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보조 컵-시일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15 seconds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riction Coefficient of Rubbers for Clutch Master Cylinder Cup-Seals (클러치 마스터실린더 컵-시일 고무의 마찰계수 실험 연구)

  • 이재천;임문혁;이병수;장지현;정용승;허만대;최병기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1 no.5
    • /
    • pp.112-118
    • /
    • 2003
  • The friction coefficients of the rubber for clutch master cylinder were experimentally measured in this study. The cylindrical rubber samples for primary cup-seal and secondary cup-seal were tested against the aluminum or the steel plates of master cylinder housing under the various conditions of brake oil temperatures and normal loads. Dry sliding friction coefficients were also measured under various load conditions. The test revealed following results. First, the friction coefficient under fluid lubrication condition in general decreases, as the oil temperature or normal load increases. Second, the steel plate of low surface roughness yielded comparatively low friction coefficient on the range of 0.30∼0.67. On the other hand, the aluminum plate of high surface roughness yielded high friction coefficient on the range of 0.31∼1.15. Third, the friction coefficient of dry surface contact decreases as the normal load increases. This is contrary to the general principle of friction coefficient between metal plates.

A Master Plan for the 2002 World Cup Sports Complex in the Suwon City, Korea (수원시 2002 월드컵 종합체육공원 기본계획)

  • Kim, Sung-Ky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0 no.6
    • /
    • pp.119-127
    • /
    • 2003
  • 본 연구는 수원시의 다양한 레크레이션의 수요증대와 지역주민을 위한 운동시설의 부족에 대응하기 위해 지역주민의 근린생활 체육시설을 확충하고, 수원시 연고의 삼성 블루윙즈 프로축구팀의 축구전용구장 및 연습구장 마련 및 2002널 월드컵 축구대회를 유치하고자 조성된 복합 스포츠판지에 대한 기본계획안이다. 개발방향은 1) 21세기의 생활패턴에 맞는 생활체육공간 조성, 2) 국제적 수준의 운동시설 및 인프라구축, 연중이용이 가능한 시민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조성, 3)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공간조성, 4) 복합적 토지 이용 개념을 도입하여 토지 활용도 및 재정 수입의 증대, 5) 쾌적한 보행시스템 제공, 6) 도시의 랜드마크로서 주변 도시체계와 연계성 강화, 7) 수원의 역사, 문화적 상징성 제고 등이다. 이를 위해 축구전용구장, 보조경기장, 잔디연습구장, 흙연습구장, 헬리포트장 능 축구전용구장 관련시설, 실내체육관, 실내 아이스링크 등 기타 체육시설, 야외 수영장, 농구장, 테니스장, 게이트볼장, 볼링장, 헬스장 등 생활체육시설, 스포츠용품 몰, 식음시설 등 편익시설, 야외공연장, 어린이정원, 영화관, 축구박물관 등 위락/문화시설, 산책로, 체력단련코스, 전망대 등 휴양시설, 그리고 주차장, 녹도, 녹지 등 기타 부대시설이 도입되었다. 본 연구는 종합체육공간이 단순히 체육시설이 모여 있는 곳이 아니라 시민들이 운동과 더불어 휴식, 등산, 놀이, 자연 학습 등 다양한 여가활동을 할 수 있도록 계획되었다. 상업시설, 커뮤니티 시설 등이 복합적으로 개발되어 있기 때문에 경기가 열릴 때뿐만 아니라 4계절 내내 주중, 주말 및 휴가기 간에 가족과 더불어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레크레이션 및 커뮤니티 공간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도록 계획된 새로운 개념의 체육공간이라는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