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보육환경

검색결과 262건 처리시간 0.019초

장애아 보육시설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설문조사연구 (Questionnaire Survey on the Physical Environment of Child Care Centers for Children with Disability)

  • 주서령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3호
    • /
    • pp.101-114
    • /
    • 2008
  • Eater Seal, the child care experts, observes that children with disability significantly benefit from receiving appropriated care along side their peers.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serve as role models from which children with disabilities learn age-appropriated communications and social behavior. Therefore the children with disability can actively participate in well-designed child care settings. But unfortunately in Seoul, Korea, only 2% of children with disability are taken care of in child care centers. And even the disabled children at the child care centers are mostly mentally or emotionally disabled because the building, programs and services of the centers are restrictive to the children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This study reviewed Korean domestic physical environment of child care center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103 centers located in Seoul by mail. Our survey revealed that they need more areas for nursing room and special rooms and the accessibility to buildings has to be improved. Also, there are no elevators in all buildings surveyed. Accessibility to toilet is noted as significant problem, especially wet floors in toilets. In a nursing room, a space for psychological rest and special education is needed for children with mental disability. Technical specifications on how to make buildings and facilities accessible for the children with disability should be developed.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develop domestic design guidelines to ensure that the child care centers are safe, convenient, and usable for everyone possible.

장애아 보육시설의 물리적환경 실태조사 (A Study on Physical Environment of Child Care Centers for Children with Disability)

  • 김민경;주서령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121-131
    • /
    • 2007
  • Eater Seal, the child care experts, observes that children with disability significantly benefit from receiving appropriated care along side their peers.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serve as role models from which children with disabilities team age-appropriated communications and social behavior. Therefore the children with disability can actively participate in well-designed child care settings. But unfortunately in Seoul, Korea, only 2% of children with disability are taken care of in child care centers. And even the disabled children at the child care centers are mostly mentally or emotionally disabled because the building, programs and services of the centers are restrictive to the children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This study reviewed Korean domestic physical environment of child care center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15 centers located in Seoul were surveyed. Our survey revealed that the accessibility to buildings is poor. There are many places with difference in height of floors. Also, there are no elevators in all buildings surveyed. Accessibility to toilet is noted as significant problem, especially wet floors in toilets. In a nursing room, a space for psychological rest and special education is needed for children with mental disability. Technical specifications on how to make buildings and facilities accessible for the children with disability should be developed.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develop domestic design guidelines to ensure that the child care centers are safe, convenient, and usable for everyone possible.

직장보육시설 실내환경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door Plan of the Day Care Centers in Workshop Area)

  • 김정진;장선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8호
    • /
    • pp.59-65
    • /
    • 1999
  • As women's economic participation increases, the problems of day care appears seriously in Korea. The government made of nurture law for infants in 1991 and drove more establishment day care center, However, currently only 7.3% of 1.86 million infants, of working mother's infants under age 5, are caring. The employers supporting day are facilities which have many advantages such as enable women's economic participation stability of mental state, but the number of such facilities was recorded as 114 in 1996. therefore, the support for the facilities are demanding in terms of quantity but it is required improvements of in terms of quantity because infants are easily influenced by their environment. This study aims to provide infants of employers more efficient and better interior environment for day care and education facilities. By analyzing actual condition of plans and space utilization of selected facilities were cases and found out the problems in the selected facilities. The study of study identified are explained. 1. The object of study identified are explained. 2. Relevant theories and studies on environmental structure of infant day care. 3. The present conditions of infant day care are investigated and analysed with selected facilities as cases. 4. The concept and basic direction of design was made based on above researches.

  • PDF

수돗물 불소화 및 불소양치사업에 사용되는 불소화합물의 금속 오염도 (Metal contamination of fluorides used for municipal water fluoridation and mouth rinse)

  • 이은희;송현주;안혜원
    • 한국환경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독성학회 2001년도 춘계심포지움 및 학술발표회
    • /
    • pp.135-135
    • /
    • 2001
  • 수돗물 불소화사업이란 치아우식증 (충치)을 예방할 목적으로 0.8ppm의 불소를 수돗물에 첨가하는 공중보건사업이며, 수돗물 불소화사업이 시행되지 않고 있는 서울시내 초등학교에서는 1995년부터 불화나트륨용액 (0.2%용액으로 매주 1회 또는 0.05%용액으로 매일 1회)으로 불소양치를 실시하고 있으며, 서울시 일부 보육시설에서는 만4세-6세의 취학전 아동을 대상으로 불소용액양치사업 (0.25% 용액)을 1997년부터 실시하고 있다. (중략)

