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보온력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1초

이부자리의 보온력에 관한 연구( I ) -충전물의 보온성 - (Studies on the Thermal Insulation Effect of Bedding ( I ) - Warmth Retaining Property of Filling Material -)

  • 이송자;성수광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51-256
    • /
    • 1992
  • As a basic expriment to find out the thermal insulation effect of bedding KES-F7 was used to measure. The warmth retaining ratio of the six kinds of filling materials as cotton, wool , silk, down, cotton/polyester was measured, and the infleunce on the warmth retaining ratio of the warmth retaining ratio and humidity by the material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warmth retaining ratio of each filling material was shown to range from $70\%$ to $77\%$ . The warmth retaining ratio of each material preyed to be high in order down> polyester> cotton/polyester>cotton>silk>wool fiber. 2. The warmth retaining ratio of each filling material decreased with the inclose of the humidity The effective reduction rate by filling fiber's was high in order wool>cotton>cotton/polyester>silk>down>polyester material. 3. The warmth retaining ratio of each filling material was shown to be in counter-correlation with the humidity,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0.94-0.98) proved to be highly signi-ficant.

  • PDF

월간닭고기

  • 한국계육협회
    • 월간 닭고기
    • /
    • 제3권3호통권21호
    • /
    • pp.2-8
    • /
    • 1997
  • 닭 경쟁력 강화사업추진 - 축산물 가공업무 농림부로 일원화 - 음식물찌꺼기 사료화사업 본격 추진 - 농림부 ‘97육류중미생물검사요령 고시 - 농림부, 질병예방접종사업 확대 - 태국 브로일러 수출 정체 - 덴마크, 살모넬라 없는 닭 생산 - 중국, 가금육 수출 호조 지속 - 지난해 오리고기 수입 급증 - 계사 보온에 가스사용 늘어 - 위생닭고기 유통 차별화 필요 - 개방식 육계사, 종야점등으로 생산성 향상

  • PDF

농업기술 - 다가오는 환절기의 가축질병 어떻게 관리할까요?

  • 정영훈
    • 농업기술회보
    • /
    • 제47권5호
    • /
    • pp.40-41
    • /
    • 2010
  • 큰 일교차는 가축면역력 약화를 부른다. 낮과 밤의 일교차 약 $10^{\circ}C$ 전후의 환절기에는 면역력이 약한 어린 가축은 환경의 변화에 따른 대사불균형으로 질병 발생률이 높아진다. 가축에게 환경 스트레스를 낮춰주기 위해 아침 저녁으로 바깥의 찬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해야 하고 야간에는 축사보온, 낮에는 환기가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또한 양질의 사료공급은 물론 비타민, 광물질 등의 첨가제를 적절히 배합해 급여하고 호흡기 질병 및 설사병 등의 백신을 적기에 접종해 면역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PDF

보온부직포 이중피복이 참외의 생육, 품질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ouble Layer Nonwoven Fabrics on the Growth, Quality and Yield of Oriental Melon(Cucumis melo L. var. makuwa Mak.) under Vinyl House)

  • 신용습;박소득;도한우;배수곤;김주환;김병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2-28
    • /
    • 2005
  • 참외 무가온 재배시 보온부직포를 이용하여 보온재배 하고 있으며 한번 구입한 보온부직포는 보온력과 관계없이 장기간 사용하고 있다. 본 시험은 참외 무가 온 재배 시 보온부직포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보온 부직포의 이중피복에 따른 보온효과, 생육, 품질 및 수량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정식 전부터 4월 20일까지 보온부직포를 9+3온스, 6+6온스 그리고 6+3온스로 이중으로 덮어 12온스와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터널내 야간 온도는 913온스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고 6+6온스, 6+3온스 그리고 12온스 순이었다. 생육은 12온스에 비하여 이중피복구에서 초장, 엽수, 일비액량 등 생육이 우수하였으며 특히 9+3온스 처리구에서 가장 좋았다. 과중. 과육두께, 당도, 상품과율 및 수량 등은 처리간 차이는 없었으나 발효과 발생율은 12온스의 $32.9\%$에 비하여 9+3온스, 6+6온스, 6+3온스 이중피복 처리구에서 각각 $19.6\%,\;10.2\%,\;16.6\%$ 감소하였다. 10a당 수량은 12온스의 2,260kg에 비하여 9+3온스에서는 $7\%$ 증가하였으나, 6+6온스 및 6+3온스에서는 각각 $3\%,\;13\%$ 감소하였다. 소득은 12온스의 4,499천원에 비하여 9+3온스에서는 $13\%$, 6+6 온스 $3\%$증가한 반면 6+3온스에서는 $10\%$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참외 무가온 재배시 보온효과, 품질, 경제성분석 결과 보온부직포를 12온스 한 겹으로 덮는 것보다는 9+3온스나 6+6온스 등과 같이 이중으로 피복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생각되었다.

