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보건간호

Search Result 2,82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pproaches to Teaching Health Policy : Moving Students into the Political Process (보건정책 교육을 위한 접근법 -간호학생의 정책참여 과정을 중심으로-)

  • Yom, Young-Hee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25 no.1
    • /
    • pp.156-163
    • /
    • 1995
  • 이 연구는 간호사의 보건정책과 정치에 대한 미래지도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써 한국의 4년제 간호학과에서 가르쳐야할 보건정책과목을 상세하게 제시한다. 새로운 보건정책과목 개설을 위한 기초작업으로써, 미국 간호사들의 정치와 정책참여에 대한 사례를 열거하고 어떻게 간호사들이 정책에 참여하고 영향력을 발휘 했는지를 서술한다. 특히 Oregon plan과 지역사회 중심으로 형성된 연합체제와 간호정책 분석가의 역할이 소개된다. 간호사들의 사회 정치 진출의 한 방법으로써 간호교육에서의 보건정책과목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언급되며, 미국의 4년제 간호대학 학부과정, 석사과정, 박사과정에서 가르쳐지는 보건정책 과목이 소개된다. 간호정책 전문가로써의 등용문으로 알려 진 Robert Wood Johnson Health Policy Internship과 Fellowship이 소개한다. 미국간호사들의 보건정책 참여방법과 현재 가르쳐지는 보건정책과목의 장점을 토대로 하여 우리의 실정에 맞는 간호학생을 위한 보건정책 과목이 제시되어진다. 보건정책과목의 목적과 내용이 자세히 서술되어지고 역동적인 실습과정이 소개되어진다. 또한 학과목으로 정착되기 위해서 필요한 새로운 전략이 서술되어 진다.

  • PDF

Education and Primary Health Care (일차보건의료와 간호교육)

  • Kim Mo Im
    • The Korean Nurse
    • /
    • v.22 no.4 s.122
    • /
    • pp.23-34
    • /
    • 1983
  • 일차보건의료와 간호교육을 논하기 위해 1) 일차보건 의료가 등장하게 된 배경부터 잠깐 살펴보고 2) 일차보건의료의 실체와 3) 이를 위해 어떤 인력이 요청되는가 파악하고 4) 일차보건의료사업과 간호인력의 참여 전망을 예측하고 그리고 5) 이를 기반으로 간호교육의 방향을 정립해야되리라고 본다.

  • PDF

Functions & Activities PHN (보건간호원의 기능과 직책)

  • 대한간호협회
    • The Korean Nurse
    • /
    • v.5 no.5 s.25
    • /
    • pp.77-80
    • /
    • 1966
  • 보건 간호 사업은 독특하고 중요한 공헌을 하는 보건 간호원이 그 기관의 조직체 내에서 조화되어야 한다. 보건 간호원의 기능은 교육 정도와 경험에 의해서 선정된다. 어떤 보건 간호원은 다른 보건 간호원들이 보건 기관에서 관리자나 감독 혹은 강사 자격으로 일할 때 평 직원으로 기능할 수도 있다. 보건사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좋은 건강을 통하여, 보다 나은 생활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팀으로서 목표 달성을 위하여, 계획을 세우고 그 발전과정을 평가함에는 계획서가 필요하다. 제한된 인원으로서 중요한 건강사업을 실행해야 되는 보건 간호원은 조직된 집단과 같이 일해야 된다. 당면한 보건 간호원의 기능 중 중요한 것은 환자의 건강 지도 및 훈련과 행정이 포함되고 있다.

  • PDF

Historical Review of Modern Public Health Nursing (근대 보건간호의 역사적 고찰)

  • Lee, Bong-Suk;Han, Young-Ran;Yang, Sook-Ja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43 no.2
    • /
    • pp.114-124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n history of public health(PH) and suggest a way forward for PH nursing(PHN). Methods: This paper is a review article that derives results from literature review. Results: In the period of beginning (up to 1944), PHN began as the PH Department was created in the Hygiene Bureau in 1908 and tasks about nurses were legislated. PHN was limited to infectious disease tasks and performed mostly by missionaries. In the period of foundation formation (1945 to 1961), the Republic of Korea was founded, and PH policies and tasks were defined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central government organization and the applicable laws. In the period of foundation establishment (1962 to 1979), the Regional PH Act was amended, and as a result, PH Centers(PHCs) spread across the country. In the period of foundation expansion (1980 to 1994), the PH referral system of PHCs, PH Units, and Primary Health Care Post was established. In the period of organization in each area (1995 to 2005), PH programs reflecting changes in disease structure and public needs for the quality of life. A regional health care plan was launched. In the period of funtion expansion (2006 to present day), Centers for support health living were established. Conclusions: In the future, PH nurses need to have a macroscopic perspective that views PH through the overall PH system, and to expand from the existing healthcare concept to the national and global healthcare one.

