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보정 및 검정

Search Result 179,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Development plan and Inspection Status of Hydrological Measuring Instrument (수문조사기기 검정현황 및 발전방안)

  • Kim, Ji Hun;Jang, Bok Jin;Kim, Ji Chan;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13-213
    • /
    • 2016
  • 수문조사기기의 검정은 수문조사에 활용할 기기를 일관되고 표준화된 기준으로 검사하여 수문조사에 적합한 기기인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러한 검정은 국가수문자료의 신뢰도를 높이고 유지하는 기본적이고 중요한 업무이다. 검정대상기기는 강수량측정기기, 유속측정기기, 수위측정기기, 부유사측정기기, 토양수분측정기기, 증발산량측정기기로 총 6가지이며, 2009년부터 국토교통부 위탁사업으로 한국건설기술연구원(유량조사사업단)에서 수행하고 있다. 특히 유량조사사업단에서는 유속측정기기를 제외한 나머지 5개 수문조사기기에 대해 검정을 수행하고 있다. 연도별로 2009년부터 2015년까지 98대, 334대, 572대, 539대, 359대, 682대, 690대로 총 3,274대를 검정하였고, 관측기종별로 강수량 1,579대, 수위 1,589대 부유사 23대, 토양수분 33대, 증발산량 50대이다. 신청기관별로는 국토교통부(홍수통제소) 1,847대, 환경부(국립환경과학원) 4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유량조사사업단 포함) 81대, K-water 338대, 한국수력원자력(주) 91대, 일반업체 913대에 대한 검정을 실시하였다. 검정을 실시한 강수량측정기기 1,579대 중 보정없이 합격된 기기는 1,495대, 허용오차기준에 미달되어 보정 실시 후 합격한 기기는 76대이며, 불합격 처리된 기기는 8대이다. 수위측정기기는 합격이 1,586대, 기준에 미달되어 불합격된 기기가 2대로 나타났다. 강수량측정기기의 각 연도대비 통계분석 결과 보정률은 2009년 97대 중 8대(8.2%), 2010년 194대 중 3대(1.5%), 2011년 180대 중 24대(13.3%), 2012년 175대 중 17대(9.7%), 2013년 165대 중 15대(9.1%), 2014년 547대 중 8대(1.5%), 2015년 221대 중 9대(4.1%)로 다소 낮은 수치로 나타났다. 이처럼 보정률이 낮게 나타난 이유는 관할기관의 검정을 위한 유지관리 및 사업자의 사전검사 등을 통해 감소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와 같은 결과는 수문자료의 품질 및 신뢰도 향상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여전히 선진국에 비해 수문조사기기 검정의 중요성에 대한 인프라 구축이 미흡한 실정이다. 수문조사기기 검정의 선진국이라 할 수 있는 미국의 경우 USGS에서 HIF(Hydrogical Istrumentation Facility)라는 별도 조직을 운영하여 관측기기의 렌탈, 수리, 교정 및 검정, 개발, 교육 등 이러한 작업을 일괄 수행하고 있고 조직 내 자체 시설로 수중펌프 시험소, 자연과 유사한 환경에서 테스트 하는 장소, 대형온도챔버 등을 갖추고 있으며, 이러한 시설을 이용하여 기기의 교정 및 검정, 연구 등을 현장과 비슷한 환경에서 다양한 실험을 통해 검정방법을 비교, 분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수문조사기기는 다양한 방법으로 현장에 설치되어 검정방법의 다양성이 요구된다. 향후 우리나라도 HIF와 같이 다양하고 선진화된 시설과 기술을 개선하고 다각적인 시험 과정을 통해 수준 높은 검정방법체계를 갖추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 PDF

Estimation of Runoff Unit Area Loads for Nutrients from Forest and Sloping Field using SWAT model in Bonggok Stream Watershed (SWAT모형을 이용한 봉곡천 유역 경사지밭, 산지의 영양염류 배출 원단위 산정)

