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병원 감염 관리

검색결과 434건 처리시간 0.025초

국내 요양병원의 감염병 입원환자 실태 분석 (Status of Infectious Disease Inpatients at Long-Term Care Hospitals in Korea)

  • 방찌야;이한주;손예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134-14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요양병원에 입원한 감염병 환자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국내 요양병원에 입원한 감염병 환자의 실태를 조사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798개의 요양병원을 대상으로 14개 감염병에 대해 2016년 1월 1일부터 2017년 12월 31일까지 2년 동안 지속적으로 운영된 요양병원에 입원한 감염병 환자수, 내원일수, 총 진료비 현황을 조사하였다. 2016년에 비해 2017년에 감염병 환자수, 내원일수, 총 진료비는 증가하였고, 요양병원에 많은 감염병은 클로스트리듐디피실리에 의한 장결장염, 인플루엔자, 옴이었다. 또한 연도별로 감염병이 발생한 요양병원 수를 확인한 결과, 인플루엔자, 클로스트리듐디피실리에 의한 장결장염, 카바페넴계내성 감염증이 발생한 병원이 2016년에 비해 2017년 증가하였다. 병상수에 따른 환자수는 150병상 이상 300병상 미만인 군이 가장 많았다. 따라서 요양병원에 많이 발생하는 클로스트리듐디피실리에 의한 장결장염, 인플루엔자, 옴에 대한 관리방안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해당 질병에 대한 감염관리방법과 교육 등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300병상 미만 요양병원에서의 감염관리를 위해 요양병원에 적용 가능한 감염감시기준을 마련하고, 감염관련시설 및 인력 확충을 지원하는 등 감염관리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노인요양병원 요양보호사의 피부감염에 대한 인식 및 감염관리 수행 (Recognition of Skin Infection and Infection Management Practice on Caregivers in Geriatric Hospital)

  • 양서희;권영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808-817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노인요양병원 요양보호사의 피부감염 인식과 감염관리 수행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본 연구는 G시와 J도에 소재한 7개 노인요양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요양보호사 20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program을 이용하여 ${\chi}^2$-test, t-test와 ANOVA로 통계 분석하였다. 결과: 노인요양병원 근무 시 새로 생긴 피부감염은 76.6%가 '예'라고 응답하였으며, 피부감염의 진단은 접촉 피부염 42.5%, 옴 26.9% 그리고 습진 25.0% 였다. 피부감염 인식은 평균 3.81점이었고 감염관리 수행 정도는 412점 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 수행에서는 병상수(F=4.63, p=.011)와 하루 동안 돌보는 환자 수(F=2.67, p=.049)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요양보호사를 위한 보수교육 및 의료감염관리 표준지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응급구조과 학생의 병원감염 표준주의에 대한 인지도와 수행도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Students'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in Hospital Infection Control)

  • 최성수;윤성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262-2270
    • /
    • 2013
  • 이 연구는 임상실습을 실시하면서 병원감염에 노출되어 있는 응급구조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병원감염관리 표준주의 지침의 인지도와 수행도를 파악함으로써 감염예방과 노출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실천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병원감염관리 표준주의 인지도에 비해 수행도가 낮은 결과를 보였고, 인지도와 수행도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r=0.325, p=0.000). 향후 응급구조과 학생들의 병원감염관리 수행도를 증진 시킬 수 있도록 교과과정과 실습기관에서의 지속적인 교육프로그램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일부지역 치과의 기관, 감염관리자, 환자의 감염관리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Organization, Infection Controller, Patient Infection Control of Dental Clinic in Certain Areas)

  • 최두리;김설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99-406
    • /
    • 2015
  • 치과의료기관의 감염관리 수행 조사를 위해 2014년 6~7월 기간 동안 일부 지역사회 치과위생사 158명을 대상으로 기관, 감염관리자, 환자의 감염관리 수행을 자기기입식 설문조사하였다. 치과병원은 감염관리지침서 구비, 감염관리 담당자 지정, 정기감염관리 교육지원, 1인 멸균핸드피스 사용 비율은 57~74%였으나 치과의원은 13~20% 수준이었다(p<0.05). 감염관리자의 감염관리지침 인지는 치과병원 17.4%, 치과의원 5.9%였고 정기예방접종 시행은 치과병원 60.9%, 치과의원 34.1%였다(p<0.05). 환자의 손 위생 수행, 진료 전 칫솔질, 교차 감염 교육경험은 20% 미만이었고, 병력조사 협조는 90% 이상이었다(p<0.05). 감염관리 실천 상관분석 결과 기관 지원은 치과위생사 감염관리자실천, 환자감염관리협조, 개인방호실천, 진료실감염관리실천, 폐기물관리실천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분석되었다(p<0.05). 감염관리 실천을 위해 의료진, 환자, 기관의 지원과 협조가 요구되며 감염관리 관리자는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감염관리지침을 인지하고 실천할 것이 요구된다.

