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보철학

검색결과 2,366건 처리시간 0.017초

디지털 방식을 활용한 양악 총의치 수복 증례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utilizing digital process: A case report)

  • 안유진;이영후;홍성진;백장현;노관태;배아란;권긍록;김형섭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313-319
    • /
    • 2022
  • 총의치는 무치악 환자의 치료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치료방법 중 하나이다. 전통적인 총의치의 제작과정은 예비인상 채득, 최종 인상 채득, 악간관계 채득, 납의치 시적, 의치 장착의 단계를 거치게 된다. 여러 번의 내원 과정과 복잡한 기공 과정이 필요하며, 각 단계별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최근 디지털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총의치 치료과정에도 디지털 기술이 도입되고 있으며, CAD를 이용해 더 정밀한 작업이 가능하며 기공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을 물론 환자의 내원 횟수도 줄일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디지털 방식을 활용하여 환자의 기존 의치의 전치 배열을 최종 의치로 이행하였다. 3D 프린터를 이용해 시적 의치를 제작하여 환자에게 시적하여 구순 지지도와 전치부 배열을 포함한 심미성 및 구강내 유지력을 평가 후 최종 의치 제작하였다. 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 기술을 활용하여 내원 횟수를 줄이는 동시에, 만족할 만한 의치의 유지력 및 안정성을 얻었으며 심미적인 회복을 이루었기에 본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다발성 안면 골절 환자의 보철 수복을 위한 디지털 워크플로우: 증례보고 (Digital workflow for prosthetic restoration in the pan facial fracture patient: A case report)

  • 김승완;박근택;허윤혁;박찬진;조리라;고경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395-403
    • /
    • 2022
  • 다발성 안면 골절의 경우 골절 부위를 원위치로 정복하기 위한 지표가 부족하기에 골절편의 정복 후 교합과 구강 구조의 형태 및 위치가 비정상적으로 변화된 결과를 보이는 경우가 많이 나타난다. 그리고 다발성 안면 골절환자에서 나타난 개구제한과 구역반사는 치과치료의 난이도를 높이고, 외상으로 인한 악골의 위치차이가 심미적, 기능적 회복을 어렵게 한다. 이러한 경우 환자의 불편감과 치과치료의 난이도를 줄이기 위해 최소한의 구내작업을 위한 디지털 워크플로우를 선택할 수 있다. 본 증례는 15년전 발생한 다발성 안면골절로 인한 후천적인 골격성 III급 및 개구제한, 구역반사를 가진 환자에서 상악 전치부 무치악 상태를 임플란트 계획부터 최종 보철물의 제작까지 디지털 워크플로우를 이용하여 수복한 증례이다. 이러한 치과치료의 어려움이 있는 환자에서 디지털 워크플로우의 사용이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로 하고 심미적, 기능적으로 적절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불안정한 하악위를 가진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전악 수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in partially edentulous patient with an unstable mandibular position)

  • 육동휘;이영후;홍성진;배아란;노관태;김형섭;권긍록;백장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1권4호
    • /
    • pp.308-315
    • /
    • 2023
  • 중심위 안정접촉을 상실하고 잔존치들이 엇갈린 교합을 하고 있는 환자의 경우 의치의 하중시 다양한 움직임이 발생하게 된다. 의치의 움직임을 줄이기 위한 유지, 지지, 안정 요소의 보강을 위해서는 임플란트 식립이 필요하다. 하지만 본 증례에서는 환자의 고령과 수술에 대한 거부감 및 골소실을 고려하여 임플란트 식립하지 않고, 가철성 국소의치로 수복하였다. 중심위 안정접촉을 상실한 환자의 경우 수직, 수평 악간관계 모두 새로 설정해 주어야 한다. 이때 소수 잔존치 증례에서는 잔존치들로 저작하던 습관을 가지고 있어 수복을 위한 올바른 하악위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증례에서는 Gothic arch tracing을 이용하여 환자의 안정적인 하악위를 설정하여 국소의치로 수복한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하악의 전돌 및 비대칭을 가진 환자에서 보철적 전악 구강회복 증례 (Prosthetic full mouth rehabilitation of patient with mandibular prognathism and asymmetry: a case report)