  • Kim, Ki-Yun;Ryu, Byong-Ro;Lee, Kyu-Seung;Moon, Jong-Pi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54 no.2
    • /
    • pp.137-14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2005년부터 2006년까지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에 위치한 봉곡천 유역의 경사지 밭을 포함하고 있는 산지하천에서 유출량, 총인, 총질소를 측정하였고 측정된 자료는 SWAT 모형을 통하여 장기간의 배출부하량 산정을 위해 모형의 보정 및 검정자료로 사용하였다. SWAT 모형의 보정 및 검정결과는 유출량은 일별자료를 이용하여 보정 및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결정계수 ($R^2$)가 0.80~0.83의 값을 보였으며 일별 T-N, T-P 부하량에 대한 보정 및 검정결과는 결정계수 ($R^2$)가 0.62~0.86의 값을 보였다. 모형의 보정 및 검정을 통해 결정된 최적매개변수를 적용하여 1997년부터 2006년까지 관측된 강우자료로 장기간의 유출량, T-N, T-P 배출부하량에 대한 SWAT 모형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하여 산지와 밭에 대한 원단위를 산정하였으며, 그 결과 산지에 대한 T-N의 원단위는 3.29 $kg/km^2/day$이었고 T-P에 대한 원단위는 0.15 $kg/km^2/day$로 나타났다. 또한 밭에서의 T-N에 대한 원단위는 11.15 $kg/km^2/day$이었고 T-P에 대한 원단위는 0.70 $kg/km^2/day$로 나타났으며 강우의 시간 및 공간적 변화에 따른 유출량을 고려한 산지와 밭에서의 영양염류 배출부하량을 산정하는데 SWAT모형을 적용하는 것이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Predicting Runoff and Sediment Yield on a Forest Dominated Watershed using HSPF and SWAT Models (HSPF와 SWAT 모형을 이용한 산림유역의 유출 및 유사량 추정)

  • Im Sang-Jun;Brannan Kevin M.;Mostaghimi Saied;Cho, Jae-Pi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 /
    • v.9 no.4 s.21
    • /
    • pp.59-64
    • /
    • 2003
  • U.S. EPA의 BASINS (Better Assessment Science Integrating Point and Nonpoint Sources)에 통합되어 있는 HSPF (Hydrologic Simulation Program-Fortran)와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을 이용하여 Polecat Creek 유역의 유출과 유사량을 모의하였다. 모형의 보정을 위하여 1996년 9월부터 2000년 6월까지의 하천 유량 및 유사 농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1994년 10월부터 1995년 12월까지의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모형의 검정을 실시하였다. HSPF 모형에 의해 추정된 연 평균 유출량의 상대오차는 보정 및 검정기간에 각각 0.8%, 0.5%이었으며, S WAT 모형에 의해 추정된 연평균 유출량은 실측치와 각각 2.1%, 16.1%의 오차를 보였다. 연 평균 유사량을 비교하면, HSPF 모형이 보정 및 검정기 간에 각각 8.8%와 7.2%의 오차를 보인 반면에 SWAT 모형은 각각 40.0%, 188.4%의 차이를 보였다. HSPF 모형에 의해 추정된 월 평균 유출량 및 유사량의 상관계수는 보정기간에 대하여 0.94와 0.52이었으며, SWAT 모형에 의한 결과는 상관계수가 각각 0.84와 0.39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HSPF 모형이 SWAT 모형보다 유출과 유사량을 관측치와 유사하게 모의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입력 자료의 구축 및 모형의 적용에는 SWAT모형보다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였다.

Evaluation of the Effect of Agricultural Activity on Stream Water Quality by Watershed Modeling (유역모형을 이용한 농업활동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평가)