  • PDF

자연친화적 실외 환경 놀이에서의 영아의 경험 세계 (Toddlers' Experience World through Play in the Nature-Friendly Outdoor Environment)

  • 손원경;전주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43-164
    • /
    • 2011
  • 본 연구는 자연친화적 실외 환경에서의 놀이에 나타난 영아들의 경험 세계를 살펴, 그 의미를 도출해 보고 영아를 위한 자연친화적 실외놀이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보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부산시 동구에 위치한 S어린이집의 별님반과 꽃들반에 재원중인 22개월에서 33개월 사이의 영아 9명을 대상으로 영아들의 실외놀이를 참여관찰하고 원장, 교사와의 심층면담, 그리고 중요한 기록물들에 대한 분석을 포함한 질적 연구방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영아들에게 자연친화적 실외 환경에서의 놀이 경험은 영아가 보육기관의 실내 공간에서는 제한 받았던 특별하고 다양한 경험 세계를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영아들은 '감각을 깨우는 탐색의 세계'를 경험하고 있었으며 둘째, '정서를 깨우는 소통의 세계'를 경험하고 있었다. 영아가 놀이 경험을 통해 보다 건강한 성장을 한다고 볼 때, 자연친화적 실외 환경은 오늘날 전형적인 인공 놀이터의 틀을 깨고 찾아가기에 충분한 가치를 지닌, 온전하고도 생기 넘치는 살아있는 놀이터라는 점과 영아들이 이러한 공간에서 깊이 몰입하여 놀이를 경험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는 점이 제안되었다.

대전 동구 보육원생의 구강건강 및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Or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the Orphans in Dong-gu, Daejeon)

  • 궁화수;송은주;황수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23-229
    • /
    • 2013
  • 본 연구는 대전 동구 보육원생 대상 계속구강건강관리사업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대전 동구 보육원생 109명을 대상으로 하여 2012년 7~8월에 구강검사와 COHIP를 비롯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10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대전시 표본과 대전 동구에 거주하고 보건소 계속구강건강 관리사업을 받지 않은 아동의 자료를 검정값으로 이용하여 일표본 검정을 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계속구강건강관리사업을 받은 보육원 9~12세 아동과 13~18세 청소년은 우식경험영구치수에 있어서 대전시 12세, 15세 표본과 각각 비교하여 차이가 없으나, 13~18세 청소년은 대전시 15세 표본과 비교하여 우식치아수와 우식치면수가 유의하게 많았다(p<0.001). 2. 계속구강건강관리사업을 받은 보육원 9~12세 아동은 보건소 계속구강건강관리사업을 받지 않은 아동과 비교하여 치면세균막지수는 유의하게 적어서(p<0.001), 잇솔질 방법을 올바르게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3. 계속구강건강관리사업을 받은 보육원 13~18세 청소년은 대전시 15세 표본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적은 잇솔질 횟수, 많은 치은출혈삼분악수를 보여(p<0.001), 연령이 증가하면서 자가구강건강관리가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4. 계속구강건강관리사업을 받은 보육원 9~12세 아동은 보건소 계속구강건강관리사업을 받지 않은 아동과 비교하여 아동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COHIP) 총점과 자기이미지와 학교환경의 항목에서 부정적이었다(p<0.05). 따라서, 보육원생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해서는 현재 발생되어 있는 우식치면수의 감소가 필요하므로 구강병예방사업과 더불어 구강병치료사업이 추가되어야 한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구강건강이 악화되는 양상을 나타내므로 청소년은 아동과 분리하여 청소년에 맞는 구강보건교육, 보육원내의 구강보건행동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심리적 지지가 필요하다.