Establishing Standards for Nursing Practice (간호업무를 위한 기준확립)

  • 대한간호협회
    • The Korean Nurse
    • /
    • v.9 no.1 s.45
    • /
    • pp.38-44
    • /
    • 1970
  • 지난 이태 동안, 미국간호협회에서는 5개 분과위원회의 간호원들이 모여 ''간호란 무엇인가?''라는 문제에서 그 기준을 모색하기 위해 고심해 왔다. 공중 보건간호나 노인병간호, 모자보건간호, 일반 내$\cdot$외과간호, 정신과 간호등 다섯 분과위원회는 각분야의 업무평가 기준을 확립하기 위하여 수차 회으를 통하여 각분야의 간호업무 본질을 조사하였다. 이들의 조사결과는 ''간호란 무엇인가''를 확실히 하여 다른 사람을 이해시키고 업무수행 능력의 측정의 기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최근에 다섯개분과의 간호원들은 이 결과를 보고하기 위해서 저널지에서 토론하였는데 이 토론 가운데는 각 분과 위원회의 유사점을 비교했고 상반되는 점들을 서로 알게 되었다. 간호원들의 능력을 측정하는 수단 이외에는 어떤 분과도 간호업무의 실행능력 측정의 방법에 대해서 아무 전례도 가지고 있지 못했다. 각 분과회의는 장시간에 걸쳐 맡겨진 분야를 연구하여 초고(草稿)를 만들고 다시 수정하고 난 후에 실무간호원 및 고문으로부터 여러가지 의견을 받아 들였다. 이렇게 하여 간호기준은 여러가지 단계를 거쳐 완성되어 가고 있으며 각 부분이 끝나는 대로 발행될 것이다. 제일 먼저 ''노인병간호'' ''정신과 간호''의 업무기준이 곧 발행될 것이다. 모자보건위원회는 마지막 평가를 받기 위해 각 주에 있는 위원회에 그 간호기준을 보낼 계획이다. 일반 내$\cdot$외과간호 위원회에서는 이미 만들어 놓은 간호 기준을 50명의 전문 간호원들로 페널 디스커?을 가질 계획이며, 공중보건간호위원회는 9월에 열릴 회의에서 마지막 단계로 들어 갈 것으로 보고 있다.

  • PDF

Nursing in Korea (한국의 간호)