  • 임재영;이화정;김종은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28-37
    • /
    • 2024
  • 심한 하악 전돌증이 있는 환자의 경우 교정치료나 악교정수술을 활용하여 치료를 시도할 수 있으나, 장기간의 교정치료 및 수술의 침습적인 거부감이 있는 환자에서 보철적으로만 개선해야 하는 상황이 존재할 수 있다.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는 전방유도가 없으며, 수직적인 저작 양식을 보여주기 때문에 이러한 측면을 고려하여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전치부의 반대교합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교합수직고경을 거상하는 술식을 선택하기 쉬운데, 이는 종종 불리한 결과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신중한 진단 및 치료계획의 수립이 필요하다. 본 증례에서는 하악 전돌 및 비대칭을 가진 환자에서 단계적인 치료과정을 통하여 기존의 교합수직고경을 그대로 유지하며 임플란트 및 자연치를 이용한 최종 고정성 보철 수복을 진행하였다. 이에 기능적이고 심미적으로 적절한 결과를 보여, 환자의 진단 및 치료 과정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지연성 운동이상증 환자에서 functionally generated path 술식과 이중스캔법을 이용한 고정성 보철물 제작: 증례 보고 (Fabrication of fixed prosthesis by employing functionally generated path technique and dual scan technique in a tardive dyskinesia patient: a case report)

  • 실파;이두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1권3호
    • /
    • pp.227-233
    • /
    • 2023
  • 지연성 운동이상증은 도파민 수용체 차단 약물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자발적 신경학적 운동 장애로 불수의적인 하악의 움직임과 이갈이를 초래하여 과도한 하중이 치아 및 보철물에 위해를 가할 수 있다. 지연성 운동이상증 병력이 있는 40대 남성이 상악 전치부 상실로 인한 보철치료를 위해 내원하였다. #13, 15, 23의 지대치 형성 후 실리콘으로 인상을 채득하고 레진 블록을 밀링하여 임시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시적 과정에서 임시 보철물의 교합면 1/3을 제거하고 교합면에 자가중합 아크릴 레진을 도포하여 환자의 구강에 장착하였다. 레진이 경화되는 동안 하악의 불수의적 움직임으로 대합치에 의한 functionally generated path (FGP)가 레진 표면에서 기록되었다. 수정된 임시 보철물을 제거하여 구내 스캐너로 스캔 후 이중 스캔 방법을 사용하여 임시 보철물의 디자인을 수정하여 최종 보철물을 설계하였다. 최종 보철물은 단일구조 지르코니아로 제작하였다. 본 증례는 FGP 기술과 이중 스캔 방법 이 지연성 운동이상증 환자에서 조화로운 교합을 갖는 고정성 보철물의 제작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CAD/CAM을 이용하여 기존 국소의치에 맞는 지대치 보철물 제작 증례 (The fabrication of abutment crowns for existing removable partial denture using CAD/CAM: A clinical report)

  • 채민정;이청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490-494
    • /
    • 2019
  • 국소의치 장착자에서 2차 우식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지대치 치료 후 크라운 재수복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기존 국소의치가 잘 기능하고 있고 환자가 여러 가지 원인으로 국소의치를 새로 제작할 수 없을 경우에는 기존 국소의치에 맞도록 지대치 보철물을 제작해야 한다. 그러나 이 과정은 기술적으로 난이도가 높고, 기공과정이 복잡하다. 국소의치를 지지하는 지대치에 합병증이 발생하기 전의 원본 모형이 있고 참고점이 될 수 있는 다른 치아들을 포함하고 있다면, CAD/CAM을 이용하여 retrofitting 보철물을 매우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본 증례는 지대치의 포스트, 코어 및 보철물이 복합적으로 탈락하여 내원한 환자에서, computer-aided design and computer-aided manufacturing (CAD/CAM)을 이용해 기존 국소의치에 맞는 보철물을 제작하였고 높은 적합도와 조정 과정의 최소화 등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어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안정적인 교합접촉을 잃은 환자에서의 전방유도를 고려한 치료증례 (Maxillary anterior prosthetic treatment concerning anterior guidance of a patient who lost stable holding contact)

