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병렬결합선로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8초

결합 선로를 이용한 브랜치 선로 방향성 결합기 (Branch line directional coupler with coupled lines)

  • 한대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286-291
    • /
    • 2011
  • 방향성 결합기는 RF 및 마이크로파 대역에서 신호를 분배하거나 감시하는 데 이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마이크로스트립 선로로 구현한 결합선로를 이용한 새로운 구조의 브랜치 선로 방향성 결합기를 제안하였다. 브랜치 선로 방향성 결합기는 결합도가 낮아지면 병렬로 연결된 선로의 특성 임피던스가 높아서 마이크로스트립 선로로 구현하기 어려워진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단락된 평형 결합 선로를 이용하여 높은 특성 임피던스를 구현하였다. 제안한 브랜치 선로 방향성 결합기의 시뮬레이션 결과 및 제작하여 측정한 결과를 보였다. 제작한 10 dB 브랜치 선로 방향성 결합기는 10% 대역폭에서 반사 손실이 30 dB 이상, 8% 대역폭에서 고립도 35 dB 이상인 결과를 보였다.

CRLH 전송 선로를 이용한 공진 기법의 전력 결합 기술 (A Resonance Power Combining Technique Using CRLH-Transmission Line)

  • 김일규;김영;권상근;윤영철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673-679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CRLH 전송 선로를 이용한 공진 기법의 전력 결합 기술을 제안하였다. 사용된 공진 기법의 회로는 증폭기의 정합과 전력 결합 역할을 하는 병렬 캐패시턴스 그리고 증폭기들의 전력 결합을 위한 전송 선로로 구성되어 있고, 여기에 사용된 전송 선로는 CRLH(Composite Right/Lefi-Handed) 전송 선로로 구현함으로써 회로의 크기를 감소시켰다. 이 기술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제안한 전력 결합 기술을 이용한 2단 증폭기를 구현 및 측정한 결과, 단일 증폭기와 이득은 동일하고, 출력 전력은 2.2 dB 증가하였으며, 기존의 RH 전송 선로를 이용한 전력 결합 증폭기보다 면적이 78.3 % 감소하였다.

전자기적 결합 급전 소형 광대역 사각 디스크-로디드 모노폴 안테나 (Small Broadband Rectangular Disk-Loaded Monopole Antenna with Electromagnetically Coupled Feed)

  • 정종호;박익모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653-66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단락된 사각 디스크와 프로브 급전된 사각 스파이럴 형태의 스트립 선로를 전자기적으로 결합한 형태의 소형 모노폴 안테나를 제안하고, 집중소자를 이용하여 안테나의 등가모델을 제시하였다. 단락 된 사각 디스크는 캐패시턴스 성분을 가지는 모노폴로써 병렬 RLC 공진회로로 등가화 되며, 사각 스파이럴 스트립 선로 급전부는 인덕턴스 성분의 모노폴로써 직렬 RLC 공진회로로 등가화 된다. 그러므로 안테나는 병렬 공진회로의 공진과 직렬 공진회로의 공진이 결합하여 넓은 주파수 대역폭을 가지게 된다. 제안한 안테나는 0.075λ$_{0}$${\times}$0.075λ$_{0}$${\times}$0.075λ$_{0}$의 크기를 가지며, VSWR$\leq$2를 기준으로 2.038GHz의 중심주파수에서 16.5 %의 대역폭을 가진다.

Right/Left-Handed 전송 선로를 결합한 가변 대역 저지 필터 (Tunable Bandstop Filter with Combined Right/Left-Handed Transmission Lines)

  • 성규제;김일규;김영;윤영철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1122-112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Right-handed 전송 선로(RHTL)의 저역 통과 특성과 Left-handed 전송 선로(LHTL)의 고역 통과 특성을 결합한 구조의 가변 대역 저지 필터를 제안하였다. RHTL, LHTL의 분산 특성을 ABCD 행렬을 통해 구하고 차단 주파수를 계산하였다. 바렉터 다이오드와 칩 인덕터를 이용하여 RHTL,LHTL 단위 셀을 구성하고 각각 4개의 단위 셀이 연결된 RHTL, LHTL을 병렬로 연결하여 가변 대역 저지 특성을 구현하였다 제작된 가변 대역 저지 필터는 저역 차단 주파수 $280{\sim}395$ MHz, 고역 차단 주파수 $770{\sim}940$ MHz의 가변 특성을 갖는다.