  • Hong Shin Young
    • The Korean Nurse
    • /
    • v.23 no.3 s.126
    • /
    • pp.7-21
    • /
    • 1984
  • 한국간호 I. 간호행정제도 및 법규의 변천 1. 간호행정기구 한국의 의료행정은 현대의학의 도입과 더불어 1894년 6월 내부에 위생국을 둔다는 규정이 발표됨으로서 시작되었고 1901년 관제개편에 따라 위생국에 보건과와 의무과가 설치되었다. 그 후 1945년 12월 보건후생부 간호사업국내에 보건간호과 기관간호과 조산 간호과가 설치되었고 각 도에는 간호 사업계가 설치되었다. 1948년부터는 보건사회부 의정국내의 조산간호과가 간호 사업과로 개편되었다. 그후 1970년 간호사업과가 간호사업담당관제로 개편되었으며 1981년부터는 간호사업담당관제도 폐지되어 보건국의 가족보건과나 의정국 지역의료과에서 한 명의 간호원이 참여하는 정도로 간호행정기구가 점차 축소되었다. 2. 간호법규 1)면허 1962년 개정된 의료법에 의하여 간호원의 면허는 문교부장관이 인가한 간호교육기관 졸업자중 간호원 국가시험 합격자로 규정하였다. 조산원의 경우는 1914년 처음으로 조산원 면허등록을 시작하였으며 현재는 간호원 면허를 받은 자로서 보건사회부장관이 지정하는 교육병원에서 1년의 정규 교육과정을 필한자로 그 자격을 명시하고 있다. 2) 자격시험 자격시험은 1916년부터 실시되었으며 1920년 이후는 각 도에서 관할 실시하였다. 그 후 1962년부터는 보건사회부장관의 주도하에 국가시험을 시행하였으며 현재는 국립 보건원에서 간호원을 포함한 의료업자의 국가 시험을 주관하고 있다. 3)간호수가 간호원 조산원에 관한 간호수가 관계 규칙은 1911년에 발표된 것으로 간호원의 경우 출장 시에 출장비와 간호료를 환자가 지불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1925년 5월까지는 각 지역별로 간호수가에 차이가 있었으나 동년 6월부터 수가규정이 전국적으로 통일되었다. 그 후 1953년부터는 국공립병원 간호원들에게도 다른 일반 공직자와 같이 직급을 보함으로서 간호직에 대한 보수가 통일되었으며 1971년부터는 간호직 수당이 제정되었다. II. 간호사업의 분야별 발전 1. 임상간호제도의 발전 1)초기의 임상간호 한국에 서양의학을 기초로 설립된 최초의 병원은 1885년 의사 Allen에 의한 왕립병원이다. 그 후 정부에 의하여 1894년 군부병원이 설립되었고, 1899년 내부병원이 1904년에 적십자 병원이 설립되었다. 당시에 이루어진 현대간호는 일본인 간호원들에 의해 전해진 일본식 간호와 선교사 간호원들에 의해 전해진 서구식 간호방식이 있었는데 이 두 간호방법은 문화적 배경이나 사회적 인습에 의한 많은 차이점을 볼 수 있었다. 2) 일제하의 임상간호 이 당시에 이루어진 일본식 간호방법을 보면 간호원들의 주업무가 환자를 위한 간호보다도 의사 보조에 더 치중한 것을 볼 수 있다. 한편 선교계 병원에서는 입원환자에 대해서는 간호원들이 전인간호를 실시하였으며 병원당국과 의사들의 협조로 많은 간호사업의 발전을 가져올수 있었다. 3) 광복 이후의 임상간호 6.25 동란 후 한국에는 병원이 계속 늘어나 현재 20Bed 이상의 전국의 병원수가 431개소이고 이중 80Bed 이상의 종합병원이 148개소나 된다. 각 병원의 간호사업은 간호사업과 또는 간호사업부의 행정체제로 운영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간호과정(Nursing Process)의 개념을 도입하여 문제중심 간호기록인 POMR(Problem Oriented Medical Record)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 또한 면허간호원은 매년 중앙회에서 실시하는 보수교육을 10시간 이상 받고 있다.

