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보건의료환경

Search Result 400,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The Meaning and Challenges of Health Care Workforce Support Act (보건의료인력지원법의 의미와 과제)

  • Seo, Kyung Hwa;Kim, Kye Hyun
    • The Korean Society of Law and Medicine
    • /
    • v.20 no.3
    • /
    • pp.211-233
    • /
    • 2019
  • The 「Health Care Workforce Support Act」 was came into effect on 29 October 2019. Health care workforce is the most important national health resource, and the quantity and quality of them is also related to the level of national health care. This study examined the background and major contents of this Act and suggested future improvement by analyzing main issues. Th e Act was enacted to support the health care workforce for their recruitment and better working environment. By stipulating the establishment of the master plan, management of the supply and demand, improvement of working environment for health care workforce, the act contributed to raise the quality of health service and health promotion. Given that the act was developed in consideration to support of health care workers, it has many meanings. However, it is necessary to reexamine the above-mentioned five issues in order to develop the effective law while utilizing the significance of the law for health care workforce support and has to revise as soon as possible.

A Crisis of Healthcare and Korea National Insurance's Selection of New Paradigm (보건의료의 위기와 한국 건강보험의 뉴 패러다임 선택)

  • Kim, Myu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4.11a
    • /
    • pp.477-478
    • /
    • 2014
  • 최근 급변하는 한국 보건의료환경 가운데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한 생산가능 인구 감소와 보건의료재정의 적자 및 막대한 비용 상승이 전망되면서 보건의료체계에 위기감이 조성되어왔다. 도입 초부터 줄곧 형평성과 접근성을 강조했던 구 건강보험 패러다임에 대해 사회 일각이 지속적으로 수정을 요구해왔으며 보건의료당국은 최근 "선진형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공식 선언하고 보건의료체계의 개혁을 예고하였다. 이 논문은 한국 보건의료환경을 진단하여 패러다임 전환의 당위성을 제기하며 신 구 패러다임의 비교분석을 통해 신 패러다임의 특징을 도출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표가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국내 외 문헌자료와 전문가들의 인터뷰 자료 등 2차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을 시도한다. 비교분석결과, 전환된 패러다임 하에서 한국의 향후 보건의료개혁의 방향은 효율성(equity) 강화와 보건의료에 대한 책임주의(stewardship)를 구현할 것임을 도출하였다.

  • PDF

지역보건의료 정보화 사업의 현황과 발전방향

  • Sin Ui-Gyun
    • 대한예방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1.04a
    • /
    • pp.27-38
    • /
    • 2001
  • 보건소 정보화 사업은 지역단위 공공보건의료의 최일선 기관인 보건소에 정보시스템을 설치하여 내부운영을 효율화하고 생산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양질의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동시에 지역보건의료의 효과적인 정보체계 구축과 정보의 원활한 교류를 통하여 국가보건정책수립을 위한 기본정보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공공보건의료의 환경변화를 이끌어 갈 기반을 확충하려는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보건소 전산화 사업을 근간으로 하는 지역보건의료분야 정보화 사업은 보건 의료부문의 정보화를 위한 국민복지망 기본계획에 의거하여 94년 12월부터 2기로 나누어 8차 년도에 걸쳐('94.12 $\sim$ '01. 10) 연차사업으로 시행 중에 있다. 보건소 정보화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시행된 제1기 정보화 사업('94.12 $\sim$ '98.7)을 통해 개발된 보건소 정보시스템이 현재 242개 보건소 중 108개 보건소에서 사용중이며, 이를 통해 보건소 업무의 효율화와 함께 지역보건의료분야 전산화 구축의 기초단계가 확립되었다. 제2기 사업은('98.10 $\sim$ '01.10) 보건소 중심의 지역보건의료망 구축과, 보건소 정보시스템의 전국 확산, 관련기관 정보망과의 연계를 통한 정보교류 확대와 정보활용도 제고 등의 목표로 시행중이다. 2기 1차 사업을 통하여 보건소-보건지소 진료소간 지역보건의료망의 기본 하부골격의 토대가 구축되었고, 2기 2차 사업에서는 보건의료원의 전산화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또한 현재 진행중인 2기 3차 사업에서는 지역보건정책 수립을 지원하는 진료현황, 보건사업현황 등의 자료를 통합D/B로 구축하여 시범적으로 운영함으로써 정보망의 활용도를 높이고, 광역단위의 지역보건정보 의사결정시스템(EIS)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한편, 최근 급속한 정보기술의 발달과 보건의료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보건정보시스템의 변화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 중앙정부와 광역자치단체, 보건소를 연결하는 전국 단위 정보네트워크 구축에 있어 신기술 적용방안 연구를 통하여 보건소 정보화 사업의 발전 방향(ISP)을 모색 중에 있으며, 시군구 행정정보망과 연계를 통해 생애주기에 따른 주민 평생건강관리를 위한 정보시스템 구축을 도모하고 있다.