가족관련변인과 영유아발달의 관계 : 종일제 보육과 어머니 단독양육의 비교 (The Relations between Familial Predictors and Infant-Toddler Development: Comparison between Full-Time Child Care vs. Exclusive Mother Care)

  • 장영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59-176
    • /
    • 2014
  • 본 연구는 영유아기 종일제 어린이집 이용 여부에 따라 가족관련 변인이 영유아발달에 가지는 관계성의 강도가 다를 수 있다는 가설을 검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한국아동패널연구의 3차년도 및 4차년도 조사자료를 분석하여 종일제 어린이집을 이용(주당 30시간 이상의 어린이집 이용)집단과 어린이집이나 대리양육자를 이용하지 않는 어머니 단독양육 집단을 추출하여, 일련의 가족관련 변인과 영유아의 발달적 결과 간의 관계성의 양상과 그 강도를 비교하였다. 분석방법으로 이변량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두 집단의 상관계수 간의 유의한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만2세의 경우 어머니의 사회적 양육유형이 영아의 의사소통을 정적으로 예측하는데 있어 종일제 어린이집을 사용하는 가족에서 그 크기가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만 3세 때에는 가정환경검사 중 다수의 하위변인에서 어린이집을 이용하지 않는 가족의 경우, 종일제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유의하게 강한 상관관계로 표현어휘 및 수용어휘 발달을 예측하였다. 즉, 어린이집에서 시간을 보내는 경우, 가정환경 외에 다른 요인이 발달을 예측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이들 변인 외에 분석에 사용된 다양한 변인과 영유아 발달 간의 상관관계에 집단차는 발견되지 않아 발달에 기여하는 가족과정이 종일제 어린이집과 어머니 단독양육 집단 간에 유사 또는 차별적이라고 단순히 결론 내릴 수 없고, 발달연령, 가족과정 내의 예측요인, 그리고 발달적 결과에 따라 다소 복잡한 유형으로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다.

영아를 둔 어머니의 어린이집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Effects of Variables on Mothers' Choices of Types of Infant Care)

  • 서소정;하지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319-335
    • /
    • 2014
  •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어린이집 선택과 관련된 다양한 변인의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의 대기신청을 통해 최근 6개월 이내 입소한 0~40개월의 영아를 둔 어머니 185명과 현재 대기신청 중이며 자녀가 어린이집을 이용하지 않고 있는 어머니 5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어머니들은 어린이집 대기신청 시 국공립어린이집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주된 이유는 보육환경 및 시설의 질적인 우수성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를 어린이집에 보내지 않는 어머니는 주변에 자녀를 보낼 만한 어린이집이 충분하지 않으며 질적 수준도 낮은 것으로 평가하였으며,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어머니에 비해 지적 성취와 성숙주의를 강조하는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어머니들의 경우 자녀의 연령이 어릴수록, 취업모인 경우, 대기신청기간이 길수록, 어린이집의 구조적 요인을 중요하게 여길수록 민간 또는 가정어린이집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어린이집을 선택하는 의사결정 과정에 어떠한 변인들이 우선순위로 작용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이들의 다양한 보육 욕구를 이해하고, 어린이집의 확충 및 질적 제고를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을 수립하는 데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누리과정과 연계한 유아녹색성장 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 자연환경감수성 및 환경보전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Educational Activity in Relation with Nuri Curriculum in Green Growth Education Programme for Young Children on Their Knowledge in Environmental Conservation, Sensitivity to the Natural Environment and Attitudes in Environmental Conservation)

  • 강인숙;문혁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133-158
    • /
    • 2014
  • 본 연구는 누리과정과 연계한 유아녹색성장 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 자연환경감수성, 환경보전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유아들이 어릴때부터 생활 속에서 녹색생활을 실천 할 수 있도록 유아녹색성장 교육프로그램 지원방안을 모색 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인천시 소재의 유치원에 다니는 만 5세 유아 54명으로 실험집단 27명, 비교집단 27명이다. 결과 분석을 위하여 독립표본 t-test와 공변량분석(ANCOVA: Analysis of Convariance)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분석은 SPSS WIN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녹색성장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 유아의 환경보전지식, 자연환경감수성 및 환경보전태도가 비교집단 유아의 환경보전지식, 자연환경감수성 및 환경보전태도보다 점수가 높았으며, 변화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여 유아녹색성장 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과 자연환경감수성, 환경보전태도를 증진시킬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기초한 논의 결과, 유아녹색성장교육 활동이 누리과정에 통합 적용되어 유아의 녹색생활이 일과 속에 실천되어질 뿐만 아니라, 나아가 가정, 지역사회가 함께 연계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녹색생활이 실천될 수 있도록 향후 과제와 제언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