"+"자 공진기와 용량성 결합을 이용한 초광대역 대역 통과 여파기 (UWB Bandpass Filter Using Capacitive Coupling with Cross Resonator)

  • 동 타이 호아;이재영;김인석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486-493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급격한 감쇄율 특성을 갖는 독창적인 초광대역(UWB: Ultra Wideband) 스트립라인 대역 통과 여파기(BPF)를 소개한다. 초광대역의 특성은 기본적으로 "+"자 공진기와 주 전송 선로간의 용량성 결합으로부터 얻어진다. "+" 자 공진기는 ${\lambda}/2$의 전송 선로의 중심에 두 개의 스터브를 병렬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하나는 ${\lambda}/8$ 단락 회로 스터브로 ${\lambda}/2$ 전송 선로의 상측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lambda}/8$ 개방 회로 스터브로 ${\lambda}/2$ 전송 선로의 하측에 연결된다. 이 두 개의 스터브들은 통과 대역의 하단과 상단의 차단주파수에서 두 개의 감쇄극을 제공한다. "+" 자 공진기 상측에 위치하여 용량성 결합을 이루는 주 전송 선로는 입력과 출력 선로에 또 한 번의 ${\lambda}/4$ 길이의 용량성 결합을 하여 통과 대역 하부과 상부의 저지 대역에서 원하지 않는 신호를 억압하기 위해 구성하였다. 본 여파기는 미국에서 허가한 초광대역(3.1~10.6 GHz)의 대역에서 선택도가 우수한 대역 통과 특성을 얻기 위해 2.4 GHz와 11.1 GHz에서 81 dB/GHz와 86 dB/GHz의 기울기를 제공하는 두 개의 전송 영점(감쇄극)을 갖도록 설계되었다. 본 여파기는 유전상수 7.8을 갖는 저온 동시 소성 세라믹(LTCC) 그린테이프로 제작되었다. 측정 결과는 HFSS 해석 결과와 거의 일치하였다. 통과 대역에서 0.7 dB 이하의 삽입 손실과 14 dB 이상의 반사 손실이 측정되었다. 중심 주파수 군 위상 지연은 0.27 ns이고, 통과 대역에서 군 위상 지연의 변화량은 0.5 ns 이하이다. 본 여파기의 크기는 $6{\times}18{\times}0.6\;mm^3$이다.

EMTDC를 이용한 배전 선로 전압 보상을 위한 병렬 보상기의 최적 제어기 구현 (Optimal control of DSTATCOM for voltage sag compensation)

  • 정수영;문승일;김태현;한병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력기술부문
    • /
    • pp.320-322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전압 sag보상을 하기 위한 DSTATCOM 제어기를 설계하고 EMTDC/PSCAD로 확인하였다. DSTATCOM의 전류성분을 d,q분해 해석을 통하여 상태방정식을 유도하고 부하모델과 네트워크의 제약조건을 결합 모델을 제시하였다. 1선 지락 사고시 PI 제어시보다 LQR 제어의 응답 특성이 우수함을 검증하고 전압 sag가 개선됨을 보였다.

  • PDF

광대역의 저지대역을 갖는 부채꼴 형태의 개방형 스터브를 이용한 저역통과 여파기 (A Low-pass Filter with Wide-stop Band Using Radial-shaped Open Stub)

  • 윤기철;김성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1237-1242
    • /
    • 2016
  • 본 논문은 병렬 결합선로(coupled-line)와 부채꼴(radial) 개방형 스터브(stub)를 이용한 고조파가 억압된 저역통과 여파기에 대해 제안을 한다. 본 제안한 저역통과 여파기의 특징은 병렬 결합선로의 구조 때문에 고조파가 광대역으로 억압되었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저역통과 여파기의 개방형 스터브는 부채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여파기의 크기를 조절 할 수 있다. 제안한 저역통과 여파기의 크기는 $6.98{\times}7.60mm2$이며 차단 주파수는 2.45 GHz 이다. 분포정수소자(distributed element)로 구성되어 있어 단가면에서 경제적이고 제작이 쉬우며 대량 생산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광대역 고조파 억압에 대한 대역폭은 128 %이며 여파기의 삽입 및 반사 손실은 각각 1.07 dB 및 19.5 dB를 얻었다.