CEM BIO Film 피복시설의 환경특성이 풋고추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eenhouse Environment Covered with CEM BIO Film on Green Pepper(Capsicum annuum L.) Growth)

  • 전희;권영삼;김현환;이시영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8년도 임시총회 및 학술논문발표요지
    • /
    • pp.99-102
    • /
    • 1998
  • 우리나라 윈예생산 시설의 피복에 사용되는 피복자재는 값이 싸고 설치가 쉬우며 비교적 광투과율이 높고 시설에 피복할 경우 긴밀도가 뛰어나 보온력이 우수한 플라스틱 필름이 99 %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에 플라스틱 필름의 종류는 다양하게 발전하여 소재는 PE(polyethylene), EVA(ethylene vinylacetate), PVC(polyvinylchloride), 등의 연질필름과 PET(poly ethylene terephthalate) 그리고 ETFE(ethylene tetrafluoride ethylene) 등의 반경질핌름으로 되어 있다. (중략)

  • PDF

플라스틱 공기막 커튼을 활용한 온실의 보온력 향상 (Effect of Heat Insulation by Plastic Curtain with Air Cell in Greenhouse)

  • 김학주;이시영;염성현;남윤일;전희;윤남규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03-206
    • /
    • 2003
  • 우리나라 시설원예 면적은 '95년 43,093ha에서 '01년 말 현재 52,125ha로 연평균 3.2%의 증가율을 보인 반면 난방면적은 연평균 10.8%씩 증가하여 12,710ha로 전체 시설재배 면적의 24.4%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난방연료의 95% 이상이 경유이며, 최근 국제정세 불안 등으로 유가가 급등하여 시설재배농가의 연료비 부담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중략)

  • PDF

액압벌징에 의한 보온용기의 제조방법 개발 (Development of Manufacturing Method of Vessel for Keeping Warm by Hydraulic Bulging)

  • 정준기;조웅식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6권7호
    • /
    • pp.24-31
    • /
    • 1999
  • Bulging is a forming method to shape of die cavity by using hydraulic pressure in tube or vessel. Bulging machine and die were developed in order to produce vessel for keeping warm. Bulging machine is a double type with two horizontal cylinders for bulging of two pieces at the same time. The developed die system has one bulging die and two drawing dies for necking at the both ends of tube. The diameter of tube expands by hydraulic pressure in tube. at the same time, thrust at the both ends of tube. pushes tube in the direction of expansion to obtain high expanding rate with no crack. In this study, the bulging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to solve tube crack and necking in manufacturing vessel by the combination method of bulging and drawing. As a result, high expanding rate of tube radius without crack, precision necking and high productivity were obtained.

  • PDF

의복기후의 계절적 변동 (Seasonal changes in clothing microclimate)

  • 김양원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4-168
    • /
    • 2001
  • 의복착용시의 쾌적성은 의복의 보온력 조절에 의해 의복내 기후를 형성하여,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하는 역할을 하므로 건강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그러므로 건강이나 쾌적성 평가의 측면에서 의복내기후가 체계적으로 파악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무실 환경에서 의복착용시 착용실험을 실시하여 계절적인 의복내기후의 변동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겨울 31.8$^{\circ}C$, 48.6%, 봄 33.5$^{\circ}C$, 47.9%, 여름 32.7$^{\circ}C$, 64.6%, 가을 31.9$^{\circ}C$, 43.6%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계절간의 차이는 의복내온도에 있어서 가을과 겨울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봄과 여름간에는 차이가 있었다. 의복내습도는 여름과 겨울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다른 계절간에는 차이가 뚜렷하였다.

  • PDF

써멀 마네킹 착용실험에 의한 보온력에 미치는 의복소재의 영향 (The Effects of Textiles for Thermal Insulation Value Using a Thermal Manikin)

  • 손원교;최정화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7권12호
    • /
    • pp.141-151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s of textile materials for thermal insulation value using a thermal manikin. Cotton, polyester, wool, silk and rayon were selected as outer wears like blouses, skirts, slacks, and one-pieces. Acetate was chosen as a lining. Brief and long sleeve upper underwear(cotton) were chosen as the inner wea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materials in skirts and blouse-skirt suits by the thermal manikin. However blouses, slacks, one-pieces and blouse-slacks suits were showed the effects of materials. Blouse-slacks suits was showed the highest thermal insulation value and one-piece had the lowest thermal insulation value.

  • PDF

무풍안정시의 부인용한복의 보온력에 관한 연구 -동제인체모형에 의한 실험- (Experimental Study on the Thermal Insulation of Woman's Korean-Styled Clothes under Still Air Condition -by the Instrumented Copper Mannequin on Standing-posture-)

  • 최정화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7-13
    • /
    • 1977
  • The insulating values of 7 kinds of woman's Korean-styled clothes were examined on the instrumented copper mannequin standing upright under still air condition in a climatic chamber at $20^{\circ}C$ and $60\%$ R.H..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found in both between total insulating values of clothing (IT) and total clothing weight. and between IT and total clothing thickness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otal clothing weight and total clothing thickness. 2) It seems possible to predict the approximate insulating value of woman's Korean styled clothes on still air condition by the total clothing weigh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