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보건소 방문간호서비스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1초

보건소 방문간호사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수행도 분석 (An analysis on performance of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by general characteristics of visiting nurse in public health center)

  • 박정숙;오윤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381-393
    • /
    • 2014
  • 본 연구는 방문간호사의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수행도와 방문간호사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수행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대구시와 경상북도의 방문간호사 총 204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연구기간은 2011년 7월 1일부터 8월 30일까지이었다.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수행업무 중 당뇨병 환자관리와 고혈압 환자관리를 가장 많이 수행하였고, 반면에 임산부 관리와 영유아 건강관리 업무에 대한 수행 빈도가 가장 낮았다. 방문간호사의 일반적인 특성 중에서 연령, 기혼, 교육수준, 종교, 보건소 근무경력, 방문간호 업무경력, 근무지역에 따라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수행도의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의 안정적인 정착과 활성화를 위해서는 방문간호사의 일반적인 특성을 충분히 고려한 업무 배정과 고용 보장 등을 포함한 방문간호사의 관리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가정방문간호의 현황과 향후 과제 (Current State and the Future Tasks of Home Visit Nursing Care in South Korea)

  • 박은옥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4권1호
    • /
    • pp.28-3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과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방문간호, 의료기관의 가정간호사업 등 가정방문간호사업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발전과정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각 가정방문간호사업의 관련 법령, 통계자료, 지침과 안내서, 연구논문과 학술대회 자료집 등을 검색하여 관련 문헌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은 지역보건법에 근거하여 주로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간호사에게 의해 비용부담 없이 제공되고 있으며, 2017년 12월을 기준으로 1,261,208명 등록 관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 등록 대상자는 흡연율, 걷기 실천율, 혈압조절율, 혈당조절률 등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나, 건강행위와 질병관리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고, 비용-편익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의 방문간호는 노인장기요양보험법에 근거하여 간호사 또는 간호조무사에 의해 재가장기요양기관에서 방문간호를 제공하고 있으며, 시간당 정해진 수가에 따라 비용을 받고 있는데, 2017년에 전체 요양급여비의 0.2%만이 방문간호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가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 이용자는 비이용자에 비해 의료비도 더 적게 쓰고, 입원일도 적다고 보고되었다. 의료기관 가정간호는 의료법에 근거하여 2명 이상의 가정간호사(가정전문간호사)를 고용한 의료기관에서 의사의 처방 하에 가정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데, 2017년 460명의 가정간호사가 가정간호서비스를 제공하고, 전체 의료비의 0.038%가 가정간호비용으로 지불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가정방문간호 유형은 관련법이나 인력, 사업 대상이 다르지만, 서비스 이용자의 건강관리에 효과가 있고, 비용-편익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가정방문간호를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 세 개 유형의 가정방문간호 서비스가 통합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근로 조건의 개선, 가정방문간호서비스 제공인력기준이나 방문간호수가 체계의 개선과 같은 법령의 개정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노인의 의료기관 가정간호 급여청구 및 서비스 이용 현황 (Hospital-based home care reinbursement and service use for the elderly)

  • 진영란
    • 한국노년학
    • /
    • 제29권2호
    • /
    • pp.645-656
    • /
    • 2009
  • 본 연구는 의료기관 가정간호사업 현황을 총체적으로 파악하여, 의료기관 가정간호사업 활성화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 이후 세 가지 유형의 가정방문 간호사업을 효율적으로 기능역할 정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생성하기 위함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06년 의료기관 가정간호 급여청구자료를 2차 분석하고, 전국 75개 의료기관 가정간호사업소의 사업현황을 횡단적 조사 분석하였다. 2006년 전체 의료기관 가정간호 이용자 중 65세 이상 노인은 20,343명(전체 대상자의 64.0%), 급여 청구는 98,822건(전체 청구의 70.1%), 방문은 333,889건(전체 방문의 76.8%)이었다. 이용자의 진단명은 뇌졸중 23.6%, 뇌졸중을 제외한 심장 등 순환기질환이 17.7%로 전체 청구 중 41.3%가 뇌졸중을 비롯한 순환기질환에 의한 것이었다. 다음은 당뇨 등 내분비계질환 10.4%, 신생물 9.7% 순이었다. 2006년 일 년간 노인대상 의료기관 가정간호 총 진료비는 13,247,992,290원(전체의 70.5%), 가정간호비용은 6,544,430,760원(전체의 72.2%)이었다. 2006년 일 년간 의료기관 가정간호 서비스 이용 노인 일인당 평균 총 진료비는 646,262원, 가정간호비용은 319,476원, 총 방문건수는 15.3건이었다. 의료기관 가정간호사업은 보건소 방문보건사업과 중재 종류는 유사하나, 보건소 방문보건사업에서는 수행되지 않는 헤마토크릿(16.8%), 혈색소(15.6%), 적혈구 침강속도(5.6%), 경피적산소분압(0.1%) 등 임상검사와 흡입배농 및 배액(0.7%), 약물저류 관장(0.1%) 및 가스관장(0.01%)등 특수처치가 수행되었다. 건강보험 급여한도 월 8회를 초과하여 전액본인부담금으로 의료기관 가정간호를 이용한 노인은 질환별로 욕창 7.0%, 암 5.4%, 당뇨 2.5%, 고혈압 1.1%, 뇌졸중 0.9%였다. 따라서, 이러한 서비스 차이를 반영하여 세 가지 유형의 가정방문 간호사업간 기능역할을 설정하고, 서비스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보험급여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대도시 보건소 동단위 방문간호 대상자의 군분류 및 표준 방문간호서비스 경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Visiting Nursing Service Recipients and the Development of Standardized Visiting Nursing Service Pathways Based on Public Health Center)