  • PDF

보건관리대행기관 산업간호사의 업무수행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 Jo, Dong-Ran;Go, Bong-Ryeon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 /
    • v.2
    • /
    • pp.26-39
    • /
    • 1992
  • 본 연구는 보건관리대행기관에 근무하는 산업간호사들의 보건관리업무실태 및 근무만족도와 이들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산업간호업무향상 및 효율적인 산업보건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조사대상은 38개 보건관리대행기관중 24개 기관에 근무하는 산업간호사 118명중 9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기간은 '92년 5월부터 6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중 89명이 설문에 응답하여 이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건관리대행기관의 간호사는 산업간호사의 일반적 특성과 비교해볼 때 기존 산업간호사와 유사하였다. 그러나 법정휴가를 받는다는 간호사가 59.1%로 더 낮았다. 둘째, 보건관리대행기관 산업간호사의 담당사업장수는 법적으로 30개 사업장, 2,000명의 근로자를 담당하도록 되어있는데 조사결과 법적기준인 보건관리사업장의 수를 담당하는 간호사는 57.1%를 차지하였고, 담당 근로자 수로 볼때는 2,000명이하가 29.8%를 차지하여 많은 산업간호사가 법적인 기준을 초과하여 산업보건관리를 대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건관리대행의 방문방법으로 교통편은 대행 기관차량을 이용하며, 간호사 혼자 산업장을 방문하는 것이 대부분으로 나타났고, 방문횟수는 100인미만이 월1회, 100인이상이 월2회로 규정된 것과 비교해보면 규정을 따르는 곳이 100인 미만의 경우 97.4%, 100인이상의 경우 86.4%였다. 또한 의사나 위생사는 방문을 안하거나 년1-5회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나 보건관리대행의 주제공자는 간호사인 것으로 냐타났다. 또한 사업장 방문시 업무수행장소는 휴게실이나 사무실이 87.5%, 현장이나 수위실에서 하는 곳이 70.5%나 되어 뚜렷이 업무를 수행할 장소가 마련되지 않은 실정을 나타냈다. 네째, 보건관리대행에 근무하는 산업간호사의 애로사항은 사업장내에서는 조직과 체계상의 문제, 간호사 역할에 대한 인식부족, 권한과 자율성 부족 등을 들었고, 사업장 방문시에는 사업주와 근로자의 인식부족이 우선적으로 지적되었다. 또한 산업간호사는 보건관리 대행업무에서 사업장의 참여유도, 사업장 순회점검 및 개선지도, 보건교육, 건강상담이 우선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다섯째, 보건관리대행기관 산업간호사의 업무수행정도는 건강검진이나 직업병관리, 보건교육, 환경위생관리업무를 비교적 많이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보건관리대행기관 산업간호사의 직무만족도는 전문적 위치나 상호작용, 업무요구등은 높게 나타났으나 보수와 산업보건관계자와의 관계등은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직무만족도에 대한 총화점수는 사업장근무자가 240점중 143.8인데 비해 보건관리대행기관 근무자는 230점중 129.61점으로 더 낮게 나타났다. 일곱째, 일반적 특성별 보건관리대행 산업간호사의 직무수행정도는 연령별 30세이상군이, 결혼상태별로 기혼군이, 경력은 1년이상인 군이, 근무시간 8시간인군이, 급여수준은 50만원이상인군이, 법정휴가가 있는 군이, 자질향상교육을 받은군이 담당사업장수가 30개이하인 군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연령군이 20-24군과 30세이상인군 (p<0.05), 결혼상태별로 기혼군과 미혼군(p<0.01), 급여수준별로 50만원미만군과 이상인 군(p<0.05), 법정휴가가 있는 군과 없는군(p<0.05), 자질향상 교육을 받은군과 받지못한 군(p<0.01), 담당사업장수가 30이하인 군과 31인이상인 군(p<0.05)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산업간호사중 나이가 많고, 기혼이며 급여수준이 높고 법정휴가와 교육을 받고, 담당사업장수가 30이하인 군이 보건관리대행업무를 잘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일반적 특성별 보건관리대행 산업간호사의 직무만족도는 연령별 30세이상군이, 결혼상태별로 기혼군이 경력은 1년이상인 군이, 근무시간 8시간인군이, 급여수준은 50만원이상군이, 법정휴가가있는군이, 자질향상교육을 받은군이, 담당사업장수가 30개이하인 군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결혼상태별로 기혼군과 미혼군(p<0.01), 근무시간별로 8시간군과 9시간 이상인 군(p<0.01), 급여수준별 50만원 미만군과 이상군(p<0.05), 자질향상교육을 받은군과 받지 않은군(p<0.05)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산업간호사중 기혼이고 근무시간은 8시간이며 급여수준이 높고 자질향상교육을 받은 군이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보건관리대행기관 산업간호사의 업무수행정도와 직무만족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보면 보수, 자율성, 업무요구가 높을수록 산업간호업무를 수행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상관관계 r>0.6, P>0.001), 전체적으로 총직무만족도와 업무수행정도와의 상관관계는 6346, P<0.001로서 만족도가 높을수록 업무수행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하여 보면, 보건관리대행기관에 근무하는 산업간호사는 그 특성을 고려하여 업무도 사업장 근무자와 다르게 규정되어야 하며, 담당업무의 명확한 한계를 정해 중소규모사업장의 산업보건관리업무를 책임있게 수행할 수 있도록 뒷받침이 필요하다. 더불어, 직무만족도를 높일수 있도록, 산업간호사에 대한 다방면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또한 보건관리대행기관 산업간호사는 나이가 많고 기혼이며 경력있는 간호사를 채용하고 근로조건을 잘 개선하면 직무수행정도가 더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좋은 근로조건의 형성과 직무만족도 등을 높여 산업간호사의 직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는 보건관리대행기관에 관한 규정이 강화 보완되어야 하겠으며, 민간단체와 의료기관 뿐아니라 공공기관에서도 중소규모사업장의 보건관리업무를 담당하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아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