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병원 기반 중재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2초

모바일 웹 기반 코로나19 격리 입원관리 교육이 환자의 불확실성, 불안 및 간호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Mobile Web-Based COVID-19 Isolation Hospitalization Management Training on Patient Uncertainty, Anxiety and Nursing Education Satisfaction)

  • 양나경;서지영
    • 임상간호연구
    • /
    • 제28권2호
    • /
    • pp.112-121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s of mobile web-based COVID-19 isolation hospitalization management training on patient's uncertainty, anxiety, and nursing education satisfaction. Methods: Patients hospitalized with COVID-19 isolation rooms from August to October 2021, in Medical Center B which is an infectious disease dedicated hospital located in metropolitan city B were included.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was 142, of which 71 were the experimental group and 71 the control group. As an experimental treatment, a total of 5 minutes and 35 seconds of mobile web-based education were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hree times, including the day of, the first day of, and the second day of hospitalization. Existing training conducted on the control group was provided by the nurses in charge of the ward through oral explanation using printed materials.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the IBM SPSS/WIN 26.0 program.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in pre-and post-assessment of uncertainty scores (t=-22.92, p<.001), anxiety scores (t=-15.03, p<.001) and nursing education satisfaction score (t=11.61, p<.001). Conclusion: As a result of the above, mobile web-based education can be used as an effective educational medium in nursing practice to improve the work efficiency and quality of nursing care and contribute to improving the patient's educational satisfaction.

국내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일상생활활동 중재 연구 분석: 단일대상연구 설계를 중심으로 (Analysis of Intervention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Stroke Patients in Korea: Focusing on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 성지영;최유임
    • 재활치료과학
    • /
    • 제13권1호
    • /
    • pp.9-21
    • /
    • 2024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에게 일상생활활동 향상을 위해 중재를 시행한 국내 단일대상연구문헌의 특성과 질적 수준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누리미디어(DBpia), 학술교육원(e-article)의 원문제공 서비스를 통해 2009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15년간 발간된 논문 중 '뇌졸중', '일상생활활동', '단일대상연구'를 주요 키워드로 검색하였다. 총 9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 대상 논문의 특징과 질적 수준을 알아보았다. 결과 : 9편의 분석 대상 논문 중 작업치료 분야 학회지에 실린 논문이 6편이었고, 분석 논문에서 적용한 연구 설계는 ABA 설계가 3편으로 가장 많았다. 대상자들의 성별은 남성과 여성이 각각 10명씩이었고, 대상자 수가 3명인 논문이 5편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 대상자들의 연령은 60대가 6명으로 가장 많았다. 일상생활활동 향상을 위해 적용한 독립변인은 강제유도운동치료, 상상연습, 시각되먹임을 차단한 자세 수직훈련, 양측성 상지운동, 가상현실을 이용한 과제훈련, 신경인지재활치료와 전통적인 작업치료, 체간 안정화 훈련, 완곡추적 안구운동과 경부신전근 진동자극법,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 각각 1편씩으로 다양한 중재들을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을 측정한 평가도구는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이 4편으로 가장 많았고, Modified Barthel Index와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ce Measure가 각각 2편이었다. 분석 논문의 질적 수준을 평가한 결과 총 9편 중 높은 수준의 연구가 7편이었고, 중간 수준의 연구는 2편이었으며, 낮은 수준의 연구는 단 1편도 없었다. 결론 :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향상을 위한 중재법으로 여러 유형의 재활치료가 활발히 적용되고 있으며, 일상생활활동 중재를 적용한 단일대상연구들의 질적 수준은 신뢰할 수준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아중환자실 부모의 돌봄참여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 내용 분석 연구 (Nurses' Perceptions toward Parent Participation in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A Content Analysis)

  • 김초희;채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493-50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돌봄참여에 대한 소아중환자실 간호사의 인식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상급종합병원 2곳의 소아중환자실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5명이며, 일대일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1월부터 2월까지였고 전통적 내용분석을 이용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소아중환자실 부모의 돌봄참여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은 5개 범주와 43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으며, 5개 범주는 필요성, 의미, 효과, 장애 요인과 촉진방안으로 나타났다. 간호사는 소아중환자실에서 집중 간호를 필요로 하는 자녀의 중증 상태로 인해 부모가 정서적 부담을 경험하며, 면회가 제한된 병원 정책이 이러한 부담을 악화시킨다는 점에서 소아중환자실에서 부모 돌봄참여의 필요성과 그 효과를 인식하고 있었다. 주요한 장애 요인은 부모의 돌봄참여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과 역량의 부족, 과중한 업무 부담, 소아중환자실과 병원 내 정책이나 지침의 부족으로 나타났다. 촉진방안은 간호사 대상 부모 돌봄참여의 의미와 실천방안에 대한 교육 제공, 간호사뿐 아니라 부모를 포함하여 인식개선 활동, 전담 전문가를 지원하는 방안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소아중환자실에서 부모의 돌봄참여를 통합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간호 중재의 개발과 효과 검증을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한국판 간호사-환자 상호작용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the Nurse-Patient Interaction Scale)