  • Jung, KwangWook;Jung, Inkyun;Kang, SooMan;Kwon, Jin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10-510
    • /
    • 2016
  • 농업 비점오염원의 영향을 분석하고 여러 가지 대안(관리정책)이 수계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유역모형의 적용이 필요하다. 이러한 유역모형에는 모형의 복합성, 계산시간 등에 따라 simple method, mid-range model, detail model로 나눌 수 있다. Simple methods는 요구되는 자료가 작으나 그 결과의 정확성은 떨어진다. 반면에 detail model는 정확한 결과를 획득할 수 있으나 그만큼 방대한 자료와 모니터링을 요구하며, 보정 및 검증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특히, 복잡한 유역특성 및 축산오염원을 포함한 복잡한 특성들을 고려해서 모델링하기 위해서는 detail model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HSPF모델을 이용해서 그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업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청미천 유역 및 덕천천 유역을 대상유역으로 선정하여 그 영향을 분석하였다. 농업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유역내 투입된 비료사용량을 통계청 자료를 활용하여 산정후 적용하였으며, 축산 부산물중 자원화되는 축산 액비 및 퇴비량을 산정하여 그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기존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는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에서 산정되는 배출부하량에 유달율을 고려하여 점오염으로 입력하였으며, 직접방류되는 하수처리장도 함게 고려하여 구축하였다. 청미천 유역의 청미천1 지점의 BOD, T-N, T-P에 대한 보정기간의 평균 관측값은 4.205mg/L, 3.844mg/L, 0.137mg/L이며 검정기간의 관측값은 2.741mg/L, 4.638mg/L, 0.144mg/L로 나타났다. BOD, T-N, T-P에 대한 보정기간의 NSE는 -0.58, -0.20, -0.33이며, 검정기간의 NSE는 -0.26, -1.35, -3.54로 분석되었다. BOD, T-N, T-P에 대한 보정기간의 RMSE는 2.65, 1.63, 0.12이며, 검정기간의 RMSE는 1.36, 1.64, 0.07로 나타났다. 덕천천 유역의 경우 국가관측망이 없어 동진강의 제일 말단 지점인 동진강3 지점의 BOD, T-N, T-P에 대한 보정기간 평균관측값은 2.891mg/L, 3.455mg/L, 0.096mg/L이며, 검정기간의 관측값은 2.293mg/L, 3.223mg/L, 0.104mg/L로 나타났다. BOD, T-N, T-P에 대한 보정기간의 NSE는 -0.20, -0.56, -0.49이며, 검정기간의 NSE는 0.24, -0.06, -0.19으로 분석되었다. BOD, T-N, T-P에 대한 보정기간의 RMSE는 1.53, 2.12, 0.05이며, 검정기간의 RMSE는 1.05, 0.98, 0.06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점오염원, 축산계비점오염, 토지계비점오염, 시비량, 배경부하로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 청미천 유역의 비점오염 기여율이 약 65%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덕천천 말단에서는 약 37.7%의 비점오염물질이 하천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존 수질오염 총량관리제도에서 점오염의 감소에 의한 비점오염비중이 커지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그 중 축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지만,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그보다 적은 수준이 수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pplication of Passive Sampler in Validation and Calibration of Air Dispersion Model (대기확산모델의 검정 및 보정을 위한 Passive Sampler의 활용)

  • 김선태;김주인;김성근;배장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170-171
    • /
    • 1999
  • 대기 중 오염물질의 확산 및 미래의 예측을 위하여 대기확산모형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대기확산모형의 대부분은 미국 EPA에서 보급하는 것을 사용하고 있다. 이 중에서 최근에 많이 사용하고 있는 단기모형으로는 기간과 지형이 고려되는 ISCST3 모형을 들 수 있다. 국내 모델의 사용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점은 모델의 검정과 보정을 위한 data의 부재를 들 수 있다.(중략)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ccuracy of Close-Range Photogrammetry Analysis by Using Non-metric Camera (비측량용(非測量用) 사진기(寫眞機)에 의(依)한 근접사진(近接寫眞) 해석(解析)의 정확도(正確度) 향상(向上)에 관(關)한 연구(研究))

  • Kang, Joon Mook;Oh, Won Jin;Han, Seung Hee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12 no.2
    • /
    • pp.151-159
    • /
    • 1992
  • In close-range photogrammetry, to employ non-metric camera especially for the purpose of precise measurement, systematic errors must, first of all, be corrected as they have a great influence on accuracies of results. For it, fiducial marks was built in non-metric camera and the factors such as PPS, PPA, EFL, CFL, and radial lens distortion coefficients for each quadrant were calibrated through collimator test. Also, the coefficients of both radial and tangential lens distortion were calibrated from analytical plumb line method and therefore main systematic errors could be effectively corrected. Using the calibrated non-metric camera, close-range photogrammetry could be successfully accomplished and accuracies could be improved sharply.

  • PDF

A Study on Measuring and Calibration Method using Time Domain Reflectometry Sensor under Road Pavement (Time Domain Reflectometry 방식을 이용한 도로 하부의 함수비 계측 및 보정 방안에 관한 연구)

  • Cho, Myung-Hwan;Lee, Yoon-Han;Kim, Nak-Seok;Park, Joo-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0 no.2
    • /
    • pp.23-30
    • /
    • 2010
  • The research presents moisture content measuring and calibration method of road pavement, especially asphalt concrete pavement for performance evaluation or remaining life prediction using Time Domain Reflectometry(TDR) sensor, CS616 made by campbell INC. Before calibration test of CS616, accomplished a sensor verification tests. Verification test items were covering depth and interference effect of two CS616 sensors, temperature effects between $5^{\circ}C\sim25^{\circ}C$ and compaction ratio effects. Covering depth and interference effects between two CS616 sensors were just small and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compaction ratio effected a Volumetric Moisture Contents at $\pm6%$ under disregard appeared with the fact that was possible. Also, obtained the calibration equation of the subgrade and subbase course, $R^2$ showed above of all 0.9.