국내 요양병원 종사자의 감염관리 수행도 관련요인 연구: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Factors related to infection management performance of health workers at Long-Term Care Hospitals in Korea: systemic review and meta analysis)

  • 김은경;박희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857-866
    • /
    • 2022
  • 본 연구는 국내 요양병원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감염관리 수행도 관련요인을 파악하고, 각 요인별 효과크기를 산출하기 위해 실시한 메타분석 연구이다. 대상 문헌은 KMBAS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KISS), DataBase Periodical Information Academic(DBpia), National Library of Korea, Pubmed, EMBASE가 이용되었고, R3.5.1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총 22개의 관련요인 중 사례수가 3개 이상 관련요인을 메타분석 한 결과, 그 효과크기가 성별(.16), 연령(.30), 학력(.32), 병상수(.28), 감염관리 교육필요성(.44), 감염관리 교육경험(.25), 감염관리 인지(지식)(.70)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요양병원 종사자의 감염관리 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근거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장기 요양 정신병원에서 지하수 오염에 의하여 발생한 A형간염 집단발병 (Outbreak of Hepatitis A caused by Groundwater Contamination in a Long-term Psychiatric Hospital in Korea)

  • 권근상;이명옥;배희주;박정임;김천현;이주형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8권2호
    • /
    • pp.71-80
    • /
    • 2023
  • 목적: 2017년 지하수를 식수로 사용하고 있는 한 장기요양 정신병원(H병원)에서 A형간염 환자가 집단 발병하여 이에 대한 역학조사를 실시하고 조치 결과를 기술하고자 하였다. 방법: 노출기간 동안 H병원의 근로자 및 재원 환자 234명을 대상으로 사례군 조사 디자인으로 역학조사를 실시하였고, IgM, IgG 혈청검사 및 A형간염 바이러스(HAV)에 대한 PCR검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오염원으로 의심되는 지하수, 병원에서 제공되는 식품 및 인근 저수지의 물에서 HAV 검사를 실시하였고, 검출된 HAV는 유전형 검사를 진행하였다. 결과: H병원 환자 및 직원 234명 중 IgG 양성인 168명을 제외한 66명 중 19명이 최종적으로HAV 감염자로 확인되어 감수성자 중 발병률은 28.8%로 나타났다. 환자, 지하수, 식품(석박지) 및 저수지에서 동일 유전형의 HAV가 검출되어 지하수 오염에 의한 집단발병으로 결론 내렸으나, 최초 오염원은 확인하지 못하였다. 유행 종결 선언 이후 지하수에 대한 관리로 염소소독과 UV 조사를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6개월 동안 지속적으로 HAV가 검출되어 새로운 관정을 개발하여 상황을 종결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지하수를 식수로 사용하는 장기요양 정신병원에서 지하수 오염에 의한 19명의 HAV 집단발병을 조사하였다. HAV 항체가 없는 대상자 중에서 HAV의 높은 발병률을 확인하였다. 지하수 수질검사에서 바이러스 검사는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지하수가 HAV에 오염시 HAV 집단발병 가능성이 높고 상당기간 지속적으로 검출되기 때문에 지하수에 대한 관리지침에 바이러스 검출을 위한 방안을 추가하고 관련 법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

중소병원 간호사의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지식 및 교육요구도 (Knowledge and Education Needs Related to Multidrug Resistant Organisms Infection Control among Small and Medium Size Hospital)

  • 이미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463-470
    • /
    • 2020
  •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지식과 교육요구도를 파악하여 중소병원 간호사 맞춤형 감염관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중소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9년 11월 15일~11월 3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시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기술통계, t-test, ANOVA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중소병원 간호사의 86.1%가 다제내성균 환자를 간호한 경험이 있었으며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교육을 받은 경우가 67.8%로 나타났다. 다제내성균 감염관리지식은 27점 만점에 25.51점이었으며, 다제내성균 환자가 사용한 의료기기에 대한 소독수준, 선제 격리환자의 격리 해제기준, 코호트 격리에서 환자관리, 개인보호구 탈의시점에서 정답률이 낮았다. 교육요구도는 격리병실배정, 선별검사 대상기준, 유행발생관리가 가장 높았다. 또한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육요구도 차이에서 최종학력과 직급에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다제내성균의 원내전파 차단 및 유행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교육이 중요하므로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교육프로그램 개발시 경력별로 교육 구성의 차별화가 필요하다. 신규간호사와 경력간호사 감염관리교육시 필수적으로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교육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치과의료기관 종사자의 감염예방 실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actice for Infection Prevention of Dental Clinic Worker)

  • 김서연;이재라;한옥성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97-404
    • /
    • 2014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감염예방 실천도를 분석하고자 2014년 1월 15일부터 2월 25일까지 광주광역시와 전남지역의 치과병 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의료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선정하였으며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일반적 특성과 직업적 특성에 따른 감염예방 실천은 근무처가 대학병원 및 치과병원인 경우, 건강검진을 받은 경우 실천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감염사고실태에 따른 감염예방 실천은 진료 전 문진을 시행하는 경우, 감염성 질환자 진료 시 별도의 개인방호 장비를 착용하는 경우, 감염성 환자 진료 후 진료복을 매회 세탁하는 경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감염관리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경우, 감염관리에 대한 이론 및 시술법에 대한 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 감염관리에 대한 교육시행 시 참여 의향이 있는 경우에 실천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감염관리에 대한 이론 및 시술법 교육경험과 교육 후 인식변화는 치과의원보다 치과병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무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감염예방 실천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감염관리 교육 필요여부, 감염성 환자 진료 후 진료복 세탁 여부, 근무처로 나타났다. 감염관리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경우, 감염성환자 진료 후 진료복을 세탁하는 경우가 감염예방 실천을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치과의원이 치과병원보다 실천이 낮았으며 설명력은 15.8%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치과진료 감염예방을 위해 치과의료 기관 종사자들에게 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어 감염예방 실천으로 이어지도록 노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