  • 박종훈;조진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467-474
    • /
    • 2019
  • 최근 들어 치아의 심미적인 개선을 위해 전치부 보철 치료를 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전치부 심미 보철치료이후 환자가 발음, 저작 등 기능적으로 불만족스럽게 생각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전치부는 심미적으로 중요할 뿐만 아니라 교합과 관련하여서도 중심위 다음으로 중요한 전방유도가 성립되는 부분으로, 잘못된 전방유도 설정으로 인해 구치부의 교합간섭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새롭게 설정된 전치부 보철물의 전방유도가 환자의 기능로(envelope of function)과 조화를 이루지 않을 시 환자가 불편감을 나타낼 수 있다. 본 증례는 전치부 심미 보철 이후 부정확한 발음 및 안정적인 접촉이 없어서 불안정한 교합, 전반적인 불편감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체계적인 진단과 치료과정을 통해 보철물을 재수복하여 환자와 술자 모두에게서 심미적으로, 그리고 기능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디지털 안궁이전과 가상교합기를 이용하여 하악의 운동을 고려한 구치부 수복 증례 (Posterior rehabilitation considering mandibular movement with digital facebow transfer and virtual articulator: A case report)

  • 김민범;권호범;임영준;김명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431-441
    • /
    • 2022
  • 디지털 안궁이전 장치로 하악의 운동로를 기록하고 캐드 소프트웨어(CAD software) 상에 반영할 수 있는데 이를 고려한 보철 수복은 치료 결과를 향상시킨다. 본 증례는 상하악 대구치가 소실된 환자에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임플란트를 식립 및 보철 수복한 증례이다. 구내 스캔 후 디지털 진단 왁스업을 토대로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를 제작한 뒤 임플란트 식립했다. 6개월의 충분한 골유착 후, 맞춤형 지대주와 첫번째 임시 보철물을 장착하였다. 2개월 후 지대주 수준에서 구강 스캔 및 디지털 안궁이전 장치로 가상 교합기 상마운팅하고 하악 운동을 기록했다. 하악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두번째 임시 보철물을 제작, 장착 후 안정된 교합 상태에서 더블 스캔 과정으로 복제하여 지르코니아 최종 보철물을 디자인하고 장착했다.

무치악 연구개 결손 환자에서 총의치형 연구개 폐색 장치를 제작한 증례 (Prosthetic rehabilitation of soft palate resection edentulous patient with maxillary obturator)

  • 류승범;허성주;곽재영;김성균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475-482
    • /
    • 2019
  • 본 증례는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치과보철과로 내원한 76세 남성 환자의 총의치 기능을 겸하는 연구개 폐색 장치의 제작에 관한 증례이다. 상환은 편도암으로 인해 연구개 및 편도 부위 절제 후 발음이 잘 되지 않고 음식물이 코로 넘어간다는 주소로 내원하였다. 제작과정에서 CT를 3차원으로 재구성하여 연구개 결손부위의 형태를 관찰하고, 비성도 검사와 비내시경 검사를 통해 발음 및 연하의 개선여부를 확인하였다. 환자는 발음과 저작 및 연하에 있어서 만족할만한 결과를 보여 본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두 개의 수술용 가이드와 Milled-bar를 이용한 임플란트 피개 의치 수복 증례 (Implant-supported milled bar overdenture with two implant surgical guides)

  • 윤필상;김선재;표세욱;장재승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55-62
    • /
    • 2023
  • 완전 무치악 환자에게서 잔존 치조골의 흡수가 심할 경우 의치의 저작효율과 안정성 향상을 위해 임플란트로부터 지지를 얻는 피개의치를 고려해볼 수 있다. 임플란트 식립 위치를 선정할 때 디지털 진단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환자의 해부학적 요소와 최종보철물의 형태를 고려한 수술용 가이드를 만들어 임플란트 수술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에서 다양한 부착장치 중 milled bar 경우 임플란트간의 연결고정 효과뿐만 아니라 견고한 지지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본 증례에서는 치조골 삭제 전, 후의 상황을 가정한 두 개의 수술용 가이드를 이용하여 임플란트를 식립한 후 milled bar를 이용한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장착해주어 기능적이고 심미적인 결과를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