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병실

검색결과 207건 처리시간 0.025초

종합병원 다인병실의 치유환경 개선을 위한 건축 계획적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for Improvement of the Healing Environment in Multi-bed Room of General Hospitals)

  • 김용우;양내원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36호
    • /
    • pp.76-83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how to improve environment of multi-bed room by investigating and analysing factors influencing to patients. 1 measured stress and satisfaction degrees about patient room for 4ㆍ5ㆍ6ㆍ7 men of domestic general hospital wards. The results of research show that patients of 4 bed room appeared the fewest stress and highest satisfaction degree among patients of other room styles. The patients positioned between two beds can give us more stress and fewer satisfaction than others. These results have proven that 4 bed room patients are offering comfortable environment than any other room types as a healing environment. When patient room area are more than 7.3$M^2$ per 1 person, bed interval space is more than 120cm, there is curtain between bed, transit space such as a toilet were established in patient room, patients' satisfaction appeared high.

효율적인 병실 관리를 위한 USN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설계 (USN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design for managering to infirmary)

  • 김태훈;김용열;임근;이기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8년도 제39차 동계학술발표논문집 16권2호
    • /
    • pp.255-258
    • /
    • 2009
  • 본 논문은 USN시스템을 이용해서 실시간으로 병원의 각 병실에 대한 센서에서 측정된 정보를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해주며 노드의 설정이나 프로그램 전송을 다른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고도 센서에 전송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 시스템에서는 단순한 모니터링뿐만 아니라 제어장비를 통해서 환경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일체형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 시스템과 기존의 병원 시스템과 비교해 보았다.

  • PDF

현장연구를 통한 다인용 병실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Ward for multi-patients through Ethnographic Field Study)

  • 권영미;정연강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33-41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ighten the reusing rate of hospital making its good image ultimately and giving a feeling of satisfaction to the patients, and to suggest more pleasant and comfortable environment to the wards which the patients are spending 24 hours a day from the view of nurse. The field study was in medical ward of the C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through ethnographic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bservation and interview.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 ward model for 4 patients was developed so as to be able to have their own area in consideration of privacy and improvement of life level & consciousness level of patients.

  • PDF

치매전문요양병원의 병동 몇 병실 유니트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the Ward and Patient Room Unit of the Health Care Facilities for the People with Dementia)

  • 강지원;박재승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4권6호
    • /
    • pp.37-47
    • /
    • 1998
  • In Korea, it is urgently required to develop the health care facilities and services for People with dementia. The progression of dementia is associated with a gradual decline in functional, cognitive, emotional, and social abilities. Therefore, architectural design for People elderly with dementia should be focused to maintain and preserve this abilities.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design guidelines of the ward and patient roon unit planning to maintain this abilities in the health care facilities for People with dementia. For this, investigation and analysis through the case studies of domestic and foreign facilities and P.O.E of domestic facilities were performed.

  • PDF

I-131 치료시 환자의 신장기능과 다양한 요인으로 의한 퇴원선량 및 치료병실 오염도의 유의성에 관한 연구 (In the Treatment I-131,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that the Patient's Discharge Dose and Treatment Ward can Affect a Patient's Kidney Function on the Significance of Various Factors)

  • 임광석;최학기;이기현
    • 핵의학기술
    • /
    • 제17권1호
    • /
    • pp.62-66
    • /
    • 2013
  • 우리나라의 갑상선 암이 증가함에 따라서 갑상선 전 절제술 후 고용량 방사성동위원소 치료를 받는 환자 또한 증가하였다. 하지만 치료를 위해서 사용되는 I-131의 경우 반감기가 8.01일 이며 감마선과 베타선을 내는 특징이 있어 타인에게 줄 수 있는 외부 피폭의 영향을 막기 위해 일정기간 동안 환자가 격리병실에 입원하여 치료를 받게 된다. 이틀 내지 사흘 동안의 격리치료를 한 후 퇴원 전 환자의 몸에서 나오는 방사선량이 법적 기준(70 uSv/h)에 만족하는지 확인한 후 퇴원을 하게 된다. 그리고 다음 환자가 입원 시까지 병실 곳곳의 오염도를 확인 한 후 필요 시에는 제염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우리는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 상에서 의료진들이 피폭의 영향을 받게 되는 주 요인으로는 환자의 퇴원선량 확인 및 치료병실의 오염도확인과 제염작업시의 피폭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환자의 여러 가지 요소들을(환자의 신기능, 연령, 성별, 초기 투여용량, Tg, Tg-ab)정하고 그 인자들을 통해 환자의 퇴원선량 및 치료병실 오염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원에서 2011년 8월 1일부터 2012년 5월 29일까지 입원하여 고용량방사성 요오드 치료를 받은 환자 15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환자의 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 값이 높을수록 퇴원선량이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P<0.001).초기 투여용량의 경우 5.5 GBq (150 mCi) 미만과 5.5 GBq (150 mCi) 이상을 투여 받은 환자군 두 그룹 사이에 평균 퇴원선량을 비교 분석한 결과 5.5 GBq (150 mCi) 미만을 투여 받은 환자 군에서 퇴원선량이 유의하게 낮음을 알 수 있었다($23.95{\pm}10.44uSv/h$, $28.65{\pm}11.79uSv/h$). 연령,성별, Tg, Tg-ab는 환자의 퇴원 선량과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p>0.05). 그리고 치료병실 오염도는 환자의 퇴원선량과 환자의 신기능과는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p>0.05). 병실 오염도의 경우는 입원기간 동안 환자의 생활습관이나 기타 다른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사료된다. 비록 성별의 집단 간에 따라서 오차가 있다고 여겨지지만 추후 더 많은 환자들을 비교 분석 한다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퇴원선량과 병실의 오염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기타 다른 요인들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연구한다면 환자 본인의 피폭뿐만 아니라 가족과 그주변인 의료진들에게도 조금이나마 피폭의 영향을 감소 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