새로운 구조의 저 위상잡음 유전체 공진 병렬 궤환 발진기 (The Design of New Phase Noise Dielectric Resonator Parallel Feedback Oscillator)

  • 전광일;박진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7A호
    • /
    • pp.947-954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저렴하고 성능이 우수하면서 간단한 구조를 갖는 새로운 저 위상잡음 유전체 공진 병렬 궤환 발진기가 제안된다. 제안된 유전체 공진 병렬 궤환 발진기는 저잡음 증폭기, 전력증폭기, 전력 감쇠기, 전력 분배기, 그리고 두 개의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와 결합된 유전체 공진기로 이루어지는 병렬 유전체 공진 궤환 요소로 구성된 궤환 루프 발진기 구조를 가지고 있다. 유전체 공진 병렬 궤환 발진기의 측정된 위상잡음은 캐리어 주파수 10.75 GHz, 오프셋 주파수 1kHz에서 81dBc/Hz 보다 작게 나타났으며, 온도에 따른 주파수 안정도는 주변온도 -4$0^{\circ}C$에서 6$0^{\circ}C$까지 +/- 200kHz를 나타내었다.

  • PDF

유전체 공진기의 직접결합에 의한 K-Band 저위상잡음 발진기 설계 (A Design of K-Band Low Phase noise Oscillator by Direct Coupling of K-band Dielectric Resonator)

  • 임은재;한건희;이영철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7-24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직접결합에 의한 저 위상잡음 유전체 공진기 설계를 위하여, 고유전율의 유전체 공진기와 마이크로스트립선로 사이의 결합계수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고유전율로 인한 Q값의 보완을 위한 병렬궤환 회로 적용한 유전체 공진 발진기의 위상잡음을 분석하였다. 유전체 공진기의 위상잡음 분석과 결합계수의 분석을 통하여 고안정 유전체 공진 발진기를 최적화 설계한 결과 20.25GHz 유전체 공진 발진기의 ${\epsilon}_r$=30인 유전체 공진기를 사용한 경우 결합계수가 약 3.6의 값을 나타낼 때 20.25GHz에서 위상잡음은 -84.3dBc/Hz@1KHz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K-Band 에서도 주파수 체배 방식에 의한 위상잡음 손실을 방지하는 직접결합 설계 방안을 제시하였다.

주기적인 계단형 스터브를 갖는 소형화된 하이브리드 Branch-Line 결합기와 Rat-Race 결합기 (Compact Hybrid Branch-line Couplers and Rat-Race Couplers with Periodic Stepped Stubs)

  • 이창언;김원기;김상태;신철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1권12호
    • /
    • pp.115-124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에 주기적으로 계단형 스터브를 부가하여 물리적 길이를 소형화시킨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를 나타내었다. 주기적인 계단형 스터브는 quasi-static analysis와 전송선 이론을 바탕으로 한 등가모델로 병렬로 부가된 커패시턴스 역할을 함을 보였으며, 기존의 일반 스터브를 이용한 경우보다 짧은 길이의 스터브로 높은 커패시턴스 부가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보였다. 그리고 이러한 선로를 이용하여 소형화된 branch-line 결합기와 rat-race결합기를 설계하였다. 1.8 ㎓에서 구현된 각각의 결합기는 677 ㎟, 913 ㎟으로 일반적인 결합기에 비해 그 크기가 62%, 45%로 다른 소자의 부가 없이 단지 전송선로의 변형만을 통해 매우 효과적으로 축소되었다.