  • PDF

Establishment of Standards for Architecture & Operation Planning of Public Health Services (서울시 종합의료시설 도시계획지원을 위한 공공필요의료시설 설치 및 운영 기준 정립)

  • Kim, Eunseok;Yong, Insuk;Jeong, Daeun;Goo, Gayeon;You, Changho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 /
    • v.30 no.1
    • /
    • pp.47-52
    • /
    • 2024
  • 병원은 다양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의료기관 별 운영 전략에 따라 각기 다른 방식으로 운영된다. 특히 종합의료시설은 중증도가 높은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이나 입원 등의 의료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고자 그에 따른 운영 전략이 상이하다. 이러한 병원의 운영방식에 의해 결정되는 건축 역시, 건립 시기, 유형, 중증도에 따른 병원의 규모 등에 따라 시설 수준의 차이가 나타나며 이는 최근 정부에서 요구되는 제도 및 정책의 수용 여부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 되기도 한다. 최근 의료법은 기존 의료시설뿐만 아니라 신규 의료시설에 대한 설치 및 운영기준이 강화 추세에 있고, 서울시 또한 공공의료 확충을 위해 감염관리시설이나 필수의료시설 설치를 위한 용적률 인센티브 정책을 추진 중이다. 병원 운영 환경이 상이함에 따라 종합의료시설 설치 및 운영에 대한 인센티브제도의 적용 기준을 일괄적으로 적용하기에는 어렵다. 그러나 공익을 위해서 종합의료시설 인센티브제도를 지속 가능하게 운영하기 위한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기준은 반드시 필요하다. 공공의료 기능 확충을 위한 서울시 종합의료시설 지구단위계획 수립·운영 기준은 공공과 민간이 모두 만족하는 의료환경 구축을 위해 매우 깊은 고민이 필요했다. 본 논설은 서울시 공공필요의료시설 확충 제도의 주요 내용과 공공필요의료시설 설치 및 운영 기준에 관해 소개하고자 한다. 특히 기준의 주요 내용을 정립하게 된 배경과 이유 등을 설명하여 본 제도의 의의를 정확히 전달하고 향후 보완해야 할 부분들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in Healthcare Area (보건의료정보 보호관리 모델 개발)

  • Jeong, Hey-Jeong;Kim, Nam-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953-956
    • /
    • 2005
  • 보건의료정보는 개인의 가장 민감한 정보로 최상의 보호가 이뤄져야하는 한편, 국민 건강과 복지 향상을 위한 공익의 성격도 강하여 관리와 책임에 대한 명확한 지침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보건의료 부문의 특성과 정보화 현황을 반영하고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국내 보건의료 환경에 적합한 정보보호관리 모델을 개발하였다. BS7799, HIPAA Security Rule, HL7 EHR SIG 기능명세 등을 참고하여 필요성, 정보보호 목적/전략 수립, 위험분석/평가, 정보보호관리 정책수립, 정보보호관리 프레임워크 설계, 관리적 보안, 물리적 보안, 기술적 보안, 정보보호관리 평가,운영관리의 총 10개 세부 프로세스와 111개의 이행지표로 구성된 본 모델은 보건의료정보 취급자에게 실행 지침을 제공하여 보건의료정보시스템의 안정성 향상과 국민 보건복지 수준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나눔으로 고객과 하나되는 KIHA - 대한산업보건협회 경인지역본부 '건강걷기대회' 의료지원