  • 장희경;이지연;김미경;양은옥;길초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747-757
    • /
    • 2019
  • 본 연구는 노인환자가 인식하는 간호사와의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the Korean version of Nurse-Patient Interaction Scale (K-NPIS)을 한국 요양병원에 입원한 노인환자를 대상으로 간호사와의 상호작용을 측정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려는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진주시, 순천시, 남원시에 소재하는 4개의 요양병원에 입원한 노인환자 202명을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문항분석과 내적일관성 검증을 통해 K-NPIS의 Cronbach α 값은 .96이었다. 전문가들을 통한 내용타당도 검증에서 내용타당도 지수가 0.8 이상으로 확인되었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거쳐 최종 단일속성으로 구성된 12개 문항 각 10점 척도의 최종 도구가 도출되었으며, 재원기간에 따라 K-NPIS의 점수가 유의하게 차이가 나(p=.042) 판별타당도도 검증되었고, 천장효과나 바닥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이 K-NPIS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도구임이 검증되어 요양병원에서 노인환자를 대상으로 간호사-환자의 상호작용을 측정하는 도구로 사용되는데 적절한 것으로 보이나 장차 준거타당도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K-NPIS는 노인환자가 인식하고 있는 간호사와의 상호작용을 자가보고 형식으로 측정하는 것이므로, 노인환자와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한 돌봄 중재의 성과를 평가하여 간호서비스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교육상담 기반 심장재활 프로그램이 노인 관상동맥질환자의 심혈관 위험도, 건강행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Education and Counselling-based Cardiac Rehabilitation Program on Cardiovascular Risk, Health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 원미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03-313
    • /
    • 2015
  • 본 연구는 교육상담 기반 심장재활 프로그램이 노인 관상동맥질환자의 심혈관 위험도와 건강행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유사 실험설계의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설계를 이용하였다. 2010년 5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부산광역시 D병원에 입원한 노인 관상동맥질환자를 대상으로 자료수집하였다. 실험군 22명, 대조군 22명 총 44명을 편의표집하고, 교육상담 기반 심장재활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심혈관 위험도, 건강행위 및 삶의 질을 측정하였다. 교육상담 기반 심장재활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심혈관 위험도(U=118.5, p=.002), 건강행위(t=6.776, p=.001)와 삶의 질(t=2.431, p=.01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상담 기반 심장재활 프로그램은 노인 관상동맥질환자의 심혈관 위험도를 감소시키고 건강행위와 삶의 질을 높이는데 효과적인 간호 중재임이 확인되었다.

한국의 호스피스 음악치료 (Hospice Music Therapy in Korea)

  • 김은정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1권4호
    • /
    • pp.109-114
    • /
    • 2018
  • 본 종설의 목적은 호스피스 음악치료의 필요성과 한국 호스피스 기관 내 적용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올바르게 정착시키고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호스피스 음악치료는 환자와 가족이 겪는 총체적 고통의 완화를 위해 전문가에 의해 수행되는 임상적 근거 기반 음악 중재이다. 다양한 연구를 통해 호스피스 음악치료의 효과가 보고되고 있으나 아직 국내에서는 호스피스 음악치료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며 관련 제도 역시 미비한 실정이다. 최근 호스피스 활성화를 위한 여러 정책 및 법률 시행 중이며, 이에 따라 호스피스 음악치료의 수요도 함께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 호스피스 음악치료가 환자와 가족에게 유용한 전문 요법으로 올바르게 인식되고 활용될 수 있도록 주요 기관 및 학회를 중심으로 호스피스 음악치료의 의미와 역할을 명확히 정의하고 다음과 같이 제도적, 학술적인 노력을 함께 기울여야 한다. 첫째, 환자와 가족에게 검증된 음악치료 중재가 될 수 있도록 호스피스 전문 음악치료사의 자격기준을 수립해야 한다. 둘째, 체계적인 이론, 임상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전문 음악치료사를 양성하고 필요한 기관에 고용될 수 있도록 서비스 전달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셋째, 연구 활성화를 위해 연구 로드맵을 수립하고 표준 프로토콜을 개발 및 보급하여 임상과 연구가 원활히 연계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환자안전문화 정착을 위한 리더십 워크라운드(Leadership WalkRounds)의 융복합적 적용 효과 (Effect of Leadership WalkRounds Convergence to Establish a Patient Safety Culture)

