한 물리적 조건에 의하여 발생하는지 알아 보았다. 보행저항을 파악하기 위한 지표로는 차량과 보행자의 충돌점의 수, 최단거리 선호도, 보행로 미확보율 등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 나타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도 함께 모색하였다.

  • PDF

Estimating the Effectiveness of Road Safety Features using Pedestrian Accident Probability Model (보행자 사고확률모형을 이용한 도로안전시설물의 효과도 추정(4차로 일반국도를 대상으로))

  • Park, Gyu-Yeong;Lee, Su-Beom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4 no.4 s.90
    • /
    • pp.55-65
    • /
    • 2006
  • The ratio of Pedestrians in traffic accident fatality takes up 43% in Korea, which is 2.5 times as much as OECD's average. The traffic accidents features by road type shows that the fatality of the national highway posts the highest due to the accidents of pedestrians. Accordingly, the establishment of safety facilities for pedestrians is expected to increase on the rural roads for the prevention of pedestrian accidents. However, studies on pedestrians have been mainly focused on urban intersections. In Particular, studies on estimating the effectiveness of safety features for pedestrians are very poor. Thus, in this study. the Pedestrian accident probability model on four lane national highway was developed by using logit model. Also, this study analyzed and proposed the effect of facilities as a relative risk by using an odds ratio.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mprovement of sight distance, installing sidewalks and lightings were proven effective alternatives for reducing the pedestrian accidents.

Analysis of Elderly Pedestrian Traffic Accident Data and Suggestions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원인 분석 및 대책)

  • Ji, Osok
    • 한국노년학
    • /
    • v.30 no.3
    • /
    • pp.843-853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pedestrian accidents and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to enhance the level of elderly pedestrian safety. Although much efforts has made to enhance traffic safety environment, pedestrian traffic accidents among elderly population are not significantly decreased. This is mainly because current traffic safety measures do not much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pedestrians in the aspects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conditions. Main findings from vehicle-pedestrian traffic accident data and survey are as follows. First elderly pedestrians have high probability of traffic accident near crosswalks or cross streets rather than on crosswalk or cross streets. Second they need more green light time for crossing the streets. Third, they feel motor cycles running on the side walk and parked vehicles on the side walk are the most dangerous factors. Forth, general drivers do not have reasonable understanding for the walking behaviors of elderly pedestrians. Fifth, elderly pedestrians frequently need to rest while walking. Sixth, elderly people do not see clearly or understand traffic signs. Finally, many elderly pedestrians experience accidents or inconvenience while walking on the sidewalk.

야간 보행자 안전을 위한 조명기구 배치에 관한 연구

  • Lee, Jong-Seong;Kim, Ho-In;Lee, Seok-Jun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2.11a
    • /
    • pp.81-86
    • /
    • 2012
  • 본 연구는 야간 차량과 보행자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설치된 가로등과 도시경관과 환경 측면 중요한 구성요소인 가로수와의 관계를 조명 시뮬레이션 기법을 통하여 상호간의 상충요인에 대하여 분석한다. 특히 최근 야간에 건강을 위한 걷기 운동자가 증가하고 있어 이들에 대한 야간 보행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야간 걷기 운동자들의 보행 공간이 주로 주거지역에서 이루어짐으로 가로등의 역할이 상업지역에 비해 크다. 본 연구는 가로수의 유형과 성장이 보행로의 야간 조명에 미치는 영향을 시뮬레이션 기법을 통하여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추가적 조명을 설치할 경우 고려하여야 할 사항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Beginning Time of Flashing Green Signals for Pedestrians (보행신호등 녹색점멸신호의 시작시점에 관한 연구)

  • Shim, Kywan-Bho;Ko, Myoung-Soo;Kim, Jeong-Hy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6 no.5
    • /
    • pp.91-100
    • /
    • 2008
  • Pedestrians are exposed to accidents as a result of the lack of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a flashing green signal. This study was to designed to relate changes of pedestrians' crossing characteristics as a functions of flashing green signal timings. A field survey was conducted to collect pedestrian preference and safety and it was examined by signal operation experiment. Two versions of new pedestrian signal timings were compared to the existing pedestrian signal timing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number of pedestrians who starts to cross during flashing green signal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when flashing green signals started at 1/2 or 2/3 point of crossing. However, the number of pedestrians who remain in the crossing during red signal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flashing green signals started at 2/3 point of crossing. This study concludes that starting flashing green signals at 1/2 point of crossing is the safest. Also, implication and directions for its practical relevance were discussed.

