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보편적서비스

Search Result 594,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Universal Service Policy of Europe Union (EU의 보편적 서비스 정책 동향분석)

  • Kim, P.R.;Kwon, O.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3 no.5 s.53
    • /
    • pp.89-111
    • /
    • 1998
  • 1998년 1월 1일부터 EU의 역내통신시장이 완전 자유화됨에 따라 회원국들은 보편적 서비스를 새롭게 정의하고 국내법 개정을 통해 경쟁환경 하에서의 보편적 서비스 정책을 구체화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우선 보편적 서비스의 개념과 최근까지의 보편적 서비스 정책에 대한 변화과정을 살펴본 후, EU 가맹국의 전반적인 보편적 서비스 현황을 살펴보고, EU 가맹국 중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영국, 독일, 프랑스의 보편적 서비스에 대한 최근 정책 동향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의 보편적 서비스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Improvements Direction of Universal Service Regimes in Korea (보편적서비스제도의 주요내용과 향후 개선방향)

  • 권수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0.10a
    • /
    • pp.98-102
    • /
    • 2000
  • 보편적서비스제도는 통신사업에 경쟁체제를 도입함에 따라 본격적으로 거론되기 시작한 정책사안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98년에 보편적서비스제도를 법제화하고 현재 이를 적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적용되고 있는 보편적서비스제도의 주요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개선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현재의 보편적서비스제도는 기본적으로 전화서비스를 중심으로 한 제도이기 때문에, 향후 멀티미디어시대에 부응하는 보다 적극적인 보편적서비스제도로의 개선이 요구된다. 또한 보편적서비스비용 산정방법면에서도 경제적 효율성을 감안한 비용산정방법의 도입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 PDF

Status of the Universal Service Obligation and the Intangible Benefits (주요국 보편적서비스 제도 및 무형편익 적용 현황)

  • Baek Hyunmi;Byun Jaeho;Cho Eunjin;Song Yeon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a
    • /
    • pp.627-630
    • /
    • 2004
  • 본 고에서는 국내 보편적서비스 제도와 해외 보편적서비스 제도를 개괄적으로 정리한 후, 최근 보편적서비스 제도에 있어서 이슈를 짚어보고자 한다. 각국의 보편적서비스에 관한 개요, 범위, 비용 산정, 손실보전 방법을 기본적으로 분석, 비교하고 최근 비용 산정에 있어 주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무형편익 적용에 관한 각국의 입장과 방법론의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정보통신사회에서 서비스정책의 경제적 효율성

  • 정군오;김동환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0.10a
    • /
    • pp.43-46
    • /
    • 2000
  • 모든 국민이 시간과 장소, 그리고 사회경제 및 신체적 제약없이 전기통신서비스를 이용가능케 하는 보편적 서비스(universal service)는 정보통신정책에서 가장 핵심적인 사항이다. 국가의 경제적 능력과 정보통신의 발달 수준에 따라 보편적 서비스의 정의와 수준이 다르지만, 보편적 서비스의 정의를 위한 일반적인 원칙과 공통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요소를 파악하였다. 보편적 서비스를 달성하기 위한 자금확보는 정책시행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사항이므로 시장구조와 규제제도의 맥락에서 파악하고 있다. 경쟁의 도입과 무선기술의 도입 등 급속한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을 제시하고 한국의 보편적 서비스 정책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였다. 초고속정보통신망으로 대표되는 고도정보통신기반에 따른 고도의 보편적 서비스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High-speed internet service as Universal service (초고속 인터넷서비스의 보편적 서비스 지정의 필요성: 융합시대 초고속 인터넷서비스의 확산 방안에 대한 모색)

  • Jung, Nak-won;Kim, Sung-Woo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2
    • /
    • pp.11-25
    • /
    • 2017
  •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fact that high-speed internet service should be designated as universal service because it becomes an indispensible and crucial service in the modern information society but free market system fails to implement universal service of high-speed internet service. To do so, it theoretically analyses previous works related to the issue of high-speed internet service and universal service in a critical point of view and investigates the current situation that high-speed internet service is not designated as universal service. In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s that high-speed internet service should be included in the scope of universal service, in terms of infrastructure and minimum transmission speed, for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and the information society.