  • 황라일;유호신;석민현;진달래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81-391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nd classify district visiting nursing standards and to standardize visiting nursing service pathways. Method: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s a focus group study and analyzed visiting nursing records. We surveyed 201 recipients at urban health centers, who were selected through convenient sampling, from April 2003 to November 2003. Result: First, visiting nursing service recipie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household and financial characteristics, existence of disease, ability of self-care, and existence of home care service needs. Standardized pathways of the selected items were assessment. nursing care plan, disease management and promotion of self-care ability for Level I (mean=12.2 visits). For Level II (7.3 visits) were offered assessment. disease management. health education. and health promotion services. For Level III (5.2 visits) were offered assessment. disease management. health education and health promotion services, and for Level IV (2.7 visits) were offered thorough assessment, education for self-care and health promotion. Conclusion: The visiting nursing service pathways identified in this research need to be developed further as basic materials applicable to quality assurance and agency evaluation. For this, we suggest repeated research and test to apply the derived standardized visiting nursing services pathways in visiting nursing programs.

  • PDF

일 보건소 동단위 지역담당 방문간호서비스 성과 (A Study on Evaluation of District Visiting Nursing Services of Urban Health Center)

  • 유호신;황라일;진달래;석민현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27-136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outcomes of the district visiting nursing services. Method: We analyzed nursing records and inspected public health center data for evaluating nursing tasks. and conducted a telephone survey of 651 district inhabitants.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 the coverage of the district population, the rate of new registration and overall program activities increased. Meanwhile, accessibility of visiting health care, the level of health problem management, personal cognition and satisfaction concerning visiting nursing care increased, but there was little change in personal perception of health improvement. Furthermore, the status of client management was improved. In the analysis of participation in national cancer screening program, we found that there was twice higher participation in the district than others. Conclusion: We suggest that this district visiting nursing system takes responsibility for district inhabitant health management. Based on the study, we also suggest that the government and local autonomous entities should increas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 to execute the district-based visiting nursing system in wider areas.

  • PDF

방문간호서비스의 직무특성이 방문보건인력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on Emotional Empowerment in Visiting Health Personnel)

  • 임지영;김인아;김지윤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4-21
    • /
    • 2008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on emotional empowerment in visiting health personnel. Methods: Subjects were recruited in ten community health care centers in one directorial area. Data collection was done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Job characteristics of visiting healthcare personnel were measured using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Kang (2006), based on Hackman & Oldham (1975). Emotional empowerment was measured using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Kang (2006), based on Spreitzer (1995). Results: First, the score of job characteristics was revealed to be 3.51 points the task significance was high, and the feedback was low. Second, the level of emotional empowerment was revealed to be 3.78 points the meaning was high, and the impact was low. Third, the prediction power of job characteristics on emotional empowerment was 34% autonomy, task identity, and task significance were identifi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ive factors. Conclusion: The job characteristics of visiting healthcare personnel are highly correlated with emotional empowerment. Autonomy, task identity, and task significance are predictive factors of emotional empowerment.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develop more effective job planning for increas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visiting healthcare personnel.

  • PDF

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우리나라 재가간호서비스 연계방안 (Strategies of Home Health Care Services Linkages in Korea Based on Delphi Technique)