Development of Pedestrian Safety Index - Focused on Gyeongnam Province - (보행자안전지수 개발 - 경남도를 중심으로 -)

  • Kim, Kyung Whan;Oh, Il Seo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1 no.4D
    • /
    • pp.497-509
    • /
    • 2011
  • Walking is basic and important means of transportation for human. Although recently safety for pedestrians relating to traffic safety is considered to be important, efforts and interest for pedestrian safety are very unsatisfactory. Thus, it is needed to develop a pedestrian safety index which could be used to plan pedestrian safety program and to reduce/prevent pedestrian accidents. In this study, the Pedestrian Safety Index about 10 cities in Gyeongnam Province was developed using 5 factors highly influencing on pedestrian safety, which are the five year average pedestrian accidents per 100,000 population, the year 2009 pedestrian accidents per 100,000 population, crosswalk signal obey rate, jaywalking rate, and the year 2009 pedestrian accidents for children under 14 years and the elderly over 65 years. The perfect score for the index is 100. As the score becomes nearer to 100, pedestrian safety becomes better. The pedestrin safeties of Changwon, Gimhae and Masan are good and those of Sachon and Tongyong are bad. Tongyong's low score at the index is due to high pedestrian accidents rate only and Sachon's low score is due to high pedestrian accidents rate and jaywalking. At the pedestrian safety index of 10 counties of Gyeongnam Province, the pedestran safeties of Hamyang and Hapchon are good and those of Haman, Hadong and Gosung are bad.

Assessing the Safety Benefit of an Advanced Vehicular Technology for Protecting Pedestrian(Focused on Active Hood Lift System (AHLS)) (첨단안전차량 효과분석(보행자보호를 위한 Active Hood Lift System (AHLS)을 중심으로))

  • O, Cheol;Gang, Yeon-Su;Kim, Beom-Il;Kim, Won-Gy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4 no.3 s.89
    • /
    • pp.95-102
    • /
    • 2006
  • This study develops a methodology on how to assess the traffic safety benefit of advanced vehicular technology for Protecting pedestrian in pedestrian-vehicle collision. Safety benefit is defined here as the reduction of Pedestrian fatality by employing advanced vehicular technology. As an application of the proposed methodology the safety benefit of active hood lift system (AHLS) is assessed. Both actual accident data analysis and simulation experiment are conducted to establish statistical models that are used for estimating the reduction of pedestrian fatality It is believed that the developed methodology and outcomes would be greatly useful in developing various advanced vehicular technologies and establishing more effective traffic safety policies.

Study on the Application of Pedestrian Twice Crossing (보행신호 1주기 2회 부여 운영 방안 연구)

  • Chae, HeeChul;Eom, Daelyoung;Yun, Il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9 no.3
    • /
    • pp.14-27
    • /
    • 2020
  • Pedestrian deaths account for a high percentage of deaths in traffic accidents in Korea, raising interest in pedestrian safety policy. However, since the walk signal time is applied based on the length of the crosswalk without considering the walker and the signal cycle, the walk waiting time 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crosswalk, causing pedestrian jaywalking. In this study, due to an unreasonable signal time plan during a road crossing where a signal is installed, the pedestrian's walk signal was given twice a cycle of crossings, and the operational and safety effects of the signal system wer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alyzed, and the operational effects of the signal interval and jaywalking rate were assessed by different signal intervals. The results showed that jaywalking and waiting time decreased, and the shorter the interval between the application of the walk signal time, the less jaywalking is analyzed. However, there is a risk of vehicle conflict due to pedestrian exposure, and measures for expanding safety for operation were proposed.

A Study on the Convenience and Safety of Walking Assistance Robot as a Slope Way (보행보조로봇의 경사로 주행을 위한 보행 편리성 및 안전성 연구)

  • Lee, Dong-Kwang;Hong, Jung-Shik;Kwon, Oh-Sang;Lee, Eung-Hyu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0b
    • /
    • pp.337-338
    • /
    • 2008
  • 2008년 현재 우리나라는 10%의 인구가 60세 이상인 이른바 고령사회에 접어들었다. 노인 인구의 증가로 인해 노인이 여가생활 또는 일반생활을 보조하기 위한 보행 보조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대부분 동력이 없는 보행보조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구는 경사로 공간 또는 힘이 약한 노인들에게 취약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동력형 보행보조로봇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동력형 보행보조로봇 역시 경사로에 있어서 편리성과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보행보조로봇이 경사로에 진입 하였을 경우 기울어진 경사로의 정도를 인식하여 모터를 제어 한다. TILT 센서를 이용하여 기울이짐 정도를 측정 하였고, 또한 로봇의 전류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로봇의 안전성을 향상 하였다. 제어 시스템 구성은 사용자의 보행의지를 파악하기위해 FSR 센서를 부착하여 조향장치로 사용하였으며, 경사로를 인식하기 위해 Liquid 타입의 TILT 센서를 사용하였으며, 모션 제어를 위해 DSP를 사용하였다. 본 제어 시스템을 보조보행로봇에 적용하였을 때, 보행보조로봇이 오르막 경사로에 진입시 기존보다 힘을 적게 사용하여 경사로를 진행하였으며, 경사로에서 브레이크 작동속도가 향상 되었다. 또한 내리막 경사로에서는 모터의 힘을 적게 사용하고 중력의 힘을 사용하여 이를 통해 전류의 소비량을 개선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