  • 대한산업보건협회
    • 월간산업보건
    • /
    • s.361
    • /
    • pp.52-54
    • /
    • 2018
  • 어딘가로 이동하는 방법 중 가장 느린 수단이 걷기다. 시간과 에너지를 소모해야 하지만, 사무실에 갇혔던 몸에 활기를 주고 바람과 공기를 있는 그대로 느낄 수 있으며 주변 환경을 돌아볼 수 있는 여유를 갖게 한다. 봄을 맞아 진행된 '건강걷기대회'에 대한산업보건협회 경인지역본부가 의료지원을 나섰다.

  • PDF

A Study on the Practice Model for Practical Education for Health and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보건의료정보관리 실습교육을 위한 실습모델 연구)

  • Choi, Joon-Young
    • Journal of the Health Care and Life Science
    • /
    • v.8 no.2
    • /
    • pp.83-93
    • /
    • 2020
  • In this study, a practical model for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education using the EMR education system at universities for nurturing health care information managers was studied. Currently, there is no practical training course for health care information management in the standards for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of health care information management education introduced to strengthen the job competency of health care information managers. Accordingly, the program was constructed so that the practice program suggested as an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e Health and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Education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Manual can be practiced in the EMR education system. In addition, a practical model that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on-site practice guidelines for health and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for each program was studied. Using the health care information management education EMR system, master data management, patient registration, doctor prescription, medical cost calculation, health insurance claim management, form management, discharge registration, cancer registration, unrecorded management, health care data management, health care statistics, A practice model was studied so that practice on information protection/security management can be performed. It will be possible to play a role as a health care information management expert by raising the quality level of health care information management education through systematic and standardized health care information management practice courses at universitie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health care information management experts who develop and manage medical services based on medical data analysis through practical training of health care information managers.

International Trends of Digital Health and It's Political Implication for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디지털헬스 정책환경의 국제 동향과 의료기술평가에 대한 시사점)

  • Choi, Solji;Cha, Sunmi;Yoo, Keunjoo;Hong, Seokwon;Park, Chong Yon
    • The Journal of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 /
    • v.6 no.2
    • /
    • pp.95-99
    • /
    • 2018
  • As technologies develop, the digital health sector is gradually expanding. Internationally, the global summit for Digital Health named Global Digital Health Partnership (GDHP) was launched in 2018. Many countries are participating in GDHP and share their policy experiences on digital health and find the ways to cooperate with participating countries (13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and Hong Kong). This article reviewed the international trends in digital health policy environment and evidence assessment focusing on GDHP activities, and derived implications for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of digital health. Consequently, to assess the intervention effects of digital health is very complex and the assessment should be considered multidimensional aspects (social, clinical, and technical). In addition the patient experience should be assessed qualitatively.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HTA) should assess the effect of digital health policies to changes in health care systems resulting from the application of advanced technologies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Digital health is also related to new HTA, HTA of existing technologies, and R&D on the promising health technolog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trends of the technology's management policy consistently through the HTA of digital health.

A Study on the Integration of Healthcare information Systems in a Distributed Environment (분산 환경에서의 보건의료분야 정보시스템 통합에 관한 연구)

  • Kim, Kyoung-Mok;Park, Yong-Mi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6 no.4B
    • /
    • pp.362-370
    • /
    • 2011
  • The current healthcare information systems field demand for healthcar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various systems. Therefore, the budget is constantly increasing for information systems. But the current system have been lack of data that provide real-time issues. Because standardization and real-time networks are not configured. In this paper, proposed web services-based integration of information systems about healthcare sector. Web Services as the primary means to pursue integration SOA(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SOA could add new requirements without significantly altering the existing system. And SOA is an important model that can quickly adapt to the environment in healthcare field of changing rapidly. In this paper, the healthcare sector based on SOA design and implement an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The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is proving to be a suitable model based on web service platform for healthcare data and service integ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