Reusing Techniques of Nutrient Solution for Recycling Hydroponic Culture of Lettuce (순환식 상추 양액재배시 양액재활용 기술)

  • 이성재;서명훈;이상우;심상연;이수연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8 no.3
    • /
    • pp.172-182
    • /
    • 1999
  • Leaf lettuce(Lacaug sativa L.) was cultivated in deep flow culture to investigate growth and yield in relation to different reusing method of nutrient solution after once cultivation. Five different treatments were allocated to the nutrient solutions - Control(total renewal of solution), NSS(nutrient solution supplement), U control, NSAC(nutrient solution analysis and compensation), NSAC and Humus supply(NSAC with supply of Humus). The pH of solution was kept stable below 7.0 during 4 successive culture in NSAC and NSAC and Humus supply. U was sharply declined in NSS as the number of cultivation was increased. Gmwth and yield of NSAC was similar to those of Control because nutrient elements were kept the balance to the better growth, while the lettuce grown in NSS and EC control was shown lower growth rate. In the nutrient solutions, Content of N $O_3$-N and N $H_4$-N were remarkably decreased after the cultivation in all treatments. Ca and Mg were shown to be accumulated in nutrient solution regardless of culture times and treatments. After the first culture in NSAC and Humus supply, total N and P$_2$ $O_{5}$ content in leaves were lower than any other treatments, but Ca content was higher. Those were not significant as following cultures,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K and Mg content were shown among the treatments.

  • PDF

Calibration and Validation of a Streamflow Network Model for Predicting discharge on a Downstream River of a Reservoir (저수지 하류의 유량 모의를 위한 하천망 모형의 보정 및 검정)

  • Song, Jung Hun;Kang, Moon Seong;Song, In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32-432
    • /
    • 2015
  • 농업용 저수지의 하류유역은 저수지로부터 농업용수를 공급받는 관개지구와 산림지 등 관개를 실시하지 않는 비관개지구의 수문순환이 복합적으로 연계된다. 이러한 저수지 하류유역의 하천유량은 배후 유역에서 발생하는 유역 유출량, 관개지구의 농업용수 회귀수량, 저수지에서 방류되는 환경용수 방류량과 제한수위 및 만수위 방류량, 그리고 지하수 유출량 등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 하류의 하천유량 구성 요소를 해석하는 하천망 모형을 구성하였고, 대상지구의 자료를 구축하였으며, 모형의 보정 및 검정을 수행하였다. 비관개지구의 유출량 모의는 수정 3단 Tank 모형을 이용하였다. 관개지구의 배수량은 논 포장 배수량과 용수로 배수량을 구분하여 모의하며, 논 포장 배수량은 논 물수지식을 기반으로 모의하였다. 저수지 방류량은 저수지 유입량과 저수지 운영방식을 고려하여 모의하도록 구성하였다. 하도 추적은 Muskingum 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 대상지로 이동저수지 유역을 선정하여 기상, 지형, 수문, 그리고 영농 자료를 수집하여 모형의 입력 자료를 구축하였다. 모형의 평가를 위한 통계적 지표는 Nash-Sutcliffe efficiency (NSE), root mean square error-observations standard deviation ratio (RSR), 그리고 percent bias (PBIAS)를 이용하였다. 보정 및 검정 결과 구성된 모형의 모의 결과는 실측치의 경향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농촌유역 물순환에 대한 이해를 넓히며, 저수지 하류유역 유량 해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tudy for the Changes of Annual and Seasonal Mean Temperature Using Adjusted Temperature Data in the Republic of Korea (고품질의 기온자료를 이용한 연.계절평균기온의 변화에 관한 연구)

  • Park, Chang-Yong;Choi, Young-Eu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6 no.1
    • /
    • pp.20-35
    • /
    • 2011
  • This study suggested the systematic steps for quality control, construction of the climatological reference series and homogeneity test and adjustment of temperature series in the Republic of Korea. It also attempted to evaluate more accurate magnitude of change using adjusted temperature data. All erroneous values produced by quality control were detected by internal inconsistency check. The method selected for homogeneity test in this study well defined fairly correct signals of station relocations. Therefore, this method might be regarded as the appropriate one to test homogeneity of temperature series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increase of temperature of the Republic of Korea after the adjustment were bigger than before the adjustment of annual and seasonal mean temperature. Adjusted temperature data produced by these steps will enable to evaluate more accurate characteristics and magnitude of climate 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