  • 이승희;임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282-290
    • /
    • 2012
  • 현재 우리나라의 재가간호서비스는 보건소의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과 의료기관 가정간호사업, 그리고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방문간호서비스의 독립성과 전문성을 인정하면서, 각 영역간의 연계를 통해 사업의 중복성을 최소화하는 연계방안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재가간호서비스의 연계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합의를 이끌어내는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제도적 차원의 연계와 의료적 차원의 연계라는 두 영역 안의 총 24개 항목이 연계방안으로 도출되었다. 재가간호서비스의 연계방안으로 도출된 24개의 항목은 재가간호사업 체계의 개선과 제공되는 서비스 질의 향상, 대상자의 만족도 증대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서비스의 중복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으로서 국가적 차원에서 복지 및 국민 건강관리의 효율성을 증대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국민의료비의 절감과 더불어 재가간호서비스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여겨진다.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의 자조집단 운영 현황 (A study on current situation of self-help group program in community-bas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 박정숙;권상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8호
    • /
    • pp.449-458
    • /
    • 2014
  • 본 연구는 방문건강관리사업에서 동일한 문제를 가진 대상자의 자기관리 증진을 위한 자조집단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전국 253개 보건소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2010년 9월 3일부터 9월 20일까지 회수된 109개소의 자료를 SPSS/WIN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건소에서 방문간호사업을 담당하는 간호사는 평균 9.27명, 대상 보건소 중 자조집단 프로그램을 실시한 보건소는 48개(44.0%), 자조집단 중 암 관련 프로그램이 65건(28.8%)으로 가장 많았으며, 실행예산은 500만원 이상은 19.6%로 재정적 지원이 열악한 현실이었다. 반면에 전문인력, 자조집단 관련 정보 및 예산 부족 등의 이유로 자조집단을 운영하지 못하는 보건소들도 자조집단 프로그램의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자조집단 형성과 운영을 위한 매뉴얼 개발 및 효과성 검증을 위한 객관적 척도 개발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고 본다.

근대 보건간호의 역사적 고찰 (Historical Review of Modern Public Health Nursing)

  • 이봉숙;한영란;양숙자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3권2호
    • /
    • pp.114-124
    • /
    • 2018
  • 본 연구는 지역사회보건사업의 한 영역인 보건간호의 근대 역사를 6개 시기로 구분하여 고찰하고 보건간호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태동기는 1908년부터 시작되었으며 선교사에 의해 보건간호가 시작되었으나 귀국 조치되면서 위축되었다. 기반형성기는 대한민국정부 수립 후 중앙정부조직과 보건관련 법령을 체계화한 시기로 1956년 보건소법 제정으로 보건소의 법적 근거를 확보하였다. 기반조성기에 정부는 가족계획사업을 정책사업으로 수행하였고 기생충질환예방법, 결핵예방법, 모자보건법 등이 제정되면서 보건소 사업이 증가하였다. 의료법 개정으로 업무분야별 간호사 자격이 인정되어 보건간호분야 간호사가 인정되었으며 조산원이 읍면동에 배치되어 임부의 분만 출산을 돕는 등 보건간호가 활성화되었다. 분야별 정비기에는 보건소 건강증진사업이 새롭게 영입되고 정신보건센터가 전국적으로 설치되면서 국민건강의 분야별 사업이 정비되었다. 또한 지역보건의료계획을 작성하게 되어 지역주민들의 요구를 반영한 사업을 할 수 있게 되었으며 정부는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을 설정하여 이를 보건의료 사업의 목적으로 삼았다. 보건소 기능확대기에는 건강형평성 확보를 위해 전국 차원의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을 실시하였고 도시보건지소와 건강생활지원센터를 설립하여 주민들에게 접근성을 높인 일차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앞으로 보건간호는 우리나라 보건의료전달체계의 특성에 알맞은 보건간호체계의 구상과 설계, 간호 인력에 대한 동기부여, 역할개발과 훈련, 새로운 보건체계와 보건간호서비스에 대한 종합적 평가 등을 통해 발전해 나가야 할 것이다.

도시 저소득층 만성질환노인을 위한 보건소 방문간호서비스의 경제성 분석 (Economic Evaluation of Visitng Nurse Services for the Low.;.income Elderly with Long-term Care Needs)

  • 이태화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91-201
    • /
    • 200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economic viability of public health center visiting nurse services for the low-income elderly with long-term care needs. Method: The sample consisted of 252 community dwelling elderly who enrolled in public health center visiting nurse services for three months or more. Data was collected on physical (ADL and IADL) and cognitive impairments of the elderly, contents and frequency of visiting nurse services, cost per visit, and costs of alternative services for long-term care. Result: The mean score of ADL and IADL levels of the elderly was 2.80.4904, which indicated these patients were mostly independent. Eighty four percent of the elderly subjects were cognitively intact. Among visiting nurse services supplied, providing assessment was 34%, followed by education and counseling 26%, medication 22%, and referral. The mean cost per visit was 17,824.1 won, which transformed into a total cost per person per year of 161,130.2 won. Comparing the cost of a visiting nurse service with those of other long-term care alternatives, the visiting nurse service was the least costly alternative, followed by an outpatient clinic, hospital based home care, and nursing home. Conclusion: Overall,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 evidence of the economic viability of visiting nurse services for the low-income elderly among long-term care alternat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