  • 이미향;김창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6호
    • /
    • pp.185-195
    • /
    • 2015
  • 본 연구는 일 대학병원의 환자안전문화 정착을 위해 리더십 워크라운드(Leadership WalkrRounds, LWR)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한 후 의료직의 환자안전문화 인식정도를 비교한 것이다. 리더십 워크라운드는 미국 의료질향상 연구소(IHI)의 도구와 미시건 대학의 환자안전 라운드(Patient Safety Rounds, PSRs)를 기반으로 준비-일정계획-운영-보고-문제해결 5단계로 구성하였다.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30.9세, 방사선사가 55.2%, 간호사가 26.0%, 약무직이 18.8%였다. 중재 후 환자안전문화 인식 총점은 2.63점에서 3.36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약무직, 여자, 30대 및 근무경력 1년 이하 그룹에서 인식정도가 가장 많이 상승하였다. 환자안전문화의 모든 영역에서 인식정도가 유의하게 상승했는데(p<.001), 특히 안전사고보고영역(p<.001), 의사소통영역(p<.001)이 가장 많이 상승하였다. 새로운 형태의 리더십과 환자안전관리 개념의 융합으로 의료 질관리에 새로운 관리방안을 시도한 리더십 워크라운드는 의료인의 환자안전문화 인식 향상에 유용한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결핵환자의 스티그마, 가족지지와 삶의 질의 관계 (Relationships of Stigma, Family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Tuberculosis Patients)

  • 박수정;안민정;소향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285-294
    • /
    • 2015
  • 본 연구는 결핵환자의 스티그마, 가족지지 및 삶의 질과 이들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일개 대학교 병원에서 결핵치료를 받는 환자 122명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ANOVA, 및 Pea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스티그마 I(결핵에 대한 타인 관점에 대한 지각)은 $18.67{\pm}7.48$ 이었고, 스티그마 II(자신의 관점에 대한 지각)는 $14.84{\pm}6.93$ 이었다. 가족지지는 평균 $30.81{\pm}4.16$ 이었고, 삶의 질은 평균 $102.22{\pm}13.72$ 이었다. 스티그마 I과 스티그마 II 사이에는 높은 정적 상관성(r = .753, p <.001)을, 스티그마II와 삶의 질은 경도의 부적 상관성(r = -.250, p = .005)을, 가족지지와 삶의 질은 중정도의 정적 상관성(r = .314, p < .001)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가 보여준 가족지지와 삶의 질의 정적 상관관계를 기반으로, 결핵환자의 스티그마를 줄이고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병원기반 금연중재가 뇌경색 환자의 퇴원 후 12개월 지속 금연율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 hospital-based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on the continuous abstinence rate from smoking over 12 months in patients with cerebral infarction)

  • 이영훈;오경재;한미희;김규진;박현영;김희숙;이건세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61-70
    • /
    • 2016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a hospital-based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for increasing continuous abstinence rate from smoking in patients with cerebral infarction. Methods: One-hundred and two smokers with cerebral infarction who decided to quit smoking were enrolled in the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from December 2012 to February 2015. The smokers underwent six consecutive times of individual intervention with nurse specialist on smoking cessation including education on behavioral modification, counseling for withdrawal symptoms, and anti-smoking advice over a 12-month period. Results: Among the total participants, the continuous abstinence rate from smoking changed from 79.4% at 1 month to 60.8% at 12 months after discharge. The continuous abstinence rate from smoking after 12 months was 88.5% in participants who completed the entire program (6 times), while 51.3% in participants who did not complete the entire program (${\leq}5$ times) (P=0.001). After adjustment for general and smoking-related characteristics, complete implementation of hospital-based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ontinuous abstinence from smoking after 12 months (odds ratio: 5.93; 95% confidence interval: 1.45-24.22). Conclusions: The hospital-based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might be effective for smoking cessation in patients with cerebral infarction, especially when the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thoroughly.

가상현실 기반 몰입형 복합중재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인지기능 및 두뇌 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ultimodal Intervention through Virtual Reality-Based Immersion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and Brain activity i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임예림;이선민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87-97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ultimodal intervention through VR (virtual reality)-based immersion program on the cognitive function and brain activity of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0 people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applied a complex intervention that performed cognitive tasks using the movement of the upper extremities through the VR program, and 10 people in the control group who received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After the study intervention was applied 5 times a week, 30 minutes a day for a total of 8 weeks, LOTCA-G(Lo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for Geriatric Population) and NIRSIT LITE were used to compare.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gnitive function and brain activity were noted between the pre- test and post-test in the experimental group. Brain activ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our channels of the working memory domain and one channel of the metacognitive domain (p < . 05).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gnitive function and brain activity. The brain activ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ree channels of the working memory domain and one channel of the metacognitive domain (p < .05). CONCLUS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complex intervention of performing cognitive tasks using upper extremity movements through the VR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gnitive function of patients with mild cogni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