Analysis on universal service of mobile data (무선 데이터 서비스의 보편적 요금제 도입에 대한 고찰)

  • Jung, Nakwon;Kim, Sung-Woo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1
    • /
    • pp.1-11
    • /
    • 2018
  •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Moon Jae-in administration's universal service policy of mobile date to lower communications fares can be justified. To do so, this work takes a look into the key features of mobile data in our society based on a theoretical perspective as well as a practical point of view. Also, it attempts to figure out whether mobile data service should be included in the scope of universal service in Korea by analysing the key features of mobile data and rethinking the basic concepts of universal service. As a result, this work reaches a conclusion that the government should reconsider universal service policy of mobile date and reform a universal service system in a different way.

Philosophical backgrounds of universal service in Korea and the US (보편적 서비스의 철학적 근거에 대한 한·미간 비교연구 : 보편적 서비스의 추진 배경과 동기를 중심으로)

  • Kim, Sung-Wook;Kwak, No-J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1
    • /
    • pp.73-84
    • /
    • 2019
  • By a comparative study of the philosophical backgrounds of universal service in Korea and the US, this research finds that Korea has paid little attention to the relations between universal service and basic human rights even though it has rapidly and successfully implemented universal service of telephone and the internet services in the past. Based on this key finding, it reaches a conclusion that Korea should adopt a new approach in implementing universal service in the future, considering the goals and contributions to the improvement of the basic human rights of universal service because economic goals have been main drivers of the implementation of universal service so far in Korea, which is not appropriate and suitable for the information society that new telecom services are rapidly emerging.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Universal Service Regulations on Public Payphones (통신환경 변화에 따른 공중전화 보편적서비스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 Cho, Eun-jin;Kweon, Soo-c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9.10a
    • /
    • pp.663-666
    • /
    • 2009
  • The usage of fixed call services and public payphones decreased due to the mobile services became general communications tools and the new VoIP services are emerging. Public phone service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universal services and the prices of services is low and the services are easy to access anywhere. However the telecommunication markets are changed then the loss of public payphone services gets worse and the importance of public payphone have decreased. This paper reviewed the universal services regulations of public payphones in overseas countries and proposed the implications of improving the universal service regulations for public payphones.

  • PDF

Problems Pursuent to Incorporation VoIP into Universal Service (인터넷 전화의 보편적 서비스 역무화에 따른 과제)

  • Kim, P.R.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1 no.5 s.101
    • /
    • pp.171-184
    • /
    • 2006
  • 최근 인터넷 전화가 보급되면서 이를 보편적 서비스에 포함시켜야 할 것인지에 대한논란이 일고 있다. 인터넷 전화 보급 초기 단계에는 일정 기간 동안 인터넷 전화를 고정 전화의 보완 서비스로 인정하여 인터넷 전화까지 포함하는 광의의 보편적 서비스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그러나 현재 가설되어 있는 고정 전화망의 내용년수가 차서 그 유지가 곤란해지고, 인터넷 전화도 충분히 보급되는 시점이 되면 인터넷 전화만을 가지고 보편적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한편 보편적 서비스제공 시에는 전국 동일서비스 제공을 원칙으로 하되, IP 망의 특성을 살려 품질보증 서비스와 best effort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필요가 있다.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사회에 걸맞는 새로운 보편적 서비스 제도는 소비자가 자기 책임 하에 각 서비스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될 때 더욱 든든한 기반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Universal Service and Public Service Broadcasting -In the Age of Media Convergence (융합미디어 시대 보편적 서비스와 공영방송)

  • Kang, Hyung Cheol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67
    • /
    • pp.35-61
    • /
    • 2014
  • This article argues that public service broadcasting (PSB) should be transformed into public service media (PSM) in order to accommodate the concept of universal service in this media convergence age. If we utilize the universal service concept of telecommunications in this purpose, it inevitably constrains the concept to "access to general information" and has a limitation in its scope. In contrast, the application of the broadcast perspective leads to only examine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universal service obligation to new platforms, which has been applied to terrestrial broadcasting. As a result, these two approaches have no choice but to stay in limited area such as low-income assistance. Thus,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convert PSB to the PSM as a means of providing the socially required content universally, which commercial market cannot easily produ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